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0m 치솟은 불기둥…화물선 폭발, 울산대교도 시커먼 연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울산 동구 방어동 염포부두에 정박한 외국선적 액체화물선에서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해 시뻘건 화염과 연기가 치솟고 있다.[사진 경상일보]

울산 동구 방어동 염포부두에 정박한 외국선적 액체화물선에서 폭발과 함께 화재가 발생해 시뻘건 화염과 연기가 치솟고 있다.[사진 경상일보]

28일 오전 10시 50분쯤 울산시 동구 방어동 염포부두에 정박해 있던 2만5603t급 케이맨제도 선적 액체화물선 ‘스톨트 그로언랜드(STOLT GROENLAND)’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폭발과 함께 불이 났다.

28일 오전 10시 50분 방어동 염포부두 정박 #2만5000여t급 액체화물선에서 폭발과 화재 #시뻘건 화염과 시커먼 연기 수십~수백m 솟아 #선원과 하역작업 근로자 등 12명 화상 등 부상 #인근 울산대교 차량통행 통제와 선박 대피도 #6시간 만에 큰 불 잡고 탱크 냉각 등 잔불정리

폭발 당시‘펑’하는 굉음과 함께 버섯 모양의 거대한 화염과 함께 시커먼 연기가 수십~수백m 높이까지 치솟았다. 화염은 사고 선박에서 250~300m가량 떨어져 있는 울산대교 주탑(203m)보다 높이 치솟기도 했다. 화염과 연기는 울산 시내 곳곳에서 관찰됐다.

경찰은 울산대교까지 검은 연기가 퍼지면서 운전자 시야를 가리자 사고방지를 위해 울산대교의 차량 통행을 한동안 금지했다.

화재 당시 사고 선박에 승선해 있던 러시아 선원 10명과 필리핀 선원 15명 등 외국인 선원 25명은 모두 구조됐다. 이 선박은 일본 고베를 출발해 지난 25일 오후 11시 30분 염포부두에 입항했다. 불이 나기 전  바로 옆에 정박해 있던 6583t급 싱가포르 선적 석유제품운반선 ‘바우달리안’에 알코올 계통의 화학물질 1000t을 옮겨 실을 예정이었다. 해경과 소방본부는 바우달리안 승선원 21명도 모두 구조했다.

폭발과 함께 불이 난 선박에 울산시소방재난본부와 울산해경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 경상일보]

폭발과 함께 불이 난 선박에 울산시소방재난본부와 울산해경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 경상일보]

그러나 두 선박에서 구조된 승선원과 두 선박 아래에서 하역작업을 준비하던 한국인 근로자 9명 등 12명이 부상했다. 하역회사 근로자들은 작업 중 불꽃에 화상을 입고 연기를 흡입해 부상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방본부 측은 부상자가 경상이라고 밝혔다.

스톨트 그로언랜드의 선박대리점인 울산 H사 관계자는 “H사는 스톨트 그로언랜드가 입항하면 세관 업무와 출입국 신고 등 서비스를 해주는 업체”라며 “이날 스톨트 그로언랜드가 케미칼 탱크선인 바우달리안에 화학물질을 옮겨실을 예정이었다”고 말했다.

폭발과 함께 불이 난 스톨트 그로언랜드에는 34종의 석유류와 화학물질 등 위험물 2만5000t가량이 적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가운데 불이 난 곳은 선수에서 선미까지 탱크 46개 가운데 석유류 2700t이 실린 9번째 탱크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선박 내부에서 거센 불길과 검은 연기가 계속 뿜어져 나오면서 울산시소방재난본부는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폭발과 함께 불이 난 선박에 울산시소방재난본부와 울산해경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 경상일보]

폭발과 함께 불이 난 선박에 울산시소방재난본부와 울산해경이 진화작업을 벌이고 있다.[사진 경상일보]

소방본부는 인근 소방서 소방력을 모두 동원하는 등 대응 2단계를 발령해 화재를 진압했다. 소방본부 관계자는 “선박 탱크에서 가연성 가스가 계속 나오면서 진압이 어려웠다. 육상에서는 소방본부가 화학차 8대 등 차량 60대, 인력 150명을, 해상에서는 울산 해경이 소방정 등을 동원해 진화작업을 벌였다”고 말했다. 소방본부 등은 불이 선박 내 다른 탱크로 옮겨붙거나 바로 옆 바우달리안에 옮겨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거품과 물을 계속 뿌려댔다.

소방본부와 해경은 추가 폭발이나 화재 확산에 대비해 주위 선박 등을 이동 조치했다. 다행히 불은 다른 선박에 옮겨붙지 않았으며, 이날 오후 4시 30분쯤 큰불이 잡혔다. 큰불을 잡은 소방본부는 선박에 물을 뿌리며 탱크 냉각 작업을 하고, 잔불을 정리했다.

해경은 하역작업 중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화재를 진압하는 대로 정확한 피해 규모와 사고 경위를 조사할 예정이다.

울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