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순장 무덤도 통째 재현…28년 만에 한자리 모인 가야 유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막한 '가야본성-칼과 현' 특별전에 3.5m 높이 진열대에 한가득 가야 토기를 모은 일명 '가야 토기탑'이 선보였다. [연합뉴스]

2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막한 '가야본성-칼과 현' 특별전에 3.5m 높이 진열대에 한가득 가야 토기를 모은 일명 '가야 토기탑'이 선보였다. [연합뉴스]

전시회 초입에 6단 높이(3.5m)로 촘촘히 쌓아 올린 토기 진열장이 시선을 사로잡았다. 원통형으로 만들어 360도 어느 방향에서도 볼 수 있게 250건의 가야 토기를 전시했다. 일명 ‘가야 토기탑’이다. 1500년 뒤 후손들에겐 다소 낯선 가야의 역사를 한눈에 응축했다. 여러 나라로 쪼개진 채 한반도 남부에서 약 520년 간 지속됐던 ‘공존’의 역사가 다채로운 상형 토기들에 서려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가야본성-칼과 현' #도쿄박물관 등 협조로 2600여점 한자리에 #신하 35명 순장했던 대가야 왕 무덤 재현 #일본서도 순회 전시 "역사 토론 계기될 것"

국립중앙박물관의 올해 마지막 특별전인 ‘가야본성-칼과 현’이 3일 기획전시실에서 개막한다. 지난해 ‘대고려, 그 찬란한 도전’을 잇는 기획전시이자 가야 주제로는 1991년 이후 28년 만이다. 말 탄 무사모양 뿔잔(국보 275호) 등 2600여점이 한자리에 모였다. 삼성미술관 리움, 일본 도쿄국립박물관 등 31개 기관 협조로 이뤄졌다.

가야 역사가 낯선 것은 우리 역사 인식이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 문헌기록에 의존하고 있어서다. 신라‧백제‧고구려 위주의 서술 때문에 가야는 김수로왕 설화와 우륵의 가야금 정도만 전해질 뿐이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고고학적 발굴이 활발해지면서 가야의 권역과 교류, 문화가 실체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1991년 ‘신비한 고대왕국 가야’ 전시가 당시 성과를 1차적으로 정리했다면 이번 전시는 그 후 30년 가까이 축적된 사료 및 학술 연구를 체계적으로 종합한다.

가야 무사상을 재현한 전시물. 2일 개막한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가야본성-칼과 현' 특별전에 소개됐다. [연합뉴스]

가야 무사상을 재현한 전시물. 2일 개막한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가야본성-칼과 현' 특별전에 소개됐다. [연합뉴스]

2일 언론에 먼저 공개된 전시는 가야의 특성을 '철과 현'으로 이름지었다. 악사 우륵의 생을 다룬 김훈의 소설 『현의 노래』에서 발췌한 문구들이 이해를 돕는다. 프롤로그에서는 설화 형태로 전하는 가야의 시작을 소개하고 끝부분엔 가야 멸망 후의 디아스포라(본토를 떠나 타지에서 원래 규범과 관습을 유지하며 살아감)를 이야기한다. 1~4부로 구성된 본 전시는 각각 공존‧화합‧힘‧번영이라는 주제를 다룬다.

특히 2부 화합 섹션에선 방 하나를 할애해 고령 지산동 44호 왕의 무덤을 실제 크기에 가깝게 재현했다. 지산동 44호분은 6세기 초 조성된 대가야 최고 지배자의 고분으로 직경 27m, 높이 6m에 달한다. 주인공을 묻은 주곽이 중앙에 배치되고 부곽 2기가 남쪽과 서쪽에 있으며 이를 감싸듯 사방에 순장곽 32기가 놓인 채 발굴됐다. 총 35명의 순장자는 호위무사‧마부‧옷감관리인 등 왕을 섬긴 신하들과 그 가족으로 추정된다. 다만 발굴 당시 이미 도굴꾼이 일부 부장품을 털어갔기에 다른 무덤에서 출토된 금관 등을 섞어서 무덤 유물을 재현했다. 또 공간 규모상 순장자의 방은 벽면에 그래픽 영상으로 처리했다. 대가야 왕의 위세를 짐작할 수 있는 대목이다.

‘대고려전’과 비교할 때 빛나거나 화려한 유물은 많지 않다. 각종 토기 외에 ‘철의 나라’답게 각종 무기와 철기 제품들이 주를 이룬다. 1992년 신문배달 소년이 경남 함안의 한 아파트 공사장에서 발견해 수습된 말 갑옷(마갑·馬甲)도 이번 전시에 선보인다. 이 마갑총 유물은 최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이 밖에 철갑옷과 투구 등 정교하게 다듬어진 무기류가 당시의 수준 높은 철제 기술을 보여준다.

국보 제138호 가야 금관.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보 제138호 가야 금관. [사진 국립중앙박물관]

함안 말이산 고분에서 나온 항아리(왼쪽)와 집모양 토기.[사진 국립중앙박물관]

함안 말이산 고분에서 나온 항아리(왼쪽)와 집모양 토기.[사진 국립중앙박물관]

2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막한 '가야본성-칼과 현' 특별전 언론공개회에서 참석자들이 전시물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2일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막한 '가야본성-칼과 현' 특별전 언론공개회에서 참석자들이 전시물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전시를 통해 확인되는 가야는 호남동부지역까지 세력을 뻗쳤던, 삼국이 아닌 ‘사국사기’의 한 주인공이다. 특히 가라국(대가야)은 낙동강에서 섬진강에 이르는 여러 지역을 규합했는데, 남으로 여수 고락산성, 서로는 지리산을 넘어 장수 삼봉리와 남원 두락리에 이르는 넓은 지역이 여기에 해당한다. 가야는 남원‧순천 지역 세력을 규합하고 중국에 사신을 파견하는 등 위상을 과시했다. 창원 현동에서 출토된 ‘배 모양’ 토기는 가야인들이 일본 등과 활발한 해상무역을 벌였음을 드러낸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이번 전시품 절반 정도가 새롭게 박물관에서 소개되는 것”이라면서 “고대사의 지역적 공통성 및 동서의 문화적 연대성을 보여줘 우리 한반도사를 다시 인식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전시가 가야고분군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도 힘을 실을 수 있길 바란다”고도 했다. 가야고분군은 산 능선을 따라 조성된 독특한 형태라 유네스코가 중시하는 '경관'에서 유의미한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거란 설명이 따랐다.

합천 옥천에서 출토된 철제 말머리 가리개.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가야본성-칼과 현' 전시에 선보였다. 강혜란 기자

합천 옥천에서 출토된 철제 말머리 가리개.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가야본성-칼과 현' 전시에 선보였다. 강혜란 기자

국립중앙박물관 전시는 내년 3월 1일까지다. 이어 부산시립박물관(4월1일~5월 31일)을 들렀다가 일본으로 가서 국립역사민속박물관(7월6일~9월6일)과 규슈국립박물관(10월12일~12월6일)에도 순회된다. 윤온식 학예연구사는 “한국과 일본 간 문화적 소통에도 큰 의미가 있고 역사 발전 과정에 대한 깊이 있는 학술토론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