ADVERTISEMENT

[신영균 남기고 싶은 이야기] 부산 피난 시절 가극단 무대, 한곡 5만원 현인·이난영 부러웠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한국 사극의 이정표를 세운 신영균·최은희 주연의 ‘연산군’(1961). 신영균은 폭발적인 카리스마를 보여주며 제1회 대종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신상옥 감독은 이 영화가 성공하자 바로 속편 ‘폭군 연산’을 만들었다. [사진 한국영상자료원]

한국 사극의 이정표를 세운 신영균·최은희 주연의 ‘연산군’(1961). 신영균은 폭발적인 카리스마를 보여주며 제1회 대종상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신상옥 감독은 이 영화가 성공하자 바로 속편 ‘폭군 연산’을 만들었다. [사진 한국영상자료원]

신상옥 감독의 ‘연산군’(1961)은 내 출세작이다. 시쳇말로 벼락스타로 떠올랐다. 어머니 폐비 윤씨가 중상모략을 당해 돌아가셨다는 이야기를 듣고 피의 복수를 시작하는 연산군은 이후 ‘사극=신영균’을 만들어줬다. 영화에선 잔인한 폭군 이미지가 부각되지만 나는 어쩐지 연산군에 많은 공감이 갔다. 연산군이 어머니의 억울한 죽음에 분통해 하는 장면에선 나도 모르게 눈물을 흘려야 했다. 영화를 찍으며 일평생 자식들을 위해 희생한 내 어머니가 생각나서다.

빨간 마후라, 후회 없이 살았다 - 제132화(7637) #<8> 쌀 머리에 이고 38선 넘은 어머니 #서울대 치대 입학 후 6·25 터져 #어머니·여동생과 3년간 생이별 #내 출세작 ‘연산군’ 촬영 때도 #평생 희생한 어머니 생각에 눈물

내 꿈은 고향 땅 황해도 평산 다시 밟는 것

내 고향은 황해도 평산군 금암면 필대리의 작은 마을이다. 지금은 갈 수 없는 38선 북쪽이다. 나는 1928년 11월 6일 아버지 신태현, 어머니 신순옥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100호가량 되는 작은 동네 면장이자 소학교 이사장이었다. 나름 부농 집안이었기에 유복하게 자란 편이다. 개천에서 고기 잡고 산에 밤 따러 다닌 기억이 생생하다.

여섯 살 때 아버지가 병환으로 돌아가시면서 가세가 기울기 시작했다. 30대 초반에 홀로 된 어머니는 어린 삼 남매를 키우느라 갖은 고생을 하셨다.

“영균아, 너는 절대 탈선하지 마라. 교회도 열심히 다녀야 하고….”

신앙심이 강한 어머니는 아침저녁으로 기도를 드렸다. 내가 평생 술·담배를 멀리한 건 모두 어머니의 영향이다. 어머니는 교육열이 남달랐다. 나는 추운 겨울에도 교복 안에 솜바지 저고리를 껴입고 10리 길을 걸어 꼬박꼬박 학교에 갔다.

내가 열 살 무렵 어머니는 용단을 내리셨다. 내가 커서도 “너희들을 제대로 공부시키려고 서울로 내려왔지”라는 말씀을 자주 하셨다. 우리는 신설동에 자리를 잡았다. 나는 흥인초등학교를 다녔다. 서울살이는 녹록하지 않았다. 어머니는 삯바느질·야채상·참기름 장사 등을 가리지 않았다. 38선으로 남북이 막히기 전에는 평산에서 농사지은 쌀을 가져다 먹곤 했다. 어머니가 쌀을 머리에 이고 몇 날 며칠을 걸어야만 했다는 건 좀 더 커서야 알게 됐다.

한국전쟁 중에도 부산에선 문화활동이 이어졌다. 사진은 임시수도기념관이 발간한 『부산, 1950’s』에 수록된 1951년 부산 부민관 극장 모습.

한국전쟁 중에도 부산에선 문화활동이 이어졌다. 사진은 임시수도기념관이 발간한 『부산, 1950’s』에 수록된 1951년 부산 부민관 극장 모습.

한국전쟁 때는 온 가족이 생이별을 했다. 내가 서울대 치대에 입학하고 얼마 되지 않아 6·25가 터졌다. 한강 다리를 폭파한다는 얘기가 들려서 형이랑 같이 확인하러 가보니 이미 피난민들로 인산인해였다. 우리는 떠밀리듯 목선 한 척에 올라탔다.

“군인들이 내리라고 하면 우리가 배 주인인 척해.”

세 살 많은 형이 기지를 발휘해 무사히 한강 이남으로 넘어갈 수 있었다. 일단 수원에 도착했는데 주머니에 있는 거라고는 어머니가 혹시 모른다며 쥐여주신 만원뿐이었다. 지금으로 치면 100만 원 정도 될까. 우선 쌀하고 간장 두 개만 사서 끼니를 때우며 버텼다. 잠자리는 교회를 전전하며 해결했다. 부산에 내려가서는 전시연합대학을 다니며 학업을 이어갔다.

어머니가 주신 비자금이 바닥날 때쯤, 극단 청춘극장에서 인연을 맺은 배우 전옥씨(배우 최민수의 외할머니이자 강효실씨의 어머니)를 만나게 됐다. 전씨는 가극단에서 연극을 하면 돈을 벌 수 있다고 귀띔해주었다. 1부는 연극이고, 2부는 ‘신라의 달밤’ 현인, ‘목포의 눈물 ’ 이난영 등 가수들의 무대였는데 꽤 인기를 끌었다. 당시 연극배우 한 달 월급이 만원이면 가수들은 노래 한두 곡 하고 5만원을 받았는데 참 부럽기만 했다.

어머니 묘비엔 ‘장하신 우리 어머님’

전쟁 내내 서울에 남은 어머니와 여동생이 걱정됐지만 돌아갈 방법이 없었다. 여섯 살 아래 여동생 정옥이 혹시 군인들에게 나쁜 일이라도 당할까 봐 눈에 밟혔다. 여동생만 내 앞에 데려다주면 팔이라도 하나 잘라주고 싶은 심정이었다. 우리 가족은 3년 남짓 헤어져 있다가 전쟁이 다 끝나고서야 다시 만날 수 있었다.

나는 하나뿐인 어머니께 못다 한 효도를 다 하고 싶었다. 결혼 후 충무로에서 셋방살이할 때부터 돌아가실 때까지 25년을 함께 살았다. 당뇨가 좀 있는 것 빼고는 정정하신 편이었는데 돌이켜보면 당뇨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던 것 같다.

“애미야, 이상하게 자꾸 허전하다. 나는 ‘괴기’를 좀 먹어야겠다.”

아내가 기름 없는 부위로 고기를 사다가 냉동해 놓으면 어머니는 숯불에 밤낮 구워 드셨다. 보리밥에 나물 반찬만 드시는 게 허전했던 모양이다. 손주들이 가끔 한입 달라고 하면 “약은 혼자 먹는 거야”라고 하셨다. 그런 어머니가 조금 섭섭했는데 일흔둘에 폐암으로 돌아가시고 나니 아내가 “그때 탄 고기를 드신 게 안 좋았던 것 아닌가 싶다”며 마음 아파했다. 돌아가신 어머니를 경기도 파주에 모셨다. 나는 묘비에 이렇게 적었다. ‘장하신 우리 어머님이 계신 곳.’ 내 소원은 죽기 전에 고향 땅을 꼭 밟아보는 것이다. 북녘에 계신 아버지를 모시고 와서 어머니와 한 곳에서 주무시게 하고 싶다.

정리=박정호 논설위원, 김경희 기자 amator@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