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뒷산 가는데 웬 고어텍스?" "오버해서라도 입어야 안전"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655호 13면

“뒷산 가는데 뭔 고어텍스냐.”

고가·과잉 등산 장비 논란 계속 #WP "한국, 여름만 120만원 구매" #같은 제품도 한국선 2~3배 비싸

10여 년 전, 누군가 의문을 제기했다. 아웃도어 시장이 연 30~40% 성장하던 때였다. 활황을 타고 등산 의류가 다양해지고 가격대 편차가 커졌다. 한 벌 60만원 나가는 재킷에 누군가 탄식처럼 내뱉은 말인지, 고어텍스를 사용하지 않는 업체가 퍼뜨렸는지 출처가 불분명하다. 하지만 이 의문은 아직도 메아리가 돼 이어지고 있다. 고어텍스는 미국 고어(Gore)사의 방수·투습 소재를 일컫는다. 고유명사가 방수·투습 의류의 대명사가 된 경우다. 동시에 고가 장비, 과잉 장비라는 오명을 받기도 한다.

한 등산의류 매장에 고어텍스 재킷이 진열돼 있다. 김홍준 기자

한 등산의류 매장에 고어텍스 재킷이 진열돼 있다. 김홍준 기자

2014년 워싱턴포스트(WP)는 한국의 등산 문화를 조명했다. WP는 한국인의 열의와 함께 경쟁의식, 중독현상도 한국의 등산 열풍에 일조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름철에만 1인당 평균 1000달러(약 120만원)어치 옷을 입는다는 의류업계 관계자의 말을 인용하며 한국 등산객들이 각종 등산 장비를 갖추는 데 신경 쓰는 점을 주목했다.

실제 어떤 산악회는 고가의 의류를 유니폼처럼 입고 다니기도 한다. 산악회원 김모(55)씨는  “누군가 괜찮다 싶은 걸 사면 경쟁하듯 따라 사는 회원들이 있다”며 “그래서 패션이 비슷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김 모(45) 씨는 “좀 비싸다는 의류·장비를 갖춰야 회원들이 관심을 보내는 것 같아 계속 고가 물건을 찾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한 해 약 500만원 어치 의류·장비를 샀다고 밝혔다. 한 브랜드의 배낭은 ‘1ℓ당 1만원’이라는 별칭도 있다. 당일 산행용 30ℓ 배낭이 30만원이라는 얘기다.

비싸다 보니 기능성 등산복은 비리 현장에 종종 등장하기도 한다. 한 공무원은 산불 진화 장비  업체에 사이즈까지 제시하며 자신이 개인적으로 입을 재킷을 요구하다 적발됐다. 구청이 발주한 공사를 감독한 공무원은 건설업자에게 의류·배낭·등산화 등 ‘세트’ 200여만 원어치를 받는 등 금품을 뜯어낸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고어텍스는 한국인을 ‘봉’으로 삼는다는 의견도 있다. 한 시민단체는 외국에서 파는 같은 모델의 고어텍스 의류가 한국에서는 2배를 받는다고 했다. 대개 같은 아웃도어 제품이 수입업체를 통해 한국에 유통되면 해외 가격의 2~3배에 이르는 게 공식처럼 돼 있다.

이훈 한양대 관광학부 교수는 “아웃도어 활동에 기업의 마케팅과 상업성이 접목 됐다”며 “여가활동 자체보다 장비가 우선돼야 한다는 공식이 만들어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재근 대중문화 평론가는 “‘뒷산에 고어텍스’는 한국인 특유의 격식 차리기, 유행 타기에 편리를 추구하다 보니 나오는 현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가격 문제가 아니라 ‘값어치’를 따져봐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 8000m급 14곳을 오른 김미곤(47·한국도로공사) 대장은 등산 장비 갖추는 요령을 자동차에 비유했다. 에어백·ABS(잠김 방지 제동장치)가 없는 차보다 있는 차가 안전하다며 기능과 안전의 연계를 강조했다. 그는 “뒷산 가는데 고어텍스를 입어도 결코 과잉이 아니다”라며 “오히려 오버를 하는 게 사고를 막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지난 3일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비가 내린 설악산 인근 계곡을 지나는 탐방객들. 이들은 모두 고어텍스 재킷을 입었다. 김홍준 기자

지난 3일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비가 내린 설악산 인근 계곡을 지나는 탐방객들. 이들은 모두 고어텍스 재킷을 입었다. 김홍준 기자

김정배(44) 블랙야크 익스트림 팀장은 “해발 100m 뒷산이든, 836m 북한산이든, 산이 가까운 한국의 특성상 사고를 막기 위해선 안전을 입고 간다고 생각하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 팀장은 2003년 2월 경기도 포천 국망봉(1168m) 사고를 예로 들었다. 3형제 부부가 스키장에 놀러 갔다가 ‘뒷산 가듯’ 예정에 없던 산행을 했는데, 절반이 재킷을 입지 않고 있었다. 결국 저체온증으로 4명이 사망했다. 1971년 11월, 1983년 4월의 인수봉 사망사고(각각 7명, 4명)도 포근한 날씨에 교련복·트레이닝복 등 옷을 가볍게 입은 것이 한 원인으로 작용했다.

고 김창호 대장과 함께 네팔 강가푸르나 루트 개척으로 황금피켈상 심사위원상을 받은 최석문(46·노스페이스클라이밍팀)씨는 “산이 크건 작건 갑작스러운 날씨 변화에 따른 옷이나 장비를 잘 챙겨야 한다”면서 “해가 급격히 짧아지는 가을·겨울철은 물론 여름에도 재킷·랜턴·물은 필수”라고 말했다.

김홍준 기자 rimrim@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