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K팝 못지 않은 한식 열기…송편·콩나물국밥도 척척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2면

8개국에서 온 ‘2019 한-아세안 한식요리 콘테스트’ 결승 참가자들. 이번 대회 주제는 ‘쌀을 이용한 한식요리’였다. [사진 한식진흥원]

8개국에서 온 ‘2019 한-아세안 한식요리 콘테스트’ 결승 참가자들. 이번 대회 주제는 ‘쌀을 이용한 한식요리’였다. [사진 한식진흥원]

지난달 26일 서울 중구에 있는 한식문화관에서 ‘2019 한-아세안 한식요리 콘테스트’ 결승전이 개최됐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기념해 마련된 이번 행사의 주제는 ‘쌀을 이용한 한식요리’였다. 아세안 국가들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쌀은 모두에게 친숙하면서도 각각 고유 품종과 조리법이 있어 여러 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이해하는 데 좋은 식재료라는 것에 포인트를 둔 행사였다.

한-아세안 8개국 한식요리 대회 #대상은 영양솥밥 반상 차림

대상을 받은 말레이시아 참가자의 영양솥밥 한 상 차림. 고등어구이·순두부 찌개·나물반찬까지 제대로 된 한식 반상 차림으로 심사위원들의 점수를 얻었다. [사진 한식진흥원]

대상을 받은 말레이시아 참가자의 영양솥밥 한 상 차림. 고등어구이·순두부 찌개·나물반찬까지 제대로 된 한식 반상 차림으로 심사위원들의 점수를 얻었다. [사진 한식진흥원]

이날 미얀마·인도네이사·필리핀·싱가포르·베트남·말레이시아·라오스·태국 등 8개국에서 온 참가자들은 한식문화관 내 조리시설을 이용해 1시간 동안 요리를 하고 바로 심사를 거쳐 대상·우수상·장려상 3개 부문 수상자를 가렸다. 대상은 말레이시아 참가자 아질리아나 라쉬다 빈티 압드라하만이 만든 영양솥밥 한 상 차림이 받았는데 돌솥에 지은 밥과 더불어 고등어구이·해물순두부찌개·오이볶음·계란말이 등을 함께 차려냈다. 우수상은 태국 참가자 아리사라 라벨리의 쌈밥·소불고기·송편, 장려상은 베트남 참가자 카듄의 비빔밥이 각각 수상했다.

우수상을 받은 태국 참가자의 쌈밥·소불고기·송편. [사진 한식진흥원]

우수상을 받은 태국 참가자의 쌈밥·소불고기·송편. [사진 한식진흥원]

이번 콘테스트 참가자들은 올해 상반기 8개국에서 실시된 예선대회 우승자들로 조리사·물리치료사·은행매니저·대학생 등 직업도 다양했다. 이들이 각각 한식을 좋아하게 된 이유도 다양하다. “건강에 좋은 매력적인 맛을 갖고 있다.”(미얀마·나우 타 래 파우) “독특한 모습과 맛 뿐만 아니라 대부분 채소를 이용하기 때문에 몸에 매우 좋다.”(인도네시아·라펠 타이루니사 푸트리) “방짜유기·옹기·맷돌 등에 관심이 생겨 한식을 좋아하게 됐다.”(싱가포르·수하르티 빈티 후세인 압둘라 후인)

싱가포르 참가자가 만든 단호박밥. [사진 한식진흥원]

싱가포르 참가자가 만든 단호박밥. [사진 한식진흥원]

유튜브로 한식을 공부한다는 베트남 참가자 카듄은 “아이들이 채소를 잘 안 먹어서 일부러 베트남 집에서도 비빔밥을 자주 해주는데 색색이 예쁘다며 아주 좋아한다”고 했다. 유튜브 내용을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어서 8개월 간 한국어 학원까지 다녔다는 카듄은 이날 요리도 직접 한국어로 소개했다.

심사위원은 권우중 셰프(미슐랭2스타 한식당 ‘권숙수’), 페데리코 하인즈만 셰프(건강한食 홍보대사·파크하얏트 서울 총주방장), 홍신애 요리연구가, 이보은 요리연구가, 안재보 셰프(2018 청년한식당 국산식재료 지원사업 우승자·식당 ‘지져스’) 등이 맡았다.

농림축산부 이재욱 차관과 말레이시아에서 온 대상 수상자.

농림축산부 이재욱 차관과 말레이시아에서 온 대상 수상자.

권우중 셰프는 “옛날 같으면 불고기·된장찌개·궁중떡볶이 등이 주를 이뤘을 텐데 오늘 송편·콩나물국밥·단호박밥 등이 등장하는 걸 보고 외국인이 좋아하는 한식이 훨씬 다양해진 데 놀랐다”고 심사소감을 말했다. 이보은 요리연구가는 “간장·고추장 등 한식 소스를 어느 시점에 넣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있었다”며 “모두 한식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또 연습을 많이 해본 솜씨였다”고 총평했다.

홍신애 요리연구가는 “오늘 대상 수상자는 ‘한식’ 단품을 넘어 밥·찌개·반찬이 있는 ‘한식 반상’ 문화를 이해하고 그것을 똑같이 재현했다는 데 높은 점수를 받았다”고 심사기준을 설명했다. 그는 덧붙여 “출품된 ‘한식’은 대부분 우리가 평소 즐겨 먹는 종류들이었다”며 “한식 글로벌화를 위해 외국인이 좋아하는 입맛을 맞추려 뭔가를 넣고 뺄 게 아니라, 우리가 늘 먹는 정통 한식 그대로를 선보이는 게 가장 좋은 글로벌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선재마율 한식진흥원 이사장은 개회사에서 “이번 행사를 통해 우리나라와 아세안 국가 간 문화적·경제적 우호관계를 형성하고, 한식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넘어 공동 번영의 동반자로서 한식으로 한-아세안의 화합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서정민 기자 meantr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