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속보] 펠로시 하원의장, 트럼프 대통령 탄핵 조사 개시 발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탄핵 조사 개시를 공식 발표했다. [AP=연합뉴스]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탄핵 조사 개시를 공식 발표했다. [AP=연합뉴스]

낸시 펠로시 미 하원의장이 24(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스캔들'과 관련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대한 탄핵 조사 절차를 시작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내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공화당과 민주당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백악관과 의회가 정면 충돌하게 됐다. 트럼프 탄핵 추진으로 미국 국내 정치는 물론 국제 정치·안보와 세계 경제 등에도 파장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7월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민주당 유력 대선 후보인 조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 아들에 대한 뒷조사를 요구해 권력을 남용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펠로시 의장은 "대통령은 헌법적 질서 위반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그 누구도 법 위에 있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이어 "하원 6개의 위원회가 탄핵 조사 절차를 시작할 것을 명령한다"고 말했다.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 기록을 공개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탄핵 조사 개시를 막지는 못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통화 내용을 비밀 해제하고, 무삭제본으로 공개하라고 지시했다. 통화 녹취록은 25일 공개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트위터에서 “아주 친근하고 완벽하게 적절한 전화 통화였음을 알게 될 것”이라며 “어떤 압력도 없었고, 조 바이든과 그 아들처럼 대가를 요구하지도 않았다"고 주장했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연합뉴스]

펠로시 의장은 그동안 탄핵 조사에 부정적이었는데, 최근 입장을 바꾼 것으로 알려졌다. 여론이 뒷받침되지 않고, 상원을 공화당이 장악하고 있어 탄핵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중도파 민주당 의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탄핵 조사에 미온적이었다.

민주당 대선 후보들과 의원들의 거듭된 요청에도 오랜 기간 탄핵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의혹이 구체적으로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여론이 급격히 나빠지자 탄핵 조사를 시작하는 방향으로 돌아섰다.

펠로시 의장은 최근 당내 의원들을 상대로 탄핵 추진에 대한 의견을 타진했으며, 이날 비공개회의를 연 뒤 현지시간 오후 5시(한국 시간 25일 오전 6시) 이날 공식 발표에 이르게 됐다.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민주당에서 탄핵에 반대하던 의원들이 최근 48시간 사이 급격히 찬성으로 돌아섰다. 하원 민주당 235석 가운데 찬성 150석을 넘어섰다고 전했다.

펠로시 측근인 존 루이스 하원의원(조지아주)은 “이 나라의 정직성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한 조치로써 대통령에 대한 탄핵 절차가 시작될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면서 “이를 지연하거나 달리 행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저버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유엔 총회가 열리는 뉴욕에서 '우크라이나 스캔들' 방어에 나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바이든 전 부통령과 그 아들을 언급했다는 점은 시인했다. 부패는 반드시 없어져야 한다는 일반적인 대화를 하다가 거론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후 트럼프에게 불리한 증거들이 연이어 나왔다. WP은 23일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대통령과 통화하기 약 일주일 전 우크라이나에 대한 자금 집행을 보류하라고 지시했다는 예산 관련 부처 관계자의 증언을 보도했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바이든 부자(父子)에 대한 조사를 하도록 강요한 증거로 해석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번에도 트럼프 대통령은 이 같은 사실이 있었다는 점은 시인했다. 우크라이나에 대한 지원에 유럽이 동참하지 않는 것에 화가 나 믹 멀베이니 백악관 비서실장 대행에게 "일단 보류해, 다른 나라도 내게 하자"고 말했다는 것이다.

자금 지원을 젤렌스키 대통령 협박의 도구로 쓰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워싱턴=박현영 특파원 hypar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