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고소득 10명 중 8명 극장 갈 때 저소득 10명 중 7명 근처도 못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저성장에도 ‘여가’의 가치가 소중해진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 ‘여가’는 국민이 평등하게 향유하고 있을까. 중앙일보는 지난 2011년부터 2019년까지 발표된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로 월급 100만원 미만 저소득층과 6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의 문화생활 수준과 만족도를 분석했다.

국민소득 3만달러시대 ‘문화 격차’ #해외여행·스포츠관람 늘고있지만 #저소득층은 여전히 여가 못 누려

3만달러 시대의 '문화 격차'. 그래픽=심정보 shim.jeongbo@joongang.co.kr

3만달러 시대의 '문화 격차'. 그래픽=심정보 shim.jeongbo@joongang.co.kr

저소득층의 문화생활 수준은 8년 전보다 분명히 나아졌다. 월급 100만원 미만인 저소득층의 지난 1년간 해외여행 경험자 비중은 2011년 5.9%에서 올해 10.9%로 두배 가까이 늘었다. 8년 전에는 저소득층 100명 중 6명 정도가 해외여행을 했다면, 올해는 그 인원이 11명으로 늘어난 것이다. 콘서트·영화관·야구장 등에서 문화·예술·스포츠 활동을 즐긴 저소득층 비중도 2011년 23.1%에서 올해 29.3%로 증가했다.

관련기사

저소득층의 여가 생활 만족도도 높아졌다. 저소득층이 ‘여가 생활에 만족한다’고 답한 비중은 2011년 10.8%에서 올해 16.3%로 5.5%포인트 증가했다. 지갑은 가벼워도 여가 속에서 행복을 느끼는 저소득층이 늘어난 셈이다.

하지만, 저소득층보다 고소득층의 문화생활 수준이 훨씬 높아지다 보니 ‘문화 격차’는 더욱 커졌다. 고소득층 가운데 지난 1년간 해외여행을 경험한 사람의 비중은 2011년 39.9%에서 올해 51.9%로 증가했다. 저소득층 10명 중 1명이 해외여행을 했다면, 고소득층은 둘 중 한 명은 이를 경험하는 시대가 된 것이다.

고소득층 중 문화·예술·스포츠 콘텐트를 경험한 사람의 비중도 2011년 81.8%에서 올해 85.9%로 증가했다. 저소득층은 10명 중 7명은 박물관이나 미술관, 영화관 근처에도 못 가고 있는 현실과는 상반된다. 저소득층 가운데 문화·예술·스포츠 콘텐트를 경험한 사람의 비중은 2011년 23.1%에서 올해 29.3%로 올랐지만 여전히 30%를 밑돈다.

저소득층과 고소득층 간 격차가 좁혀지는 부분이 있다면, 책과 신문을 읽는 사람의 비중이다. 저소득층 중 지난 1개월간 신문을 읽은 사람의 비중은 올해 33.7%로 고소득층(85.3%)과 차이는 있다. 하지만, 그 격차는 2011년 54.4%포인트에서 올해 51.6%포인트로 좁혀졌다. 지난 1년간 책을 한 권이라도 읽은 ‘독서인구’의 격차 역시 마찬가지다. 계층 간 격차는 2011년 53.9%포인트에서 올해 44%포인트를 기록했다. 사실 이는 책·신문을 읽는 사람이 모든 소득 계층에서 감소한 영향이 크다. 활자 매체를 ‘읽는 시대’에서 유튜브·넷플릭스 등 영상 매체를 ‘보는 시대’로 바뀌는 현상은 소득 계층 구분 없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문화 격차’는 소득 양극화의 ‘거울’이라고 지적한다. 주력 산업 부진으로 민간 일자리가 줄고, 현금성 복지 등 각종 재정 지원이 중산층 이상에도 지원되는 등 소득 양극화가 커진 결과 문화 불평등이 심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김태기 단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저소득층은 저가 항공권과 무료 전시·공연 등 공급 측면에서 저가 상품이 늘어 문화 수준을 높일 수 있게 됐지만, 소득 양극화가 더 벌어지다 보니 중산층 이상의 문화 수준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며 “양극화 해소에 실패한 경제 정책에 대한 방향 전환이 필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세종=김도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