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사일급으로 진화한 북한 방사포…북 매체 "기적" 수퍼방사포 첫 공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5일 북한 관영 매체들은 전날(24일) 함남 선덕에서 발사한 발사체를 ‘초대형 방사포’로 지칭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발사장면을 참관했고, 새로 개발한 무기의 발사 실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는 내용을 전하면서다. 북한 매체들은 ‘초대형 방사포’의 발사대에 4발의 발사관이 탑재돼 있는 장면을 제외하곤, 구체적인 제원은 공개하지 않았다.

무차별 지역 공격에서 정밀 타격으로 기술 발전 #사거리 400Km로 한국 대부분 사정권 #단거리 미사일 비해 저렴하고 발사시간 줄여 위협적

방사포는 여러 개의 발사관을 묶은 발사대에서 순식간에 여러 발의 로켓을 발사하는 무기로, 2010년 11월 23일 북한이 연평도를 공격할 때 실전에서 사용한 적이 있다. 전직 군 고위관계자는 “북한군은 107㎜, 122㎜, 240㎜ 방사포를 운영해 오다 최근 300㎜ 방사포를 개발해 실전에 배치 중인 것으로 안다”며 “사진만으로 분석하는 데 한계가있지만, 북한이 공개한 초대형 방사포는 400㎜ 이상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북한은 2000년대 들어 중국과 러시아 등에서 기술을 들여다 300㎜ 방사포를 개발했다. 여기엔 러시아판 GPS(위성항법장치)인 글로나스를 장착해 명중률을 높였다. 이춘근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방사포는 목표지역 일대를 무차별 포격하는 방식의 ‘지역 공격’을 위해 개발된 무기”라며 “그러나 300㎜ 방사포에는 유도 기능을 탑재하고 사거리를 늘려 단거리 지대지 미사일을 대체하는 추세”라고 말했다. 미사일처럼 정밀 타격이 가능하도록 방사포의 기술이 진화하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국방과학 기술자들과 군수공업부문 노동계급은 나라의 국방력 강화에서 중대한 의의를 가지는 세계적인 최강의 우리 식 초대형 방사포를 연구개발해내는 전례없는 기적을 창조했다"고 평가했다.

이날 공개된 포탄(로켓)의 탄두 부분과 화염이 분사되는 엔진 옆에 방향을 조종할 수 있는 방향타로 추정되는 장치가 붙어 있다는 점에서 일부 유도 기능도 탑재됐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북한이 2016년 시험 발사한 300㎜ 방사포와 지난달 쏜 방사포 역시 200여㎞를 날아가 북한 동해안에 있는 바위섬에 명중하는 사진이 공개되기도 했다.

특히 이번에 북한이 선을 보인 ‘수퍼 방사포’는 사거리가 380여㎞에 달해 북한의 전방에서 쏠 경우 F-35A 기지가 있는 청주와 평택 미군기지, 육ㆍ해ㆍ공군 본부가 있는 계룡대는 물론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 체계를 배치한 경북 성주와 부산 일부 지역도 사정권에 들어간다. 기존 300㎜ 방사포보다 사거리가 두 배 가량 늘어난 것이다. 북한은 입체로 된(3D) 지형정보가 없어 오차범위가 1~2m 안팎인 순항(크루즈) 미사일 개발은 쉽지 않다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지난 24일 방사포가 최고속도 역시 마하 6.5이상으로 기존 전통적 의미의 방사포 최고속도인 마하 5~6을 뛰어넘은 것으로 분석된 점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탄소섬유 등 미사일용 특수소재를 방사포 본체에 적용할 만큼 북한이 이 신형 무기에 공을 들였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이 연구위원은 “대구경 방사포는 단거리 탄도미사일보다 탄두가 작아 파괴력은 약하지만, 비용이 저렴하고, 발사 시간이 짧다”며 “기존 단거리 미사일과 섞어 쏘기를 할 경우 요격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류성엽 21세기군사연구소 전문연구위원도 “한국을 사정권으로 두는 단거리 발사체의 공격력 향상에 박차를 가하는 것으로 보인다”며 “북한이 올해 여러 종류의 미사일과 방사포를 다양한 조건에서 시험한 건 표적 크기에 따라 효과적인 타격을 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정용수ㆍ이근평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