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은행서 판 독일 금리 연계 DLF 상품, 2.2%로 첫 수익 발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우리은행이 지난 5월 판매해 원금 전액 손실 위기까지 몰렸던 독일 국채 금리 연계 파생결합펀드(DLF) 상품이 2.2%의 수익을 냈다. 우리은행에서 판매한 DLF 가운데 손실이 아닌 수익이 시현된 건 이 상품이 처음이다.

 11일 우리은행에 따르면 오는 12일 만기가 돌아오는 독일 국채 금리 연계 DLF 상품 'KB 독일 금리연계 전문투자형 사모증권 투자신탁 제6호[DLS-파생형]'의 수익률이 2.2%로 확정됐다. 이 상품은 지난 5월 10일 우리은행이 총 113억원 규모로 판매했다.

 이 상품의 만기 평가일은 지난 8일이었다. 상품은 기초자산인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가 지난 8일 기준 원금손실 발생 가능구간(배리어)인 -0.3%보다 높으면 수익이 나고 그렇지 않으면 손실이 나는 구조로 설계됐다. 지난 8일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가 -0.284를 기록해 배리어보다 높아지면서 수익 구간에서 만기를 맞게 됐다.

우리은행에서 PB들을 상대로 배포한 독일국채 10년물 금리 연계 DLF(파생상품 결합증권 펀드) 상품 안내서. 기초 자산인 독일국채 10년물 금리가 낮아지고 있는 와중에 "현재 부진한 성장세는 올 4분기에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원금손실율이 0%인 백테스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은행 DLS 투자자]

우리은행에서 PB들을 상대로 배포한 독일국채 10년물 금리 연계 DLF(파생상품 결합증권 펀드) 상품 안내서. 기초 자산인 독일국채 10년물 금리가 낮아지고 있는 와중에 "현재 부진한 성장세는 올 4분기에 반등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원금손실율이 0%인 백테스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우리은행 DLS 투자자]

 우리은행이 판매한 독일 국채 금리 연계 DLF 중 만기를 앞둔 상품은 오는 19일이 만기일인 2개 뿐이다. 남은 2개 상품은 각각 만기 평가일인 14일과 15일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가 -0.33%과 -0.30% 아래로 내려가지만 않으면 수익률 2.3%를 확정하게 된다.

 단 하루 차이로 희비가 엇갈린 상품도 있었다. 만기가 11일이었던 우리은행 판매 DLF 상품의 손실율은 21.5%로 확정됐다. 평가일인 지난 7일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가 배리어(-0.25%)보다 0.04%포인트 낮은 -0.29%를 기록한 탓이다.

 한편 독일 국채 금리와 영국 CMS 금리 등 해외금리를 기초자산으로 삼은 DLF는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 등에서 약 8000억원 규모로 팔렸다. 일부 투자자의 경우 상품에 연계된 금리 하락으로 원금을 모두 날리는 손실을 입기도 했다.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펀드(DLS·DLF)에 투자했다 손실을 본 한 피해자가 1일 서울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앞에서 금융당국의 조사와 계약 무효를 요구하며 오열하고 있다. [뉴스1] 우리·하나은행의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펀드(DLS·DLF) 피해자비대위가 1일 오전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앞에서 열린 DLS판매 금융사 규탄 집회에서 한 피해자가 발언하며 오열하고 있다. DLS·DLF피해자비대위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금융당국에 DLS 판매에 대한 엄정 조사와 계약 무효임을 밝히고, 우리은행 측에는 피해자들에 대한 손해 배상 등을 요구했다. 2019.10.1. [뉴스1]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펀드(DLS·DLF)에 투자했다 손실을 본 한 피해자가 1일 서울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앞에서 금융당국의 조사와 계약 무효를 요구하며 오열하고 있다. [뉴스1] 우리·하나은행의 해외금리 연계 파생결합증권·펀드(DLS·DLF) 피해자비대위가 1일 오전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앞에서 열린 DLS판매 금융사 규탄 집회에서 한 피해자가 발언하며 오열하고 있다. DLS·DLF피해자비대위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금융당국에 DLS 판매에 대한 엄정 조사와 계약 무효임을 밝히고, 우리은행 측에는 피해자들에 대한 손해 배상 등을 요구했다. 2019.10.1. [뉴스1]

 이들 은행에서 DLF 상품에 가입한 투자자들은 은행 측의 불완전 판매를 주장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이달 중 분쟁조정위원회(분조위) 조정 절차를 거쳐 중재에 나설 예정이다. 두 은행은 분조위 조정 결정을 수용하고 고객 손실이 최소화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정용환 기자 jeong.yonghwan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