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앙시평] 정 안되면 당분간 ‘현상유지’ 합의라도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638호 31면

이재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이재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배경 좋은 사진과 말의 향연만으로 끝내기엔 너무 아까운 기회다. 국제정세가 요동치는 가운데 이달 말(6월 28~29일) 주요 20개국(G20) 정상이 일본 오사카에서 만난다. 주요 국제기구 수장들도 함께한다. 상황이 상황인 만큼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뭐가 됐든 성과를 내놓아야 한다.

사진과 덕담으로 흘리기엔 #오사카 G20은 중요한 계기 #최소한 상황 악화 막기 위한 #‘현상유지’ 합의라도 이루어야 #참가국 공감대 형성, 준비 작업에 #우리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일 관계에 타협점 찾을 수도

그런데 지금 분위기론 아마 웃음과 덕담에다 “깊은 우려” 몇 마디 덧붙이는 것으로 끝날 공산이 크다. 알맹이 없는 외교 이벤트다.

일본을 비롯, 지금 참여국 간 논의되는 의제를 보자. 세계경제 리스크 관리, 글로벌 불균형, 인프라 투자, 디지털 경제 등 면면이 화려하다. 물론 중요하다. 그러나 현실과 동떨어진 느긋한 수사(修辭)다. 보통 때라면 모르겠지만 지금은 아니다. 사방팔방 번져 나가는 불길부터 잡아야 한다. 아름다운 미래의 청사진은 그 다음 따질 일이다. 화급한 일에 집중하자. 그리고 기대 수준을 낮추고 현실성 있는 부분만 추려, 오사카에서 마무리하는 것이 현명하다.

그 중 하나는 최소한 지금 상황을 더 악화시키지는 않기로 하는 합의다. 휴전이라 부를 것도 없다. 다툼을 그만두자는 휴전합의도 지금은 어렵다. 그 자체가 논쟁거리다. 그렇다면 현실적인 대안은 계속 싸우되 최소한 새로운 수단과 공세는 내세우지 않기로 의견을 모으는 것이다. 크게 두 가지 측면이다.

먼저 미·중 분쟁이다. 양국 갈등이 날로 새로운 경지에 이른다. 지난주만 해도 화웨이에, 환율에, 희토류에, 줄줄이 이어졌다. 계속 숨 쉴 틈 없이 주고받을 기세다. 이래서는 제대로 된 협상이나 타협을 기대하기 힘들다. 자존심 대결로 결국 벼랑 끝으로 향할 수밖에 없다. 일단 화기(火氣)를 죽이고, 한 템포 늦추어야 한다. 그래야 누가 이기든 접점을 찾는다.

그렇다면 당분간만이라도 새 조치는 자제하기로 양국 합의를 유도해 보면 어떨까. 1년 아니면 6개월 시한을 정해도 된다. 지금으로선 이것만 해도 의미 있는 성과다. 물론 두 나라의 결정이다. 그러나 분위기를 이끄는 건 다른 나라들 몫이다. 이번 G20 정상회의에서 18개국이 한목소리로 나선다면 이 정도는 이끌어 낼 가능성도 없지 않다. 서로 화해하고 문제를 해결하라는 것이 아닌 까닭이다. “지나간 것은 지나간 대로”, 최소한 앞으로 몇 달 만이라도 새로운 공세는 취하지 말자는 것이다. 일종의 ‘현상유지 (standstill)’ 합의다.

이를 설득하자면 18개국도 함께 짐을 져야 한다. 두 번째 측면이다. 이들도 정해진 기간 동안 새로운 보호무역 조치나 차별 조치를 취하지 않기로 약속하는 것이다. 역시 현상유지 합의고, 서로 잘잘못을 따지는 것은 아니니 이 정도는 바래볼 수 있다.

이렇게 일단 분위기를 진정시키자. 그래야 합리적인 논의가 가능하다. 미흡하나마 그리고 불안하나마 미·중 타협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설익은 내용이어도 양국 타협은 그다음으로 가는 디딤돌이 된다. 올 하반기 주요 계기에 여러 국가가 동의할 수 있는 그야말로 “쉬운 문제 (low hanging fruits)”에 대한 합의도 계산해 볼 수 있다. 이를 얼추 정리, 포장하면 내년 6월 카자흐스탄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의 가시적 성과물이 된다. 미미해도 괜찮다. 지금은 내용보다 합의 사실 자체가 중요하다. 여기까지만 가면 급한 불을 끄고 새로운 출발을 기대해 봄 직하다. 지금부터 꼭 1년 남았다.

그래서 이번 G20 회의, 중요하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우리도 기여할 수 있다. 아니, 노력해야 한다. 지금 이 상황의 가장 큰 피해자 아닌가.

금융위기 직후인 2008년 11월. 당시 미국 워싱턴 G20 회의에서 정상들은 보호무역조치 ‘동결’에 합의했다. 12개월간이다. 기왕 들어온 건 그대로 두더라도 새로 뭘 하지는 말자는 취지다. 소박한 합의나 당시 분위기를 돌리는 데 기여하였다. 이 제안은 바로 우리나라 아이디어였다. 이번에도 비슷한 시도를 해 보면 어떨까.

20개국 중 우리는 여러 면에서 중간이다. 선진·개도국 양쪽에 한발씩 걸친다. 경험도 공유한다. 무엇보다 국제교역 질서 안정에 누구보다 이해관계(stake)가 깊다. 진정성을 보여줄 자산이자,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여건이다. 어차피 지금 국제여건이 바닥이니 잘 되지 않더라도 부담도 적다.

이번 회의는 한·일 현안으로 주목받고 있기도 하다. 양국 관계도 실타래처럼 얽혀 있다. 여기서도 우선 더 이상 상황이 나빠지지 않도록 합의하는 데까지는 이를 수 있을 것이다. 양국이 서로 새로운 조치는 자제하고 먼저 지금 상황을 유지하는 내용이다. 6~12개월 시한을 정해 타협점을 찾자. 미흡하지만 첫 단추다.

여러 일들이 꼬일 대로 꼬였다. 도대체 답이 없을 때는 상황이 악화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도 대안이다. 오사카에서 이것 하나만 이루어도 성공이다. 공허한 사진과 외교적 수사보다 백번 낫다.

이재민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