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소차=수소폭탄’? 수소차 둘러싼 오해와 진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전용차로 도입한 수소차 넥쏘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전용차로 도입한 수소차 넥쏘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청와대]

수소차는 위험하다? 일부에선 여전히 수소차를 두고 ‘움직이는 수소 폭탄’ 아니냐는 우려를 제기한다. 나아가 현 정부의 수소 경제 추진 전략에 대해 미덥잖은 시선을 보내기도 한다. 하지만 이 중에선 근거 없는 오해도 많다. 수소 경제 추진 주무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민간협의체인 수소융합얼라이언스, 수소차를 만드는 현대차로부터 듣는 ‘수소차에 얽힌 오해와 진실’을 일문일답 형식으로 정리했다.

왜 전기차가 아닌 수소차인가.
전기차 또는(or) 수소차가 아니라, 전기차와(and) 수소차다. 일부 지역에선 내연기관차도 있어야 한다. 수소차를 전기차의 ‘대체재’가 아닌 ‘보완재’로 봐야 한다는 얘기다. 정부나 수소차 제조사, 누구도 수소차만 지원ㆍ개발하겠다고 한 적이 없다. 정부의 내년 전기차 보급 목표는 4만 2000대다. 수소차의 10배 수준이다. 현대차도 향후 신차 출시 계획에서 전기차 모델 수가 수소차를 앞선다.
수소차, 정말 안전한가.
100% 안전한 에너지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내연기관차나 전기차, LPG 차에 비해 훨씬 안전하다. 수소차에 들어가는 연료탱크는 700기압에도 견딜 수 있다. 에펠탑(7300t)을 올려놔도 견딜 수 있을 정도다. 이 탱크를 철보다 10배 이상 강도가 높은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감쌌다. 탄소섬유는 압력이 커질 경우 폭발하지 않고 찢어진다. 그만큼 폭발 위험이 희박하다. 자동차 업체도 안전에 대한 우려를 잘 알기 때문에 안전 기준보다 훨씬 가혹한 충격ㆍ폭발ㆍ화재ㆍ총격 실험까지 진행한다. 수소 충전소 역시 긴급 차단장치 같은 안전장치를 적용해 폭발 사고 위험은 거의 없다. 일본 도쿄의 도쿄타워나 프랑스 파리 에펠탑 근처에도 수소 충전소가 있을 정도다.
수소차는 비싸다?  
수소차가 동급 내연기관차ㆍ전기차보다 고가인 건 연료전지 등 핵심부품값이 비싸서다. 보조금을 고려했을 때는 이보다는 싸진다. 수소차 업계에선 연간 생산능력을 확충해 ‘규모의 경제’만 확보한다면 찻값을 더 떨어뜨릴 수 있다고 본다. 연료비를 따졌을 땐 1㎞ 주행 시 동급 가솔린차 연료비 대비 디젤차 62%, 수소차 54%, 전기차 36% 수준으로 경쟁력을 갖췄다. 역시 시장이 커지고 수소연료값이 떨어지면 경제성이 더 나아질 것이다.
한국만 앞서 수소 경제를 밀어붙이는 느낌이다.
미국ㆍ중국ㆍ일본ㆍ독일 등 주요 국가에서 이미 수소차 로드맵을 발표하고 추진 중이다. 오히려 경쟁국과 비교해 한국은 인프라 구축 등 측면에서 늦은 상황이다. 수소 경제는 성장 가능성과 잠재력 측면에서 패스트 팔로어(fast follower)가 아닌 퍼스트 무버(first mover)로 도전해볼 분야다. 정부가 주목하는 건 단순히 수소차가 아니라 수소차 발전을 통해 파생하는 ‘수소 경제’ 생태계다. 수소 경제는 자동차뿐 아니라 에너지(수소생산ㆍ발전)ㆍ화학(연료전지)ㆍ조선(액화 수소 운송 선박) 등 주요 산업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정부의 수소차 지원은 특정 기업에 대한 특혜 아닌가.
넥쏘의 연료전지 부품 국산화율은 99% 수준이다. 수소차는 현대차뿐 아니라 300여개 이상 부품업체가 참여해 공동 개발한다. 부품업체 대부분이 중소ㆍ중견기업이다. 연료전지 개발을 벗어나 수소충전소와 운송ㆍ저장 인프라 구축 등으로 지원 범위를 확장하면 더 많은 기업이 성장할 기회다.

김기환 기자 khk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