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년전 포항지진은 10차례 이상의 경고음을 모두 무시한 결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강덕 포항시장(왼쪽 첫 번째)이 15일 서울 중구 힐튼호텔에서 열린 포항지진 2주년 국제 심포지엄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발생 2년을 맞은 포항지진이 단순 지역 이슈로 축소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을 고려해 전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뉴스1]

이강덕 포항시장(왼쪽 첫 번째)이 15일 서울 중구 힐튼호텔에서 열린 포항지진 2주년 국제 심포지엄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발생 2년을 맞은 포항지진이 단순 지역 이슈로 축소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을 고려해 전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뉴스1]

“2년 전 포항지진은 지열발전 개발 전 과정에서 10차례 이상의 경고음을 모두 무시한 결과였다.”“대도시 인근에서 대규모 단층대에 거의 직접적으로 물을 주입한 것은 매우 위험한 행동이다.”

11.15 지진 지열발전 공동연구단은 15일 밀레니엄힐튼서울 호텔에서‘2019 포항지진 2주년 국제 심포지엄’을 열고, 2017년 11월 발생한 규모 5.4 포항지진의 원인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결과를 밝혔다. 발표자로는 포항지진이 지열발전에 의한 촉발지진이라는 점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한 고려대 이진한 지구환경과학과 교수와, 부산대 김광희 지질환경학과) 교수,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장을 맡았던 서울대 이강근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세르지 샤피로 베를린자유대 교수 등이 참여했다.

주최 측은 이번 심포지엄이 그간 축적된 연구결과 발표와 함께 포항 지열발전 개발의 잘못된 점을 규명하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부산대 김광희 교수가 15일 서울 밀리니엄서울힐튼 호텔에서 열린 포항지진 2주년 국제 심포지엄에서 2017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최준호 기자

부산대 김광희 교수가 15일 서울 밀리니엄서울힐튼 호텔에서 열린 포항지진 2주년 국제 심포지엄에서 2017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최준호 기자

김광희 부산대 교수는 ‘2017 규모 5.5 포항지진의 경고 무시’라는 발표를 통해 개발 전 과정에서 일어났던 문제점들을 조목조목 비판해 이날 심포지엄 참석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김 교수는 “포항지열발전소의 부지선정, 시추공 굴착, 지열 저류층 형성 등의 모든 단계에서 10차례 이상의 경고음이 있었으나 모두 무시됐다”며“특히 1차 물 주입 이후 미소지진이 발생하자 관계기관과 포항주민의 동의도 받지 않고 미소 지진 허용 기준치를 기존 2.0에서 2.5로 높이는 방법으로  신호등 체계를 수정했다”고 비판했다.

지열발전을 위한 부지 선정 과정의 문제점도 지적했다. 국내에는 포항 외에도 강릉과 석모도(인천)ㆍ울릉도ㆍ제주가 지열 발전 후보지로 꼽혔지만, 소비지에서도 가깝고, 지열이 풍부함에도 그간 지진이 많이 나지 않았다는 이유로 포항을 최적부지로 선정했다는 게 김 교수의 분석이다.

이강근 서울대 교수는 지난 3월 발표한 정부조사연구단 보고서를 요약 발표했다. 그는“포항지열발전소가 뚫은 2개의 시추공(PX-1ㆍPX-2) 사이에 대규모 단층대가 이미 존재했으며, 단층대에 물 주입이 계속되면서 약한 규모의 유발 지진이 발생하다가 결국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촉발된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올 3월 정부조사단 보고서 발표에서“포항지열발전소의 시추공들 사이에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단층대가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이와 관련 부산대 김광희 교수는 발표에서 “포항에 대한 사전 단층조사도 부족했고, 유발지진의 유해성 평가도 부재했다”며“지열발전소를 세우기 전 자기지 전류탐사 결과를 통해 포항의 지하단층에 파쇄대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지만, 이를 지하 지열 저류층에 유익한 유체순환 경로로 인식했다”며 말했다.

이진한 고려대 교수는 포항지진은 촉발지진이 아니라는 국내 학계 일부의 주장에 대해서 반박했다. 지열발전이 규모5 이상의 지진을 일으키기에는 물 주입량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과, 마지막 물 주입 후 두 달 위에 포항지진이 일어난 것은 둘 사이에 인과관계가 없다는 뜻이라는 주장이다.
이 교수는 “단층대가 시추공의 가까이에 있다면 적은 양으로도 규모 5 이상의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며“미국 덴버에서 발생한 지진 중 규모 5 이상의 지진은 육군 병기창이 시추공 속에 폐수를 집어넣은 것이 원인이었으며, 물을 주입한 지 1년 뒤에 발생한 것”이라고 반박 근거를 밝혔다.

샤피로 교수도 포항지열발전의 신호등 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그는“(2016년 12월 23일) 규모 2.3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유체주입을 멈췄으면 포항지진의 발생 확률을 1% 미만, (2017년 4월 15일) 규모 3.3의 지진이 발생했을 때 유체주입을 멈췄으면 포항지진 발생 확률을 3% 미만으로 낮출 수 있었다”는 주장했다.

최준호 기자 joo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