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맞춤상품 추천 AI기술 세계 1위 크리테오 “한국이 가장 빠르게 크는 시장”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2005년 프랑스 파리 13구의 한 작은 샐러드바 뒤편. 3명의 기술자가 지금의 ‘넷플릭스’ 같은 평점 기반 영화추천 엔진을 개발하고 있었다. 사무실도 없어 샐러드바에서 일했고, 끼니는 샐러드바에서 주는 공짜 점심으로 때웠다.

장 바티스트 뤼델 대표 인터뷰 #파리 뒷골목서 시작한 스타트업 #15년 만에 연매출 2.7조원 성장 #한국은 모바일·앱기술 트렌드세터

지금은 글로벌 대기업이 된 ‘크리테오(Criteo)’의 이야기다. 크리테오는 데이터·머신러닝을 통해 맞춤형 인터넷 광고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2만여개 고객사에서 나온 지난해 매출은 약 2조7000억원. 세계 애드테크(Ad-Tech·기술 기반 디지털 광고) 시장에서 1위를 고수하고 있다(시장조사기관 IDC 기준). 2013년 미국 나스닥에 상장됐다. 상장 당시 기업가치는 17억 달러(약 2조원). 인공지능(AI) 스타트업으로선 최초로 기업가치 1조원을 넘긴 사례였다. CB인사이츠에 따르면 그 후에도 1조원 이상에 인수됐거나 상장한 AI 스타트업은 6개뿐이다.

장 바티스트 뤼델

장 바티스트 뤼델

‘프렌치 테크의 자존심’ 크리테오의 창업자 장 바티스트 뤼델(사진) 대표를 지난달 20일 강남 크리테오코리아 본사에서 만났다.

크리테오에게 한국이란.
“우리의 사업국 중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이다. 특히 모바일 앱과 기술 면에서 ‘트렌드세터’ 역할을 하고 있다. 크리테오가 일본보다 앞선 2010년에 한국 법인을 설립한 이유다. e커머스 내에서 모바일 인앱 결제 비중이 아주 크다는 점이 다른 나라와 다르다. 한국을 제외하면 모바일 경제가 이만큼 발전한 곳은 중국뿐이다.”
한국 기업들은 미국·중국에 위기감을 느낀다.
“다른 나라에 비하면 구글·아마존·페이스북 같은 거대 IT 공룡들의 점유율이 매우 낮지 않나. 한국은 e커머스와 네이버·카카오 같은 강력한 토종 기업들이 제각각 독자적인 생태계를 만들고 있다. 미국 기업이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유럽이 보기엔 아주 모범적인 사례다.”
크리테오가 하는 일은.
“고객에게 맞춤형 광고를 내보낸다. 매달 20억명의 데이터를 분석한다. 수백만개의 제품 중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것을 선별하는 게 어렵다. ‘셔츠를 산 사람이 다음에도 옷을 살까? 어떤 물건을 같이 살까?’ 등을 예측해야 한다. 구매 이력을 보고 제품군을 ‘묶는(mapping)’ 데에 아주 복잡한 알고리즘을 쓰고 있다.”
15년 만에 글로벌 1위가 됐다.
“영화 추천 엔진을 계속 만들어 넷플릭스의 고객사가 되느니 의류·e커머스 등 확대 추천 엔진을 만들기로 했다. 광고 인벤토리(광고가 실리는 곳)에 우리가 돈을 먼저 지불하고 실제 소비자의 조회나 클릭이 있을 때만 고객사의 돈을 받았다. 지금도 사용자가 관심을 보여야만 비용을 받는 수익모델이다.”
어려운 점은 없었나.
“미국 고객들은 미국 기술이 최고라고 믿는다. 유럽 기업을 시도해보라고 설득하는 것부터가 아주 힘들었다. 결국 기술력으로 승부를 봤다.”
20억명의 데이터를 어떻게 얻나. 한국은 개인정보보호법 등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얻기 쉽지 않다.
“유럽도 1년 전부터 GDPR(개인정보보호법)이 발효됐다. 우린 GDPR을 지지한다. 소비자는 자신의 데이터가 어디에 어떻게 쓰이는지 알 권리가 있다. 크리테오는 2009년 업계 최초로 고객이 자신의 데이터를 제공할지 말지를 직접 고를 수 있게 했다.”
구글·페북과 다른 점은.
“지난 2년간 IT 공룡들의 트렌드는 ‘폐쇄적 생태계 구축’이었다. 우린 오픈 인터넷 기반이다. 고객사가 인벤토리 데이터를 자유롭게 선택하고 통제·관리한다.” 

김정민 기자 kim.jungmin4@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