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시리아 미군 철수 계산기 두들긴 트럼프···한국 남 일 아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시리아 미군 철수 선언(일명 '쿠르드 철군')으로 인한 후폭풍이 계속되고 있다. 그간 미국에 의지했던 나라들에선 ‘쿠르드 다음은 누구냐’는 불안감이 번지고 있다. 국내 전문가들에게서도 “남의 일이 아니다”라는 우려가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지난 7일(현지시간) 트위터에 "그동안 돈을 너무 많이 썼다"며 시리아 미군 철수를 발표했다.

국제사회 덮친 '배신' 후폭풍 #미 전문가 "혈맹도 미국 못 믿어"

NYT "이스라엘이 떨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8일 트럼프 대통령의 쿠르드 철군 결정에 이스라엘이 긴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적 이익을 위해 쉽게 쿠르드를 배신했듯이, 언제든지 이스라엘에 대한 지지를 철회할 수 있다는 불안이 엄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은 중동에서 친이스라엘 행보를 이어 온 미국을 뒤에 업고 이란과 대립하고 있다. 이란의 핵 개발에 정면으로 맞서고 있으며, 이란이 레바논을 비롯한 시리아·이라크·예멘 등으로 영향력을 확장하려 할 때 선봉에서 견제해 왔다. 그러나 최근 미국이 쿠르드와의 신뢰를 깨버리자면서 이스라엘도 고민이 깊어졌다.

지난 3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 뒤 골란 고원에 대한 이스라엘의 주권을 인정하는 포고문을 들어 보이고 있다. [EPA=연합뉴스]

지난 3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왼쪽)이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회담 뒤 골란 고원에 대한 이스라엘의 주권을 인정하는 포고문을 들어 보이고 있다. [EPA=연합뉴스]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등은 미국과 공식 방위조약을 맺고 있다. 그런데 이스라엘은 쿠르드와 같이 미국과 공식적인 동맹 조약을 맺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이스라엘 칼럼니스트 사이먼 시퍼는 이스라엘의 최대 일간지 '예디오트 아하로노트' 기고문에서 "이제 칼은 우리의 등 뒤에 있다"며 "결과는 명확하다. 트럼프는 더이상 이스라엘에 신뢰할만한 대상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도어 골드 전 유엔 이스라엘 대사도 NYT 인터뷰에서 "오늘 내가 쿠르드인 것 같다"며 긴장감을 토로했다.

"모든 동맹국들에 위험한 신호" 

해외 전문가들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이 동맹국들에게 불안감을 증폭시켰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존 사이퍼 전 중앙정보국(CIA) 요원은 비즈니스 인사이더 인터뷰에서 "심지어 혈맹으로 맺어진 동맹국들이라도 미국을 믿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라고 비판했다. 쿠르드족은 시리아 근거지를 둔 극단적 테러조직 이슬람국가(IS)에 대한 미국의 대대적인 소탕작전의 성공을 도운 주인공이다. 쿠르드족이 IS 소탕작전 과정에서 잃은 대원은 1만1000여명으로 추정된다. 그런데 이 지역에서 안전판 역할을 했던 미군이 철수하면 터키가 쿠르드족 소탕작전에 나서면서 쿠르드족이 위기를 맞는다.

지난 2018년 터키군이 쿠르드 민병대를 격퇴하겠다며 시리아 북서부에 공습을 가했을 당시의 모습. [AFP=연합뉴스]

지난 2018년 터키군이 쿠르드 민병대를 격퇴하겠다며 시리아 북서부에 공습을 가했을 당시의 모습. [AFP=연합뉴스]

국내 전문가 "우리도 예외 아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결정은 '아메리카 퍼스트'로 불리는 외교적 고립주의에 기반하고 있다. 트럼프가 무역 역조, 방위비분담금 문제 등을 들어 '아메리카 퍼스트'의 잣대를 들이댄 나라가 한국이다. 김기호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 교수는 “쿠르드 철군은 강 건너 불 구경하듯 할 문제가 아니다”라며 “트럼프가 안 그래도 지역 안보에서 발을 빼려는데 북한 문제를 놓고 한·미의 속도와 폭이 어긋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에서도 쿠르드처럼 철군한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신범철 아산정책연구원 안보통일센터장은 “이번 철수 결정은 북한에 매우 위험한 메시지를 줬다”며 “미국이 과거와 같이 지역문제에 개입을 하지 않고 있으니 북한이 버티면 주한미군 철수가 가능하다는 오판의 근거를 줬다”고 말했다.

지난 9월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 하에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다시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지난 9월 북한이 김정은 국무위원장 지도 하에 초대형 방사포 시험사격을 다시 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김다영 기자 kim.dayoung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