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조선판 시계 '옥루'에 물 붓자···선녀는 움직이며 종 울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국립중앙과학관 윤용현 박사가 지난 2일 과학관 에 복원 설치된 흠경각 옥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국립중앙과학관 윤용현 박사가 지난 2일 과학관 에 복원 설치된 흠경각 옥루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산꼭대기에는 해를 비롯한 천체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금빛 혼천의(渾天儀)가 돌고, 그 아래엔 4명의 선녀가 매 시간마다 종을 울린다. 산 기슭은 동서남북 사분면을 따라 봄·여름·가을·겨울 산이 펼쳐져있다. 산 아래 평지에는 밭 가는 농부, 눈 내린 기와집 등 조선땅의 사계절이 묘사돼 있고, 쥐·소·호랑이와 같은 12지신상 일어섰다 누었다 반복하며 시간을 알린다….’

세종 때 만든 장영실 물시계 복원 #혼천의 돌고 12지신상 움직여

국보 229호 보루각루(자격루)를 넘어서는 조선시대 최첨단 자동 물시계 ‘흠경각 옥루’(玉漏)가 581년 만에 복원됐다. 국립중앙과학관은 9일 조선 최고의 과학기술인 장영실이 만든 최고의 역작 흠경각 옥루를 복원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흠경각 옥루는 조선시대 임금을 위한 자동물시계로, 세종 시절인 1438년 만들어져 침전인 경복궁 강녕전 옆에 설치됐다. 흔히 자격루로 알려진 당시 국가표준시계 보루각루(1434년)를 만든 지 4년 만이다. 흠경각 옥루는 백성의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농본정치의 최우선으로 하는 세종의 꿈을 담은 것이라는 게 과학관의 설명이다.

옥루는 장영실이 만든 첨단 자동 물시계이다. 아래 사진은 옥루의 내부 구조. 물이 물레방아 모양의 수차를 돌리고, 수차가 기륜을 돌려 움직이는 방식이다. 프리랜서 김성태

옥루는 장영실이 만든 첨단 자동 물시계이다. 아래 사진은 옥루의 내부 구조. 물이 물레방아 모양의 수차를 돌리고, 수차가 기륜을 돌려 움직이는 방식이다. 프리랜서 김성태

중앙일보는 9일 공식 공개에 앞서 지난 수개월간 흠경각옥루의 복원 막바지 과정을 지켜봤다. 지난달 30일 마지막으로 찾은 대전 과학관 2층에는 막 조립을 마친 옥루가 마지막 몸단장을 하고 있었다. 옥루의 첫인상은 시계와는 거리가 멀었다. 사계절을 담은 산과 들이 폭 3.3m, 높이 3.3m의 웅장한 크기로 서 있었다. 하지만 때가 되자 어김 없이 선녀와 12지신·무사 등의 인형들이 소리와 동작으로 시간을 알렸다. 앞서 복원된 보루각루가 15개의 인형이 시간을 알린다면, 옥루는 36개의 인형과 천체의 움직임을 담은 혼천의까지 구비돼 한 차원 높은 시계의 모습을 보여준다.

옥루의 이런 복잡한 작동비결은 산과 평지 아래 숨어있는 기계장치에 있다. 물레방아 모양의 수차에 연결된 여러 단계의 톱니바퀴들과 여기에 연결된 걸턱 등의 장치로 움직이는 구슬들이 때를 맞춰 선녀와 무사·12지신 등을 순서대로 움직인다.

연구책임자인 윤용현 국립중앙과학관 과학유산보존과장은 “옥루는 장영실이 중국을 찾아 북송 시절의 물시계 수운의상대 등을 보고 관련 문헌을 수집한 뒤 조선에 돌아와 만든 것”이라며 “수차 동력장치를 이용한 중국의 물시계와 구슬장치를 쓴 이슬람 알자지라의 물시계 원리를 융합해서 만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이라고 말했다.

흠경각 옥루가 복원되기까지는 6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다. 한국천문연구원 고천문연구센터의 김상혁 박사가 앞서 3년간 선행연구를 했고, 이어 이를 토대로 윤용현 과장(한국과학기술사 박사)가 주도해 다시 3년에 걸쳐 실물 복원을 했다. 복원은 국립중앙과학관이 주축이 돼 고천문학자·고문헌학자·복식사학자·조경사학자·고건축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여했다.

정병선 국립중앙과학관장은 “15세기 당시 동아시아의 어떤 국가에도 자연을 대상으로 이처럼 화려한 시계를 만들어내지 못했다”며 “대전 과학관뿐 아니라 원래 자리인 경복궁 흠경각루에 복원된 옥루를 전시해 일반 관광객들에게 우리 조상의 뛰어난 과학기술을 알릴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대전=최준호 기자 joonh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