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식물성 고기, 의료용 식품, 펫푸드 등 '미래 먹거리' 키운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가 식물성 고기 같은 '대체식품', 특수의료용 식품인 '메디푸드' 같은 유망 식품 분야의 시장 규모를 2022년까지 17조원으로까지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4일 제5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제28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식품산업 활력 제고대책’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인구구조와 소비 추세 변화를 토대로 ▶맞춤형·특수식품▶기능성식품 ▶간편식품 ▶친환경식품 ▶수출식품을 5대 유망분야를 선정했다.

구워 먹는 식물성고기 ‘언리미트(Unlimeat)’. [사진: 지구인컴퍼니]

구워 먹는 식물성고기 ‘언리미트(Unlimeat)’. [사진: 지구인컴퍼니]

맞춤형·특수식품 분야에서는 초기 시장 형성에 주력할 방침이다. 우선 고기 없이 고기의 맛과 질을 내는 식물성 고기처럼 채식주의자를 위한 틈새상품으로 출발한 '대체식품'은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대체식품 개발을 위해 중장기 연구개발(R&D) 지원 로드맵을 마련하고 기업 투자 촉진을 위해 세액공제 확대 방안도 논의하기로 했다.

반려동물을 위한 '펫푸드'는 수입산 비중이 3분의 2에 달해 국산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메디푸드'는 고령화·만성질환 증가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시장은 연평균 6.9% 성장하고 있다. 특수의료용도식품을 독립 식품군으로 분류하고, 식단제품에 관련 질환명을 표시할 계획이다. '고령친화식품'은 한국산업표준(KS) 인증제를 시행해 소비자 인지도를 높인다.

자료: 농식품부

자료: 농식품부

기능성식품의 경우 규제개선을 통해 시장을 확장하는 한편 신사업 창출을 지원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기능성이 입증됐다면 일반 식품이더라도 기능성 표시를 할 수 있도록 하고, 개인 맞춤형 제품이 가능하도록 혼합 및 소분 포장을 허용하는 등의 내용이 검토 대상에 올라 있다.

간편식품은 1인 가구와 맞벌이 부부 증가 영향으로 연 11.8% 이상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제품 고급화를 위해 급속 냉·해동 기술의 R&D에 대해 세제 지원을 검토한다. 특히 경쟁력이 있는 즉석밥과 가공김 등에 대해선 글로벌 규격을 마련해 해외 수출을 지원한다. 친환경 식품은 친환경 인증제 등 제도를 정비해 활성화한다. 무농약원료 가공식품 인증을 시행하고 유기 표시기준을 완화해 문턱을 낮춘다는 것이다.

수출식품은 일본·중국·미국 등에서 벗어나 시장 다변화에 초점을 맞춘다. 신남방 시장은 콜드체인·물류센터 확충을 지원하고, 신북방 시장은 러시아는 인삼, 몽골은 음료·소스류, 카자흐스탄은 스낵류 등 맞춤형 전략품목을 중심으로 시장개척을 지원한다. 최대 할랄시장인 인도네시아와의 상호 인증, 유엔 조달시장 진출도 추진한다. 한류 문화축제를 연계한 홍보도 강화한다.

정부는 산업 육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도 강화하기로 했다. 전문인력을 키우고 농식품벤처펀드 등을 확대해 청년 창업을 지원한다. 산업구조 고도화 지원프로그램 등을 통해 그린바이오 중소기업의 혁신성장도 지원한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기반 온라인 유통채널 확보도 추진한다.

정부는 이번 대책을 통해 지난해 12조4400억원 수준인 5대 유망분야 산업 규모를 2022년 16조9600억원, 2030년 24조8500억원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지난해 기준 5만1000개인 관련 일자리도 2030년까지 11만5800개로 늘린다는 목표다.

이재욱 농식품부 차관은 “식품산업은 성장 가능성과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산업으로 정책효과가 농어업, 중소기업 등 전후방 연관산업 전반으로 파급된다”면서 “이번 대책이 식품산업뿐 아니라, 경제 전반에 긍정적 효과를 미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세종=손해용 기자 sohn.y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