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낙동강 이어 금강서도 ‘하굿둑 개방’ 둘러싸고 갈등 고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금강하굿둑 개방 문제가 논란이다. 이 둑은 충남 서천군 마서면과 전북 군산시 성산면 사이에 건설됐으며 길이는 1.8㎞에 이른다. 정부가 1990년 농업용수 공급 등을 위해 만들었다. [중앙포토]

금강하굿둑 개방 문제가 논란이다. 이 둑은 충남 서천군 마서면과 전북 군산시 성산면 사이에 건설됐으며 길이는 1.8㎞에 이른다. 정부가 1990년 농업용수 공급 등을 위해 만들었다. [중앙포토]

지난 6일 낙동강하굿둑을 시험 개방한 후 금강하굿둑 개방 여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6일 시험 개방 후 추가 개방 촉각 #충남·서천 “금강 살릴 유일한 방법” #전북·군산 “농업·공업용수 차질” #협의 테이블선 4년째 입장차 확인

충남도의회 김기서(부여1·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25일 도의회 정례회 5분 발언을 통해 금강하굿둑 개방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금강하굿둑 때문에 생태 환경이 급속도로 나빠지고 있다”며 “하구가 닫혀서 유속이 느려지며 오염 물질이 쌓여 연안 침식, 방조제와 하굿둑 하류 쪽 유기 퇴적물 축적 등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죽은 물과 갯벌로 유명했던 시화호는 바닷물 유통으로 살아났고 낙동강하굿둑 역시 32년 만에 시험 개방했다”며 “금강하굿둑 생태계를 살리는 방법은 ‘바닷물 유통’뿐”이라고 강조했다.

환경부는 지난 6일 오후 10시 40분부터 40분간 낙동강 수문 1개를 열었다. 김 의원은 “충남도가 금강 하구 해역 정책협의회를 통해 바닷물 유통을 건의하고 서천군 쪽 수문 증설, 물고기 이동 길 설치 등 구조 개선을 적극적으로 요청해야 한다”고 했다.

금강하굿둑은 충남 서천군 마서면과 전북 군산시 성산면 사이에 건설된 길이 1.8㎞의 제방이다. 정부가 1990년 농업·공업용수 공급과 홍수 예방을 위해 만들었다. 연간 3억6000만t의 민물을 농업용수 등으로 공급하고 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충남도와 서천군은 줄곧 수질 오염, 하구 생태계 파괴 등의 문제를 제기해 왔다. 이들 지자체는 하굿둑 건설로 민물과 바닷물이 섞이지 못하는 것을 원인으로 꼽고 있다.

하굿둑에는 갑문이 20개 있지만, 강 중심을 기준으로 모두 군산 쪽에 있다. 하굿둑 관리 기관인 한국농어촌공사는 용수 확보를 위해 홍수 때만 열고 평소는 닫아두고 있다.

바다와 강을 넘나드는 물고기(황복·위어) 이동을 위한 어도(폭 9m)도 규모가 작아 제 기능을 못 하고 있다. 제방 안 호수에 쌓이는 토사량도 연간 80만㎥에 달한다. 군산해양수산청은 올해 금강하구에 쌓인 토사 준설을 위해 120억원의 예산을 마련했다.

서천군은 서천 쪽 둑에 배수 갑문을 추가로 설치, 해수와 선박이 오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기수역(汽水域·강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 복원을 통해 바닷물이 하굿둑에서 12㎞ 거리인 한산면 신성리 갈대밭까지 유입될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다.

반면 전북도와 군산시는 반대해 왔다. 전북도 등은 “금강하구에 해수가 유통되면 농경지 4300만㎡(충남 서천, 전북 김제·군산 일대)에 필요한 농업용수(연간 1억7700만t)와 군장 국가산단의 공업용수 공급에 차질이 우려된다”고 했다. 또 해수유통이 금강하구 수질 개선의 근본 대책이 아니며 대전~서천의 금강 본류와 지천 수질 개선이 우선이라고 주장한다. 군산시 관계자는 “대체 용수를 공급하지 않고 해수 유통을 할 수 없으며, 아직 대책이 없는 상태다”고 말했다.

충남도와 서천군, 전북도와 군산시 등은 해양수산부 주관으로 2015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12차례 금강하구해역 정책협의회를 열고 해수 유통 문제를 논의했지만 입장 차이만 확인하는 데 그쳤다.

이에 대해 부산대 생명과학과 주기재 교수는 “세계적으로 바다와 접하는 강하구에 보를 만든 국가는 거의 없다”며 “해수를 유통해 강에 생명을 불어넣고, 이에 따른 전북 지역 용수 공급 문제는 국가 차원에서 해법을 모색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서천=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