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의대 1곳뿐인 감비아…시력 찾은 83명 “아바라카 꼬리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11일 백내장 수술을 마치고 나온 우예 사이디, 케후테 샤오, 장고 샤오. 김지아 기자

11일 백내장 수술을 마치고 나온 우예 사이디, 케후테 샤오, 장고 샤오. 김지아 기자

“이제 글자도 명확하게 보여요. VISION! 맞죠?”

12일(현지시간) 서아프리카 감비아 수도 반줄에서 35㎞ 떨어진 도시 브리카마에 위치한 브리카마 병원. 이틀 전 백내장 수술을 받은 후 검사를 마치고 나온 셀라 자타(78)가 자원봉사자의 옷에 적힌 파란색 글자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한 말이다. 그는 “양쪽 눈이 다 뿌옇게 보여 넘어지기도 했지만 이젠 글도 읽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오른쪽 눈에 보호대를 착용한 자타는 “갓 블레스 유”를 외치며 웃는 얼굴로 병원을 나섰다.

서아프리카 소국 감비아, 안과의사 세명 뿐 #15분 수술 기회 못 얻어 20대도 시력잃어 #3대·자매가 함께 한국의료진 만나러 오기도 #실명구호단체 비전케어, 83명에 새 시력 선물

뒤이어 검사실에서 나온 마시파 부(28)는 “아예 한쪽 눈을 잃은 줄 알았는데 이렇게 시력을 되찾아 행복하다”고 말했다. 그는 “2년 전 왼쪽 눈 시야가 흐려져 병원을 찾았지만 백내장이라는 이야기는 듣지 못했다”며 “당시 병원에선 안경을 맞추라고 했다”고 했다. 하지만 안경을 써도 소용은 없었다. 지난해 11월부터 빛과 어둠만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시력이 악화됐다. 다시 병원을 찾아 백내장 진단을 받긴 했지만 안약만 처방받았다. 유일한 희망이었던 안약은 가려움증을 덜어주는 항염증제에 불과했다.

감비아 안과의사는 단 3명, 라디오 광고 듣고 환자 몰려  

11일 오전 브리카마 병원에서 한국에서온 의료진을 만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환자들의 모습. 사람들이 몰리자 음료수와 전통만두를 파는 상인이 나타나 대기자들에게 음식을 판매했다. 김지아 기자

11일 오전 브리카마 병원에서 한국에서온 의료진을 만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환자들의 모습. 사람들이 몰리자 음료수와 전통만두를 파는 상인이 나타나 대기자들에게 음식을 판매했다. 김지아 기자

8일 오전 8시 브리카마 병원 안과진료실 앞엔 지팡이를 짚은 노인부터 갓난아기에게 젖을 물리고 있는 엄마 등 40여명이 앉아있었다. 한국에서 온 의료진을 만나기 위해서다. 겉보기에도 눈동자가 하얗게 변해있거나 충혈이 심한 이들이 눈에 띄었다. 한쪽 눈이 불편한 듯 아예 눈을 꽉 감고 있는 환자도 있었다. 이날 제르노 툴레(34)는 “72세인 할머니가 라디오에서 한국의료진이 왔다는 소식을 듣고 병원에 데려다 달라고 하셔서 오전 7시부터 이 앞에서 기다렸다”고 말했다.

인구 220여만명의 감비아엔 의과대학이 한 곳, 안과의사는 세 명뿐이라 전문적인 진료를 받을 기회가 거의 없다. 지난 8일부터 12일까지 국제실명구호단체 비전케어가 진행한 300차 비전아이캠프를 통해 감비아의 백내장 환자 83명이 새로운 시력을 선물받았다. 한국·미국·에티오피아에서 온 안과전문의 2명, 마취과전문의 1명, 간호사 4명, 자원봉사자 3명, 간사 1명이 한팀을 이뤄 390명을 진료하고 이중 백내장 수술이 필요한 이들을 치료했다.

오른쪽 눈동자가 겉보기에도 하얗게 변해 앞이 거의 보이지 않는 상황이었던 라미 산. 진료결과 백내장이 아닌 각막반흔(Corneal scar)이었다. 라미 산처럼 한국의료팀이 손을 쓸 수 없어 그냥 집으로 돌아가야하는 안타까운 상황도 있었다. 김지아 기자

오른쪽 눈동자가 겉보기에도 하얗게 변해 앞이 거의 보이지 않는 상황이었던 라미 산. 진료결과 백내장이 아닌 각막반흔(Corneal scar)이었다. 라미 산처럼 한국의료팀이 손을 쓸 수 없어 그냥 집으로 돌아가야하는 안타까운 상황도 있었다. 김지아 기자

환자가 몰려 오전 9시에 온 이들은 오후 3~4시가 돼서야 의료진을 만날 수 있었다. 가만히 앉아있어도 겨드랑이에 땀이 차는 더위에 야외에서 기다리다 지친 사람들이 접수창구에 몰려 “새벽부터 왔는데 언제 의사를 볼 수 있냐”, “저 사람보다 내가 먼저왔다”고 외치는 등 소란이 일기도 했다.

좀처럼 찾아오지 않는 기회인만큼 가족이 함께 수술을 받는 사례도 있었다. 앤 사조(43)는 “난 10일에 수술을 받고 70대 어머니 순투 바기는 그 다음날 수술을 받았다”며 “열 여섯살 딸도 혹시 백내장인지 검사하려고 데려왔다”고 말했다. 11일 병원을 방문한 스케바 만장(50)은 “언니 네이 만장의 보호자로 따라온 김에 검사를 받았는데 얼떨결에 백내장 진단을 받고 수술을 했다”고 했다.

백내장 수술을 받고 12일 웃음을 짓고 있는 쿰바 바지, 네이 만장, 스케바 만장. 스케바 만장은 친언니 네이 만장을 따라 병원에 왔다 백내장 진단을 받고 언니와 함께 수술을 받았다. 김지아 기자

백내장 수술을 받고 12일 웃음을 짓고 있는 쿰바 바지, 네이 만장, 스케바 만장. 스케바 만장은 친언니 네이 만장을 따라 병원에 왔다 백내장 진단을 받고 언니와 함께 수술을 받았다. 김지아 기자

‘피할 수 있는 실명’…10살 어린이도 백내장 수술로 시력 되찾아

감비아인 자원봉사자 부바와 마취과 전문의 이숭규씨가 환자 눈을 마취하고 있는 모습. 마취과 전문의가 캠프에 동행하면 같은 기간에 더 많은 환자들을 수술할 수 있다. [사진 비전케어]

감비아인 자원봉사자 부바와 마취과 전문의 이숭규씨가 환자 눈을 마취하고 있는 모습. 마취과 전문의가 캠프에 동행하면 같은 기간에 더 많은 환자들을 수술할 수 있다. [사진 비전케어]

10살 이브라이마 자타도 잔뜩 굳은 얼굴로 수술대에 올랐다. 약 3주전 학교에서 친구와 놀다 눈에 나뭇가지가 박혀 수정체가 손상됐기 때문이다. 당시 병원에서 나뭇가지는 제거했지만 별다른 처치는 받지 못했다. 이번에 다시 병원을 찾은 자타는 백내장 수술로 시력을 회복할 수 있었다. 캠프 마지막날 경과를 보기 위해 다시 병원을 찾은 자타는 수줍음이 많던 탓에 별다른 말은 하지 않았지만 수술대에 오를 때와는 다르게 밝은 미소를 지었다.

버지니아에서 온 마취과전문의 이숭규(47)씨는 “비전케어의 손이 닿지 않았으면 60~70년동안 앞을 보지 못하고 살았을 어린 환자를 치료할 때 특히 더 보람차다”고 했다.

한국 의료진을 만날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온 환자들이 접수 데스크에 몰려 한때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김지아 기자

한국 의료진을 만날 수 있다는 소식을 듣고 온 환자들이 접수 데스크에 몰려 한때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김지아 기자

열악한 의료 환경 탓에 전세계 시각장애인 89%는 개발도상국에 살고 있다. 국제실명예방협회(IAPB)에 따르면 시각장애인과 실명자 75%는 ‘피할 수 있는 실명’ 환자다. 치료를 받으면 앞을 볼 수 있다는 뜻이다. 백내장 수술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15분으로 비교적 간단한 수술이지만 이 수술을 받지 못해 빛을 잃는 사람이 많은게 현실이다. 김동해(55) 비전케어 이사장 겸 명동성모안과 원장은 “우리나라에선 백내장으로 실명을 하는 환자를 좀처럼 볼 수 없다”고 말했다.

감비아 출신으로 미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예방의학과 전문의 가보우 멘티(75)는 “감비아에 가장 필요한건 의학 장비와 의료기술”이라며 “해외 전문의들의 봉사뿐 아니라 현지 의사들을 위한 트레이닝 코스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정전으로 수술 중단되기도…38도 더위에도 8시간 넘게 수술

12일 지난 4일동안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수술 후 주의사항을 듣고있는 모습. 의료진이 붙여준 안구보호대를 변형해 착용한 모습도 보인다. 김지아 기자

12일 지난 4일동안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수술 후 주의사항을 듣고있는 모습. 의료진이 붙여준 안구보호대를 변형해 착용한 모습도 보인다. 김지아 기자

병원 천장에 달려있던 선풍기는 책상에 올려둔 진료차트가 날리지 않을 정도로 천천히 돌았다. 외래진료실 복도는 공포영화의 한 장면처럼 불빛이 들어왔다 나갔다를 반복했다. 하루 8~10차례 정전도 이어졌다. 잦은 정전으로 수술이 중단됐고 환자들은 깜깜한 복도에 앉아 대기해야만 했다. 의료진은 스마트폰 불빛을 손전등 삼아 환자의 눈을 들여다봤다. 이튿날 비상용 발전기 UPS(무정전 전원장치)를 산 후에야 수월하게 수술을 이어갈 수 있었다.

38도를 웃도는 날씨였지만 의료진은 더 많은 환자를 수술하기 위해 점심식사도 현지전통 빵 타팔라파로 대체하고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 반까지 수술을 이어갔다. 캠프 삼일째엔 하루에만 수술을 30건 하기도 했다. 김 이사장은 “한국에선 아무리 많아도 수술을 10건 이상 하지 않는다”고 했다. 열악한 환경에서도 의료팀의 노력덕분에 감비아 환자들은 웃음을 되찾았다. 병원에서 차로 약 1시간 거리인 도시 셀라쿤다에서 온 장고 샤오(55)는 “3개월 전부터 오른쪽 눈이 어둡게 보여 동네 병원에 갔지만 안약만 처방받았다”며 “수술받아 기쁘고 가족들도 너무 좋아한다”며 활짝 웃어보였다.

감비아 브리카마 병원에서 시력검사를 하고 있는 모습. 감비아엔 문맹인 사람들이 많아 글자 또는 숫자로 시력검사를 하지 않는다. 김지아 기자

감비아 브리카마 병원에서 시력검사를 하고 있는 모습. 감비아엔 문맹인 사람들이 많아 글자 또는 숫자로 시력검사를 하지 않는다. 김지아 기자

또 다른 환자 밥스 시지(71)는 온몸으로 의료팀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그는 가슴에 손을 얹고 ‘감사합니다’라는 뜻의 “아바라카”, “아바라카, 꼬리아”를 대여섯번 중얼거리며 병원을 떠났다.

브리카마(감비아)=김지아 기자 kim.jia@joongang.co.kr

[김동해 이사장 인터뷰] "2002년 시작한 봉사활동이 어느덧 300차"

김동해 비전케어 이사장(가운데 하얀옷)이 캠프 마지막날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 사후 관리법 등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있다. 김지아 기자

김동해 비전케어 이사장(가운데 하얀옷)이 캠프 마지막날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 사후 관리법 등 주의사항을 설명하고 있다. 김지아 기자

김동해 비전케어 이사장 겸 명동성모안과 원장은 농담삼아 자신을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인종의 눈을 본 의사”라고 소개했다. 비전케어는 2002년 파키스탄을 시작으로 38개국에서 약 16만여명 환자를 진료했으니 틀린 말도 아니다.

김 이사장은 “비전아이캠프가 300차를 맞아 그저 감개무량하다. 익명의 후원자, 자원봉사자들이 아니면 여기까지 올 수 없었다”며 소감을 전했다. 그는 “그동안 시행착오를 거친 덕분에 노하우가 쌓여 열악한 환경에서도 능숙하게 환자들을 수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술 장비가 들어있는 수화물이 분실되는 일도 잦았고, 9년 전 66차 캠프로 감비아를 처음 찾았을 때는 발전기가 과열돼 수술 장비가 타버리기도 했다.

11일 300차 캠프의 마지막 환자였던 마시파 부 수술을 마친 후 촬영한 단체사진. [사진 비전케어]

11일 300차 캠프의 마지막 환자였던 마시파 부 수술을 마친 후 촬영한 단체사진. [사진 비전케어]

그는 “흔히 아프리카 질병하면 에이즈, 말라리아 등 생사와 직결된 병만 떠올리지만 봉사활동을 다니다보면 한국은 물론이고 교과서에서조차 보기 힘들 정도로 눈 상태가 심각한 환자가 많다”며 의료환경이 열악한 국가들의 상황을 전했다. 김 원장이 원하는건 일회성 이벤트가 아니다. 현지 의료진에게 기술을 전수해 지속가능한 의료를 가능하게 하는게 그의 꿈이다. 이번 캠프엔 에티오피아 현지 의료진 역량 강화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간호사 메자 트세게이와 테라페 무루쉐도 함께했고 반줄간호학교 학생 7명, 감비아에서 연수를 받고있는 시에라리온·라이베리아 의사도 김 원장의 수술을 참관했다.

김 이사장은 “현지의료진에게 기술을 전수하는 동시에 나는 그들에게 현지상황을 배운다”며 “언제까지 봉사활동을 계속할진 모르겠지만 비전케어가 아프리카, 중동 그 어디든 안가도 되는 그날이 오는게 내 소원”이라고 전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