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글로벌 아이

2019 홍콩몽 vs 중국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신경진 기자 중앙일보 베이징 총국장
신경진 베이징 특파원

신경진 베이징 특파원

“경찰이 도덕을 잃었다. 파업은 정당하다.” 지난 13일 밤 홍콩 몽콕에서 만난 회사원 피터(가명)가 말했다. 시위대가 잠복 중이던 경찰 차량을 불태우고 도로를 벽돌로 뒤덮는 이유를 설명하면서다. 바로 옆에선 중국계 은행과 상점이 불타고 있었다.

15일 정오 홍콩섬 센트럴의 ‘런치 위드 유’ 시위 현장에서는 홍콩에서 30년을 살았다는 금발의 프랭크를 만났다. 그는 홍콩 정부가 베이징의 ‘꼭두각시(puppet regime)’라고 했다. 단 폭력은 안 된다고 선을 그었다.

16일 경찰의 봉쇄 전날 홍콩 이공대 교정에 붙은 대자보 한장을 유심히 살폈다. 제목은 “평화·이성·비폭력(和理非)의 특징과 변화”였다. 온건하지만 융통성을 갖춘 ‘평화 플러스(和理非+)’와 폭력을 불사하는 ‘용무파(用武派)’로 진화한 현실을 전했다. 시민 55.7%가 시위대의 폭력을 이해한다는 여론 조사 결과도 덧붙였다. 이 비율은 11·24 구의회 선거에서 확인됐다. 범민주파 56.62%, 친중파 41.27%의 최종 득표율과 비슷했다.

이처럼 700만 홍콩 시민의 약 60%는 베이징의 ‘폭도’ 주장보다 “폭도는 없다. 폭정만 있을 뿐”이란 시위대 구호를 지지한다. 왜 베이징과 홍콩 정부는 과반수 시민을 『수호전』의 민란(民亂)격인 ‘핍상양산(逼上梁山)’으로 몰았을까?

지난달 16일 홍콩 이공대에 ‘무력으로 경찰 폭력을 제압하자(以武制暴)’는 구호가 등장했다.

지난달 16일 홍콩 이공대에 ‘무력으로 경찰 폭력을 제압하자(以武制暴)’는 구호가 등장했다.

우선 진단이 달랐다. 베이징은 홍콩 사태를 “중화민족의 부흥을 막으려는 미국의 음모”로 규정했다. 송환법은 철회했지만, 경찰에 대한 독립적 조사, 시위대의 ‘폭도’ 규정 철회, 체포된 시위대 석방, 행정장관 직선제 요구는 받아들일 생각이 없다.

해법도 달랐다. 공산당 중앙은 애국자를 주체로 한 ‘자치’, 공직자와 청소년에 대한 중국화 교육, 경제 발전과 민생 개선을 해법으로 내놨다. 홍콩 시민은 파업·휴교·철시로 대답했다.

피터와 프랭크는 체육관 간선제로 뽑힌 대표자가 홍콩보다 베이징을 대변하는 현실에 반발했다. ‘왜 정부가 존재하는가’라는 질문이다. 범죄인 송환법을 추진하며 캐리람 행정부는 베이징과 시위대 사이에서 길을 잃었다.

홍콩의 위기는 중국식 거버넌스에 뿌리를 둔다. 통치의 정당성을 직접선거의 민주주의가 아닌 통치 능력으로 증명하는 메리토크라시(meritocracy·능력주의)의 한계다. 일당독재는 효율성과 취약성이 공존한다.

자유민주국가의 집권자는 선거로 위임받은 권력을 임기 동안 행사할 뿐이다. 포퓰리즘에 취약하지만, 정통성 위기는 없다. 2019년 홍콩 시민 60%가 민란을 꿈꾸는 이유다.

신경진 베이징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