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그때는 맞고 지금은 틀리다? "우린 선 너흰 악" 386세대 DNA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1980년대 초반 대학 캠퍼스는 엄혹했다. 박정희 대통령이 시해된 79년 10·26 사태 직후 불어온 ‘서울의 봄’은 80년 전두환 보안사령관의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로 싸늘히 식었다. 교정에는 전투경찰이 상주했고 페퍼포그(pepper fog, 시위진압용 가스차)와 철장을 두른 속칭 ‘닭장차’(경찰버스)가 수시로 출몰했다. 하지만 전두환 정권을 향한 대학생들의 저항은 더욱 거세졌다.

청년기에 민주화 이끈 ‘승리의 세대’ #역사적 경험 공유하며 동질감 형성 #다른 세대서 찾기 힘든 고유 특성 있어 #선악의 이분법적 사고 경향 강해 #공적 책임감 강하지만 과잉정치화 #

5.18 광주민주화항쟁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기폭제가 됐다.

5.18 광주민주화항쟁은 1980년대 민주화 운동의 기폭제가 됐다.

5·18 광주 민주화 운동의 참상을 접한 80년대 학번들은 유신체제에 항거했던 70년대 학번들에 비해 질과 양적인 측면에 크게 발전했다. 대학마다 지하 이념 써클이 생겼고『러시아 혁명사』『세계철학사』『전환시대의 논리』『해방전후사의 인식』 등의 책을 읽으면서 사상 무장에 나섰다. 80년대 초반 ‘독재 타도’ ‘민주주의 쟁취’에 머물던 시위 구호는 80년대 중반부터 ‘반미·반파쇼·자주통일’로 확대됐다.

83년 12월 해직 교수 복직과 제적생 복학을 허용한 학원 자율화 조치 이후엔 총학생회가 부활했고 전국적인 운동권 학생 조직이 결성됐다. 87년 초 박종철 열사 고문치사 사건, 같은 해 4·13 호헌조치는 폭발 직전의 민주화 운동에 불을 댕기며 6·10 항쟁으로 이어졌다. 결국 5공 정부는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골자로 한 6·29 선언을 발표했다. 그해 8월 역대 가장 강력한 대학생 전국 조직인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가 출범하면서 학생 운동은 절정기를 맞았다.

관련기사

권위주의 독재 정부에 맞서 부분적으로나마 승리를 쟁취한 80년대 학번, 60년대생들이 30대 나이가 됐을 때 이들에겐 ‘386세대’라는 칭호가 붙었다. 많은 학자는 “386세대는 다른 세대에서는 일반화하기 힘든 그들만의 집단적 사고방식, 세대적 특성이 있다”고 입을 모은다.

386세대를 분석한 책 『중년의 사회학』 저자인 정성호 강원대 사회학과 교수는 “386세대는 시대적 산물”이라며 “다른 세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고유한 특성을 많이 지니고 있다”고 분석했다. 서울대 73학번인 주대환 사회민주주의연대 공동대표(전 민노당 정책위의장)는 “당시 대학을 다니지 않은 60년대생들도 대학에 다니며 경험했던 사람들의 사고방식, 세계관 등을 공유하는 것 같다”며 “내 연배나 지금 청년 세대들이 보기에 매우 특이하다”고 말했다. 386세대가 공유하는 사고방식, 고유한 특성은 무엇일까.

386세대의 집단 특성

386세대의 집단 특성

①“우리가 독재를 끝냈다” … 낙관적 진보주의

시민사회와 종교계, 재야 정치권, 선배 세대(넥타이부대)의 조력이 있었지만, 80년대 민주화 시대를 연 주역은 386세대로 꼽힌다. 이들은 독재정권과 맞서 이겼다는 역사적 경험을 청년기에 공유했다. 이런 자신감과 우월감은 ‘우리가 나서면 바꿀 수 있다’는 낙관적 진보주의를 형성했다. 당시의 정치·경제 환경도 영향을 미쳤다. 강원택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는 “386세대는 윗세대가 갖고 있던 전쟁에 대한 공포, 물질적 궁핍에서 벗어나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사상과 생각, 행동반경을 넓힐 수 있었던 세대였다”고 말했다.
하지만 ‘승리의 경험’은 약이자 독이 됐다.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성균관대 90학번, 총학생회장 출신)은 “승리의 경험은 386세대, 특히 386 운동권의 가장 큰 장점이자 단점”이라며 “독재 정권을 끝냈다는 특출한 경험 때문에 계속해서 자기 집단화되고 자기 최면에 걸렸다”고 지적했다.

1987년 1월 23일 서울 시내 9개 대학 학생들이 박종철 열사 추모제를 마친뒤 플래카드를 앞세우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1987년 1월 23일 서울 시내 9개 대학 학생들이 박종철 열사 추모제를 마친뒤 플래카드를 앞세우고 시위를 벌이고 있다.

②“우리가 대학 다닐 때는 말이야”…집단주의와 선민의식

386세대를 묘사할 때 빠지지 않는 표현이 ‘집단주의’와 ‘선민(選民)의식’이다. 이들은 학생 시절 서슬 퍼런 군사 정권에 맞서 개인이 아닌 강력한 연대의식으로 뭉친 조직체로서 싸웠다. 집회나 시위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도 운동권에 대한 ‘부채 의식’을 갖고 심정적 지지를 보냈다. 저항조직에선 개인의 선택보단 조직의 논리가 우선할 수밖에 없다.

『386의 꿈, 그 성찰의 이유』를 쓴 최홍재 신문명연대 대표는 “386세대 사이에는 자신들이 독재를 무너뜨렸다는 동질감이 작용하고 있다”며 “이런 동질감이 민주화 이후에도 서로 끌어주고 밀어주는 집단주의 이데올로기를 형성했다”고 말했다. 주대환 대표는 “특히 정치권 386은 누구든 데려와서 ‘택군(擇君 : 군주를 선택)’ 할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진 집단”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정치를 고사했던 문재인 대통령을 끌어낼 수 있었던 것도 바로 민주당 내 386의 집단적 힘”이라고 말했다.

선민의식 역시 이런 역사적 경험에서 비롯됐다. 정치컨설팅 회사인 폴리컴의 박동원 대표는 “운동권 출신 386들은 민주화된 세상을 우리가 만들었다, 우리 아니면 국가를 이끌어가지 못한다는 선민의식이 지나치게 강하다”며 “국회건, 청와대건 정치 상층부를 돌아가며 장악하는 것도 인력 풀(pool)은 좁은데 선민의식으로 똘똘 뭉쳐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1987년 7월 9일 열린 이한열 열사 영결식. 대학생과 시민 등 100만 여명이 모였다.

1987년 7월 9일 열린 이한열 열사 영결식. 대학생과 시민 등 100만 여명이 모였다.

③“우리는 선, 너희는 악”…진영 논리와 이분법적 사고  

386세대는 ‘확실하고 분명한 적(군사정권)’과 싸웠다. 우리 편은 선이고 상대는 악이라는 인식이 아주 강렬했다. 그 중간의 개념은 끼어들 틈이 없었다. 386 운동권의 ‘맏형’으로 불리는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연세대 81학번, 총학생회장 출신)은 “386세대가 어린 시절 사회 운동을 하면서 나는 옳게 살았고 도덕적이고, 나와 진영을 달리하는 사람은 뭔가 문제가 있는 사람처럼 보는 습성이 생겼다”며 “우리가 가진 배타적 사고를 깨고 진영논리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강원택 교수도 “386세대는 모든 것을 선악 구조로 나눠 이분법적 사고를 하는 특징이 있다”며 “하지만 현대사회, 현대정치에서는 이념의 차이가 있는 것이지 선과 악이 있는 게 아니다. 이런 이분법적 사고가 386세대의 한계”라고 지적했다.

④“반미, 반제, 자주”…감성적 민족주의

70년대 까지만 해도 한국의 절대적 혈맹으로 여겼던 미국을 향해 “이 땅에서 물러가라”는 구호가 대학가에서 등장한 게 80년대다. 특히 82년 부산 미문화원 방화 사건, 85년 서울 미문화원 점거 사건이 한국 사회에 던진 파장은 컸다. 이때 386세대에 폭넓게 각인된 역사 인식이 바로 ‘민족주의’다. 특히 NL(민족해방) 계열이 학생 운동권의 주도권을 잡으면서 민족주의는 대학가는 물론 사회 전반에 확산했다.

1985년 서울 미국 문화원 점거 사건이 한국 사회에 던진 충격은 컸다.

1985년 서울 미국 문화원 점거 사건이 한국 사회에 던진 충격은 컸다.

386세대의 이 같은 민족주의적 특성은 지금까지도 강하게 남아있다. 문재인 정부의 유화적 대북정책과 대일 강경외교도 여권 386그룹의 민족주의 성향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홍세화 전 진보신당 대표는 “정부는 한·일 관계의 위기 대응에 소홀했던 과오를 인정하고 관계 복원을 위해 노력하는 대신 관제 민족주의를 동원해 맞서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진성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전북대 85학번, 부총학생회장 출신)은 “배타적 국수주의로 흘러가는 것은 경계해야겠지만, 386세대에는 민주주의에 대한 신념과 똑같은 비중으로 민족주의가 자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⑤탈 인습적 가치관

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는 “386세대는 기존 거부하고 새로운 것을 만들려고 하는 탈 인습적 가치관이 내면화된 세대”라고 규정했다. 수십 년 동안 당연시됐던 분단·통일·반공에 대한 고정관념, 미국 중심의 정치나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고정 관념을 극복하려는 가치관이 386세대 DNA에 각인돼 있다는 것이다. 원희룡 제주지사는 “386세대는 사회 문제를 자기 문제로 받아들이는 공적 책임감이 강한 세대”라며 “민주화 운동에 앞장선 사람은 지나친 책임감, 참여하지 않은 이들도 부채의식, 죄책감 등으로 책임감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최홍재 신문명연대 대표는 “386세대는 공통으로 탈권위주의, 수평적 민주주의, 합리주의적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자신들이 옳다고 믿는 ‘대의’를 위해 작은 것들은 희생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도 386 세대의 특성으로 꼽힌다.

탐사보도팀=김태윤·최현주·현일훈·손국희·정진우·문현경 기자 pin2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