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당 김세연 후폭풍…황교안 “총선서 평가 못받으면 사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1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리더스포럼 2019’에 참석한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행사장을 떠나고 있다. 왼쪽은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국회사진기자단]

1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리더스포럼 2019’에 참석한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행사장을 떠나고 있다. 왼쪽은 이원욱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 [국회사진기자단]

자유한국당에 18일 ‘김세연발(發)’ 후폭풍이 불었다. “한국당은 수명이 다했다. 존재 자체가 역사에 민폐다. 황교안 대표를 포함해 의원 전원이 내년 총선에 불출마하자”고 한 전날(17일) 그의 제안 때문이다.

당 일부 “황 대표, 험지출마 말 안해 #김 의원 결단 요구에 뻔한 답” 비판 #황 대표 측근, 친박계는 반발 확산 #“먹던 우물에 오물 투척한 수준”

황교안 대표는 “총선에서 국민에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면 나부터 책임지고 물러나겠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이날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지난주 김성찬 의원과 김세연 의원이 총선 불출마 선언을 했다. 한국당과 자유민주 진영이 나아갈 쇄신에 대한 고언도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당 쇄신은 국민적 요구이자 반드시 이뤄내야 할 시대적 소명이다. 확실하게, 과감하게 쇄신해 나갈 것”이라고도 했다.

한국당이 총선에서 패하면 황 대표는 당연히 물러날 수밖에 없다. 김세연 의원의 총선 전 결단 요구에 황 대표가 ‘뻔한 답’을 내놓았다는 얘기다. “지도부 살신성인(殺身成仁)이 공론화한 만큼 험지(비례대표 후순위 포함) 출마 정도는 공언했어야 현 체제를 유지하겠다는 황 대표 주장의 진정성이 받아들여졌을 것”이란 비판도 나온다. “총선 승리를 위해 보수의 미덕인 자기희생을 해야 할 시점에 당 내부 논쟁에 휘말린 게 더 큰 문제”(초선 의원)라는 우려도 나왔다.

관련기사

실제로 한국당은 이날 “존재가 역사에 민폐. 생명력 잃은 좀비 같은 정당” 등의 발언을 두고 황 대표 주변과 친박계를 중심으로 부글부글 끓었다. 고질적인 계파 갈등 재연 우려도 나왔다. 영남지역의 한 의원은 “먹던 우물에 침 뱉는 수준을 넘어 오물을 투척한 수준”이라며 “의원들보다 지역에서 묵묵히 일하는 당직자·당원들의 분노가 크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재선 의원도 “당 쇄신·혁신, 지도부 살신성인 같은 고언은 꼭 필요한 얘기지만, 저렇게 저주에 가까운 말은 역효과가 날 수 있다”고 했다.

당 해체를 주장한 김 의원이 당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여연) 원장직을 유지하는 데 대한 반감도 컸다. “여론조사 가지고 불미스러운 시도가 있지 않도록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겠다”는 이유도 논란이 됐다. 당 지도부 인사는 “우리가 장난칠 상황도 아닐뿐더러, 여연 원장이 공천 권한이 있는 것도 아닌데 전횡을 막겠다는 것도 난센스”라고 말했다.

하지만 비박계에선 “김 의원의 고뇌에 찬 결단에 한국당이 제대로 응답 못 하면 더 거센 비판과 함께 존재 이유를 엄중하게 추궁당하는 일이 벌어질 것”(김용태 의원) 등의 주장이 나왔다. 다만 “존재가 민폐, 당을 해체하자 등의 주장은 현실적이지도 않고 과했다”(비박계 중진 의원)는 평가도 있어 과거처럼 전면적인 ‘친박 대 비박’ 계파 갈등으로 불거질지는 미지수다.

다만 김 의원의 불출마로 한국당의 쇄신 압박은 더 강해졌다는 게 중론이다. “기득권 정당 이미지를 탈바꿈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당을 해산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렵지만 보수 대통합, 쇄신으로 재창당 수준으로 당의 면모를 확 바꿔야 한다”(수도권 의원)는 주장이 나오고 있어서다.

◆황교안·청와대 영수회담 진실게임=한편 황교안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현재의 위기 상황 극복을 논의하기 위해 회담을 제안한다. 곧바로 회답해달라”고 했다. 6시간30분 뒤 청와대는 “영수회담 제안은 공식적으로 사전·사후에 전달받은 바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하지만 이후 “정무라인과 통화했다. 추후 가부(可否)를 알려주겠다는 말을 들었다”(한국당 측), “사실관계 확인차 연락했다”(청와대 측)는 주장이 맞서며 ‘진실게임’ 양상이 벌어졌다.

한영익·성지원 기자 hanyi@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