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내년부터 초·중학교서 'AI 맞춤교육'…공부습관도 코칭

중앙일보

입력

'AI 맞춤학습'을 위한 지능형 학습분석 플랫폼이 올해 개발돼 내년부터 학교 현장에 도입된다. 그래픽=최종윤 yanjj@joongang.co.kr

'AI 맞춤학습'을 위한 지능형 학습분석 플랫폼이 올해 개발돼 내년부터 학교 현장에 도입된다. 그래픽=최종윤 yanjj@joongang.co.kr

 인공지능(AI)이 학생 개개인의 학습 행태를 분석해 맞춤형으로 가르치는 시스템이 올해 연말 개발된다. 학생이 어떤 과목, 어느 부분을 잘하고 못하는지, 공부 습관에 문제는 없는지 AI가 분석해 학생과 교사에게 알려주는 방식이다. 공교육에 AI가 도입되면서 학교 현장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29일 교육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에 따르면 정부는 2017년부터 추진해온 ‘지능형 학습분석 플랫폼’ 개발 업체를 최근 선정하고 계약을 체결했다. 개발은 디지털 교육 기업인 아이스크림미디어(옛 시공미디어)와 인공지능 전문기업 셀바스AI가 담당한다. 플랫폼 개발 예산은 올해 40억원이 투입되고 향후 2년간 추가 예산이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김석 교육부 이러닝과장은 “11월쯤 개발을 완료하고 내년 1학기에는 시범 학교부터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며 “우선 초등학교와 중학교가 대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처럼 AI를 활용한 학생 개인별 맞춤 학습이 공교육에 도입되는 것은 처음이다. 학습 분석은 기본적으로 온라인 공간에서 이뤄진다. 학생들은 스스로 온라인 플랫폼에 접속해 필요한 강의를 듣고 문제를 풀게 된다. 학습 데이터가 쌓이면 AI는 이를 분석해 부족한 부분이 뭔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뭘 공부해야 하는지 추천해준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운영하는 초중학교 온라인 학습공간인 e학습터. 지능형 학습분석 플랫폼은 학생들이 이와 같은 형태의 온라인 학습 공간에서 수업을 받고 AI가 학습 행태를 분석해주는 시스템이다. [홈페이지 캡처]

한국교육학술정보원(KERIS)이 운영하는 초중학교 온라인 학습공간인 e학습터. 지능형 학습분석 플랫폼은 학생들이 이와 같은 형태의 온라인 학습 공간에서 수업을 받고 AI가 학습 행태를 분석해주는 시스템이다. [홈페이지 캡처]

 단순히 학습 결과뿐 아니라 습관이나 태도에 대한 코치도 가능하다. 얼마나 자주 공부하는지, 한 번 공부할 때 몇 시간이나 집중하는지, 특정 과목을 기피하는지 등을 분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육부는 이런 개인별 데이터를 학교 교사에게 제공할 계획이다. 김진숙 KERIS 미래교육정책본부장은 “교사가 학생의 성적만이 아니라 교실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자기 관리 능력이나 구체적인 학습 수준까지 알 수 있어 수업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AI를 학교 현장에 접목하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교육부는 올해 안에 초등 저학년을 위한 AI 수학 교과서를 개발할 예정이다. 게임처럼 문제를 풀면서 AI가 학생들의 수준을 진단하는 프로그램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올해 하반기부터 AI를 활용한 영어 교육을 시범 실시한다. 학생이 AI 스피커나 스마트폰 등에 말을 걸면 AI가 학생 수준에 맞춰 대화하는 방식이다. 기존 교실에서 한계가 있었던 수준별 말하기 수업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교육청도 AI 기반 교육 가이드북을 만들어 일선 학교에 배포하고 대화 로봇 '챗봇'을 활용한 교육법을 선보이기도 했다.

올해 2월 부산 동명대학교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기반 미래교육센터 개소식에서 공개된 부산시교육청 챗봇. [연합뉴스]

올해 2월 부산 동명대학교에서 열린 인공지능(AI) 기반 미래교육센터 개소식에서 공개된 부산시교육청 챗봇.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AI가 교육 현장을 크게 바꿀 것으로 보고 있다. 김성열 경남대 교수(교육학)는 “그동안 교실 수업은 평균 수준에 맞춰 이뤄지는 것이 대부분이었지만, 실제로 학생의 수준은 제각각이라 정작 평균 수준인 학생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며 “AI가 진정한 개인별 맞춤형 학습을 가능하게 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미래 교육 전문가인 임완철 성신여대 겸임교수는 “AI는 교사에게 학생을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도구가 된다”면서도 “문제는 얼마나 많은 학생, 학습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AI가 올바른 진단을 내리려면 수많은 학생의 빅데이터가 필요한데, 현재 국내에서 충분한 데이터를 구하기 쉽지 않아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AI가 분석한 학생들의 데이터가 새로운 개인정보 논란을 불러올 수도 있다. 임 교수는 “학생의 능력이나 선호 과목 등의 정보가 개인정보인지 아닌지, 어디까지 보호돼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윤서 기자 nam.yoonseo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