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국 먼지알지] 중국과학원 “韓, 중국발 미세먼지 과장”…사실일까?

중앙일보

입력

베이징(왼쪽)과 서울의 미세먼지. [AP, 뉴시스]

베이징(왼쪽)과 서울의 미세먼지. [AP, 뉴시스]

중국이 한국 초미세먼지 가운데 32%가 중국에서 날아왔다는 내용의 한·중·일 공동보고서 결과에 대해 “중국의 영향을 과장했을 수 있다”는 해석을 내놨다.

중국환경과학원은 지난 20일 ‘동북아시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LTP,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국제 공동연구 요약보고서’가 공개된 이후 "한·중·일 3국 초미세먼지는 모두 본국 배출량 위주다. 각 국가는 각자 자신의 오염 배출량 감축에 집중해야 한다"는 제목의 글을 홈페이지에 공개했다.

LTP보고서는 한국‧중국‧일본 3국이 서로 미세먼지를 얼마나 주고받는지를 처음으로 공동 연구해 내놓은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초미세먼지는 32%가 중국에서, 51%가 국내에서, 2%가 일본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관련기사

“자국 기여도 낮게, 장거리 이동 높게 평가”

 한·중·일 3국의 초미세먼지(PM2.5) 상호 기여율.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한·중·일 3국의 초미세먼지(PM2.5) 상호 기여율.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중국환경과학원은 차이파허(柴發合) 대기영역 수석전문가와의 인터뷰(문답) 형식으로 보고서의 결과를 분석했다.

차이파허 연구원은 “한국이 고농도일 때 한국 주요 도시에 대한 중국의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 기여율은 약 30%”라며 “한국과 일본은 중국의 풍하 지역(편서풍이 닿는 지역)에 놓여 있기 때문에 중국의 오염 배출은 한국과 일본의 주요 도시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국발 미세먼지의 영향을 인정한 셈이다.
그는 다만 “한국과 일본이 배출하는 오염물질이 오히려 중국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차이파허 연구원은 이번 연구에 사용된 한국 측 데이터를 문제 삼으면서 중국발 미세먼지의 영향이 과장됐을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을 폈다.

그는 “중국은 2017년까지 갱신한 데이터로 (연구를) 진행했으며, 2018~2019년 오염물질 배출량은 계속 감소하고 있다”며“한국과 일본이 사용한 배출량 데이터는 2015년의 것이며, 한국 정부가 발표한 데이터를 보면 2016년 한국의 오염물질 배출량은 2015년보다 약 2% 높아졌다”고 말했다.

또, 기여도를 평가하는 모델 자체가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국내 오염을 과소평가할 수 있다는 주장도 내놨다. 그러면서 “서울 도시권 배출 리스트 중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은 약 50% 수준으로 저평가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질소산화물은 미세먼지 원인 물질 중 하나로 주로 자동차에서 배출된다.

차이파허 연구원은 이를 근거로 “한국과 일본에 대한 중국의 오염물질 이동 영향 시뮬레이션 결과를 과장했을 수 있다”며 “이런 불확실성이 아마 자국 배출량의 기여도를 낮게 평가하고, 장거리 이동 기여도를 높게 잡은 데에 기여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중 “대기오염 배출량 줄었지만, 한국은 많아져”

지난해 11월 26일(왼쪽)과 올해 9월 8일 징산공원에서 내려다 본 자금성.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시야가 확연하게 다르다. 사진 강찬수 기자, 유선욱

지난해 11월 26일(왼쪽)과 올해 9월 8일 징산공원에서 내려다 본 자금성.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시야가 확연하게 다르다. 사진 강찬수 기자, 유선욱

중국 측은 자국의 미세먼지 감축 성과를 제시하면서 한국을 압박했다

차이파허 연구원은 “중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대폭 감소했으며 공기질도 눈에 띄게 좋아졌지만, 동일한 기간 한국의 주요 오염물질 배출량은 절대 줄지 않았고 반대로 많아졌다”고 말했다. 2014년에서 2016년 사이에 한국의 주요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3~15% 증가했다는 국내 통계자료를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각 국가는 반드시 자신에게 초점을 맞춰야 하며, 자국의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주요한 조치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차 생성 유발하는 암모니아·VOC 줄지 않아”

조명래(왼쪽) 환경부장관이 24일 오후 일본 기타큐슈에서 열린 제21차 한중일환경장관회의에서 공동합의문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환경부]

조명래(왼쪽) 환경부장관이 24일 오후 일본 기타큐슈에서 열린 제21차 한중일환경장관회의에서 공동합의문에 서명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 환경부]

그렇다면 중국 측의 주장대로 보고서에 나온 중국발 미세먼지의 영향이 과장된 것일까.

이에 대해 LTP 연구에 참여한 우정헌 건국대 기술융합공학과 교수는 본지와 전화 인터뷰에서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고 반박했다.

왜 한국과 일본만 중국보다 오래된 데이터를 썼나
연구 당시 일본과 한국은 2015년 데이터가 가장 최신이었다. 통계 자료가 나오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에서도 마찬가지로 그 정도 시간을 둔 데이터를 쓴다. 중국의 경우 이번 연구를 위해 2017년 자료를 만든 거다. 중국 입장에서는 과거보다 줄어든 배출량 자료를 활용했기 때문에 마음속으로 기대치가 더 컸을 것이다.
중국의 주장대로 중국발 미세먼지가 과장된 것인가
일반적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이 누락되거나 미산정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저평가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부분들까지 찾아서 배출 인벤토리를 보완했다. 또, 서울의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이 50% 수준으로 저평가됐다는 주장은 KORUS-AQ 당시 댄 골드버그 논문을 근거로 한 것인데 중국 입장에서 유리하니까 자꾸 인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해당 논문에 사용된 연구 방법론에는 오류가 있다.
정말로 중국의 대기오염 배출량은 줄었나
실제로 초미세먼지(PM2.5)나 이산화황(SO2)은 과거보다 많이 줄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 측에서는 한국에 대한 기여율이 많이 줄었을 거로 기대했을 것이다. 문제는 미세먼지의 대부분이 2차 생성을 통해 발생하는데 2차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물질인 VOC와 암모니아는 줄지 않았다.

우 교수는 “각자가 책임지는 데이터가 햇빛을 봤다는 뜻에서 LTP 보고서 공개는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2차 생성 미세먼지처럼 한·중·일 모두가 안고 있는 과제를 토대로 협력의 길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먼지알지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mgrg.joins.com/

먼지알지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mgrg.joins.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