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분노한 홍콩' 수만명 도로 점거…경찰, 최루탄·물대포 무력 충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2일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에 반대하기 위해 거리로 나온 홍콩 시위대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12일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에 반대하기 위해 거리로 나온 홍콩 시위대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홍콩의 사법체계와 자본주의를 지키려는 '시민의 힘'이 홍콩 정부의 '입법 폭주'를 멈춰세웠다. 12일(현지시간)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 2차 심의를 맞아 또다시 수만명의 시민들이 거리로 몰려나오자 홍콩 정부는 이날 오전 예정됐던 심의를 잠정 연기했다. 정부는 이날 성명을 통해 "오전 11시로 예정됐던 2차 심의가 연기됐으며, 입법회(국회) 사무국이 추후 변경된 심의 시간을 의원들에게 통보할 방침"이라고 발표했다.

"전날 밤부터 입법회 근처에 모여들어" #"100개 기업 연대 파업해 시위 동참" #"법안 철회 때까지 시위는 계속할 것" #경찰과 시위대 무력충돌도 일어나

시위대는 이른 아침부터 국회의원들이 입법회 청사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인근 도로를 점거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분노한 홍콩 시민들, 특히 젊은 층이 전날 밤부터 입법회 근처로 모였다"고 전했다. 이들은 지난 2014년 '노란 우산' 시위 때와 마찬가지로 금속 펜스 등으로 인근 도로를 봉쇄했다. 시위대 진압 과정에서 홍콩 경찰은 최루탄과 물대포, 호신용 스프레이 등을 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진압봉으로 시위대를 폭행하는 장면이 목격되기도 했다.

무력으로 시위대를 진압하는 홍콩 경찰. [AFP=연합뉴스]

무력으로 시위대를 진압하는 홍콩 경찰. [AFP=연합뉴스]

일요일이었던 지난 9일 100만여명이 모인 대규모 시위에 이어 두번째로 열린 이날 시위엔 특히 다수 시민들이 연대파업·연대휴업 형태로 참여했다. 100여개 기업·가게가 문을 닫고 교사 4000명이 평일 시위에 동참한 것으로 전해졌다. BBC는 "HSBC 같은 금융사들도 이날 시위를 위해 유연 근무를 한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홍콩중문대 등 7개 대학 학생연합 역시 강의를 보이콧하고 학생들의 시위참여를 독려했다.

시위에 참여한 18살 써니 찬은 CNN과 인터뷰에서 "정부는 시민들 항의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목소리를 듣지 않았다"며 "자유를 지키기 위해 이 자리에 나왔다"고 말했다. CNN은 소상공인들의 연대파업에 주목하면서 이번 사태가 1997년 영국에서 중국으로 반환된 후에도 홍콩이 누려온 "자유로운 비즈니스 공동체에 대해 위협"을 느낀 것이라고 분석했다.

홍콩 정부가 추진하는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은 중국 본토와 대만, 마카오 등 홍콩과 조약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나 지역에도 범죄인을 인도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다. 야당과 시민단체 등은 중국 정부가 반중 인사나 인권운동가를 중국으로 송환할 것을 우려해 이 법안에 반대하고 있다.

 12일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에 반대하기 위해 거리로 나온 홍콩 시위대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12일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에 반대하기 위해 거리로 나온 홍콩 시위대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시위로 인해 도로 통행이 마비되면서 경찰은 공식 트위터를 통해 "평화적인 집회 범위를 넘어섰다"고 경고했다. 매튜 청 정무부총리는 TV연설을 통해 "이번 법안은 일반 대중이 아닌 중범죄로 기소된 범죄자를 대상으로 한다"면서 시위대 해산을 촉구했다.

하지만 시위를 주도한 지미 샴 홍콩시민권전선(CHRF) 의장은 "캐리 람 행정장관이 이 법안을 철회할 때까지 시위를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더 많은 기업과 조직이 연대파업에 동참할 것을 촉구해 우리가 이 개정안에 반대한다는 걸 전세계에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심의 연기가 발표된 후 클라우디아 모 공민당 의원은 시위현장을 방문해 "이게 바로 시민들의 힘, 특히 젊은이들의 힘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시민들을 격려했다.

12일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 시위 현장. [AFP=연합뉴스]

12일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 시위 현장. [AFP=연합뉴스]

앞서 지난 9일 열린 대규모 법안 반대 시위엔 주최 측 추산 약 103만 명이 참여했으며 미국·캐나다·일본 등 전세계 12개국 29개 도시에서도 연대시위가 열렸다. 시위 다음날인 10일 미국 국무부는 “홍콩의 범죄인 인도법 개정안에 우려를 표명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홍콩의 일은 순전히 중국 내의 일"이라며 "미국은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을 중단하라"고 반발했다.

한편, 지난 10일 개정안 통과 강행 의사를 밝힌 캐리 람 장관은 시위대로부터 살해위협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SCMP는 “람 장관은 본인과 가족들이 살해위협을 받았다고 말했고, 홍콩 법무부가 진위를 파악하기 위해 수사를 벌이고 있다”고 전했다.

김지아 기자 kim.jia@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