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얇아지는 중산층의 ‘두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손해용 기자 중앙일보 경제부장
손해용 경제정책팀장

손해용 경제정책팀장

1961년 필리핀은 아시아에서 일본·싱가포르 다음으로 잘사는 나라였다. 당시 필리핀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한국의 약 3배. 그러나 50여년이 지난 현재는 한국의 1인당 GDP가 필리핀의 10배다. 두 나라의 운명을 가른 요인은 여럿 있지만, 그중 하나로 중산층의 ‘두께’가 꼽힌다.

필리핀 국립통계조정청장을 역임한 로물로 A 비롤라의 연구에 따르면 필리핀 가구의 74.7%는 빈곤층에 속한다. 반면 중산층은 25.2%에 불과하다. 0.1%의 상위층이 재산을 독식하다시피 한다. 국민의 구매력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보니 산업이 성장할 기초 체력이 빈약했다. 반면 한국은 60~70년대 성장기를 거치며 교육받은 중산층이 늘어났고, 이들이 구매력이 커가면서 한국의 전자·자동차·철강 산업이 세계 시장으로 도약하는 기반을 만들어줬다.

한국 외에도 미국·유럽·일본 등 선진국의 계층 구조는 중산층이 두터운 ‘항아리형’이 대부분이다. 반면 중남미·동남아 국가에선 중산층이 얇은 ‘피라미드형’ 계층 구조가 많다.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중위소득 50~150% 비중.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최저 수준으로 떨어진 중위소득 50~150% 비중.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최근 우리나라에선 중산층이 쪼그라드는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 대표적인 중산층 지표 중 하나인 ‘중위소득 50% 이상~150% 미만 비중’은 2분기 기준으로 올해 사상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2015년 67.9% ▶2016년 66.2% ▶2017년 63.8% ▶2018년 60.2% ▶2019년 58.3% 으로 4년 연속 하락세다. 질 좋은 일자리인 제조업 일자리가 사라지고, 상·하위 소득 격차가 벌어지며 빈곤층(중위소득 50% 미만)이 늘어난 영향이다.

스스로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사람, 이른바 ‘체감 중산층’도 감소세다. 1989년 갤럽조사에서는 75%가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여겼다. 3저 호황과 86아시안게임·88올림픽 등으로 나라가 성장하면서 계층 상승에 대한 낙관이 클 때다. 그러나 최근 설문 조사에서는 50%대를 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실제 중산층 비율은 52%이지만, 약 70%가 자신을 중산층으로 생각하는 미국(2018년 퓨 리서치센터 조사)과 대비된다.

정부는 이런 중산층 감소를 엄중하게 봐야 한다. 중산층은 경제를 지탱하는 ‘허리’일 뿐 아니라, 사회 갈등을 줄이고 통합을 이끌어내는 사회적 ‘안전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중산층이 위축되면 우리 경제·사회의 건강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현 정부의 경제운용 철학인 소득주도성장은 뒤처진 이들을 중산층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게 핵심이다. 당초 취지와는 반대로 중산층이 쪼그라드는 것은 정책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데 결정적인 위협이 된다.

손해용 경제정책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