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머리 속 시한폭탄 뇌동맥류, 때로는 ‘불발탄’도 있다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632호 27면

라이프 클리닉

“건강검진 결과 뇌에 동맥류가 있으니 빨리 큰 병원에 가보라고 해서 왔어요. 심각한가요?” “뇌동맥류는 머릿속 시한폭탄이라고 들었어요. 바로 입원해야 하나요?” 요즘 병원에는 이런 근심 어린 질문을 하는 환자들이 부쩍 늘었다. 갑자기 터져 돌연사하는 게 아니냐며 울먹이기도 한다.

진단 후 1년 내 터질 확률 0.5~1% #터지면 절반은 뇌출혈로 사망 #크기 작고 파열 잘 안 되는 위치면 #치료 않고 1년에 한 번 MRA 관찰 #갑자기 심한 두통 생기면 병원 가야 #과음·흡연으로 40대 환자도 늘어

뇌동맥류는 뇌 속 혈관이 얇아지면서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상태를 말한다. 뇌졸중(중풍)의 일종인 뇌출혈의 전단계다. 머릿속 혈관이 터지는 가장 흔한 증상이다. 뇌동맥류는 뇌출혈이 발생하기 전에는 증상이 없어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전체 인구의 약 3~5%에서 관찰된다. 뇌동맥류가 터지면 뇌와 뇌를 감싸고 있는 조직 사이의 공간인 ‘지주막하’에 출혈을 일으켜 환자의 절반이 급사한다.

생존 기간 중 터지지 않을 수도 있어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그래픽=이정권 기자 gaga@joongang.co.kr]

뇌동맥류는 보통 1년 안에 터질 확률이 0.5~1% 정도다. ‘1% 파열’ 위험성의 의미는 40세 환자가 90세까지 산다고 가정할 경우 뇌동맥류가 파열될 가능성이 50%라는 의미다.

생존 기간 중 터질 수도 터지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뇌동맥류 환자는 나이와 가족력 등을 고려해 치료 여부를 결정한다. 터질 위험성이 적다고 판단되면 치료하지 않고 두고 보는 경우도 많다. 치료가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최근 세계적 권위의 국제 학술지 ‘신경학, 신경외과학, 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에 따르면 미파열성 뇌동맥류의 치료 시 수술한 환자의 4.2%, 시술(코일 색전술) 환자의 3.6%가 장애를 갖거나 사망한다고 한다. 보고에 따라 약간 차이는 있지만 파열되지 않은 뇌동맥류 환자가 치료받을 경우 환자의 1~5%는 장애가 생기거나 사망할 위험성이 있다. 국내 치료 성적이 해외 발표보다 더 좋다고 하더라도 치료의 위험성은 항상 존재한다.

따라서 크기가 작거나 파열이 잘 안 된다고 판단되는 위치면 치료하지 않고 1년에 한 번 정도 MRA(혈관조영술)나 뇌혈관 CT(컴퓨터 단층촬영)로 크기 변화를 관찰한다. 관찰 도중 뇌동맥류의 모양이 변하거나 커지는 경우에는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아쉽게도 뇌동맥류를 터지지 않게 하는 약물은 없다. 혈압이 높은 환자는 혈압 조절을, 흡연자는 금연을, 그리고 술을 좋아하는 사람은 절주(節酒) 해야 한다.

물론 뇌동맥류 파열은 지주막하 출혈로 급사하거나 치료해도 심한 장애가 남을 수 있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머릿속 뇌동맥류가 터지면 망치로 맞은 듯한 극심한 두통을 느끼게 된다. 의식을 잃고 쓰러지기도 한다. 평소에 갑자기 심한 두통이 생기면 반드시 바로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호르몬 영향, 여성이 남성보다 유병률 높아

뇌동맥류는 고령에서 많이 생긴다. 하지만 최근엔 고혈압·과음·흡연·동맥경화·스트레스 등의 이유로 40대 환자도 늘고 있다. 여성의 유병률이 남성보다 높은데 이는 여성 호르몬의 영향으로 알려져 있다. 가족력도 중요한 위험 인자다. 뇌졸중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뇌 검사가 필요하다.

치료는 머리를 열지 않고 시술로 뇌동맥류를 막아주거나, 뇌동맥류를 묶어주는 수술 두 가지로 나뉜다. 동맥류 시술은 전신마취하에 사타구니 부위의 동맥으로 관을 삽입한 뒤 미세 도관을 넣어 뇌동맥류까지 접근해 그 안에 백금코일을 삽입하는 방법이다. 그러면 동맥류 안으로 피가 들어가지 않아 터지지 않게 된다. 다만 뇌동맥류의 입구가 넓으면 코일이 다시 빠질 위험성이 있어 스텐트를 삽입해 코일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스텐트 보조 코일 색전술’을 하기도 한다. 이런 환자는 항혈소판제제를 2년간 복용해야 한다. 최근 혈류변형용 스텐트가 개발돼 거대 동맥류를 포함해 치료가 어려웠던 동맥류 치료 시 코일 색전술의 성적이 좋다.

두개골을 절개하지 않고 치료한다는 장점 때문에 환자는 시술을 선호하기도 한다. 하지만 뇌동맥류의 모양과 위치에 따라 시술할 수 없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론 수술이 더 좋은 경우도 많다. 관자놀이 부위의 피부와 두개골을 절개하고 미세현미경을 이용해 뇌동맥류에 접근해 뇌동맥류를 작은 클립으로 묶어 주는 ‘뇌동맥류 경부결찰술’이다. 상처 부위는 아문 뒤 머리카락에 가려져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입원 기간도 5~6일로 짧다. 환자는 수술을 두려워하는데 뇌수술은 뇌 속 공간을 통해 동맥류로 접근해 뇌 손상 없이 수술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환자가 장애 없이 완전히 회복된다. 수술의 장점은 잘 치료하면 재발이 없다는 점이다.

뇌동맥류 환자는 평생 동맥류가 안 터지기도 한다. 따라서 시술이나 수술을 권유받더라도 치료 여부와 방법을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터지지 않은 뇌동맥류는 대부분 응급은 아니다. 수술 필요성과 방법에 대해 다른 병원의 의견을 확인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신용삼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신경외과 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