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산골목사 고진하 “사람 살리는 잡초에서 예수를 본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3면

고진하 목사와 부인 권포근 여사가 강원도 원주의 자택에서 마당에 자라는 잡초를 소개하고 있다. 바람을 타고 날아와 뿌리 내린 80여 종의 잡초마다 고유한 이름이 있다. [임현동 기자]

고진하 목사와 부인 권포근 여사가 강원도 원주의 자택에서 마당에 자라는 잡초를 소개하고 있다. 바람을 타고 날아와 뿌리 내린 80여 종의 잡초마다 고유한 이름이 있다. [임현동 기자]

강원도 원주시 흥업면 명봉산 기슭의 마을에는 오래된 한옥이 한 채 있다. 이름이 ‘불편당(不便堂)’이다. “조금 불편하게 살아야 삶이 건강해진다”는 철학으로 붙인 당호다. 대문을 열고 들어서자 마당에 잡초가 가득했다. 토끼풀과 민들레, 그밖에 이름 모를 풀들이 여기저기 자라고 있었다. 지난 10일 이곳에서 고진하(66) 목사와 권포근(60) 여사 부부를 만났다.

21일 부활절 앞두고 특별 인터뷰 #말 없는 식물에서 배운 침묵의 힘 #광야에서 단식한 예수가 들은 말 #다른 생명 치유하는 민들레 약효 #“나를 먹어라” 최후의 만찬과 통해 #사랑·회복 깨우쳐준 잡초 비빔밥 #자기 버리고 부활한 십자가 신비

그들에게 잡초는 잡초가 아니었다. 귀하디귀한 요리 재료였다. 농약도 치지 않고, 씨도 뿌리지 않고, 김도 매지 않고서, 야생의 숨결대로 날아와 자라는 ‘100% 자연산’ 나물이었다. 마침 부활절(21일)이 코앞이었다. 고 목사 부부는 잡초에서 깨우친 그리스도교 영성을 하나씩 풀어놓았다.

처음에 어떻게 잡초를 먹게 됐나.
“7~8년 전이다. 불편당에 이사를 왔는데 마당에 풀이 자랐다. 기껏해야 민들레, 질경이 정도밖에 모르겠더라. ‘얘들도 이름이 있겠지’ 싶어서 식물도감을 찾아봤다. ‘식용 가능’이란 말이 있더라. 생각해보니 배추는 중국에서 들어왔고, 고추는 일본에서 들어왔다. ‘그 전에는 사람들이 잡초도 먹었겠구나’ 싶더라. 우리도 먹어보자, 마음먹었다.”
봄 쑥을 쌀가루에 반죽해 밤소를 넣고 기름에 지진 쑥부꾸미.

봄 쑥을 쌀가루에 반죽해 밤소를 넣고 기름에 지진 쑥부꾸미.

권 여사는 “마당에 있는 잡초를 뜯어서 살짝 데쳤다. 고추장에 무쳐서 남편에게 줬다. 먹었는데 멀쩡하더라. (웃으며) 그래서 나도 먹기 시작했다”며 “처음에는 경계하면서 먹었다. 한두 번 먹어보니까 배도 안 아프고, 죽지도 않더라. 오히려 속이 참 편하더라”고 잡초 첫 경험을 설명했다.

잡초에 독성은 없나. 독초도 있는데.
“모든 풀은 자기 방어를 위한 약간의 독성이 있다. 끓는 물에 20~30초 데치면 90% 이상 없어진다. 물론 사람이 먹을 수 없는 독초도 있다. 집 주위에서 자라는 독초는 ‘애기똥풀’ 정도다. 따다가 줄기를 끊으면 노란 액체가 나오는 풀이다.”
잡초를 먹었더니 어땠나.
“계속 먹으니까 몸이 가볍고, 힘이 들지 않고, 소변이 맑아졌다. 한번은 손톱 밑이 곪는 ‘생인손’을 앓았다. ‘병원에 가야지’하며 미루고 있다가 토끼풀 생각이 났다. 그게 염증을 삭히는 데 좋다는 글을 읽은 적이 있다. 곧장 토끼풀을 데쳐서 나물로 먹었다. 2~3분도 안 됐는데 손톱 밑에서 콕콕 쑤시던 통증이 사라졌다. 아픈 게 없어지니까 더는 신경 안 쓰고 있었는데, 며칠 뒤에 보니까 저절로 나았더라.”
마당에서 뜯은 10여 종의 잡초를 나물처럼 무쳐서 만든 잡초 비빔밥.

마당에서 뜯은 10여 종의 잡초를 나물처럼 무쳐서 만든 잡초 비빔밥.

토끼풀은 체했을 때도 딱이라고 했다. “딸아이가 체증이 있었다. 토끼풀로 샐러드를 해줬다. 먹더니 ‘묵은 체증이 확 내려간다’고 하더라. 처음에는 잡초 요리를 안 먹더니, 그 다음부터 딸도 풀을 먹기 시작했다. 남편은 잡초 요리를 보름 정도 먹으니까 얼굴이 맑아지더라. 귀 아랫부분에 주름이 잡혀 있었는데, 어느 날 보니까 주름이 펴져 있었다.” 이밖에도 잡초의 효능은 풀마다 다양하다.

마당에서 뜯은 10여 종의 잡초를 나물처럼 무쳐서 만든 잡초 비빔밥.

마당에서 뜯은 10여 종의 잡초를 나물처럼 무쳐서 만든 잡초 비빔밥.

그래도 날것(샐러드)으로 먹을 수 있는 잡초는 몇 안 된다. 가령 민들레가 몸에 좋다는 건 알지만 특유의 쓴맛 때문에 선뜻 손이 가지 않는다. 권 여사는 숱한 시험 끝에 민들레 쓴맛을 완전히 잡아내는 토종 양념을 찾아냈다. 다름 아닌 들깻가루다. 이런 식으로 잡초마다 어울리는 요리법을 하나씩 개발해냈다. 그걸 모아서 『잡초 치유 밥상』(마음의 숲) 책도 냈다. 요즘은 ‘권포근의 건강요리’라는 유튜브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 촬영은 딸이, 편집은 아들이 한다. 동영상으로 잡초마다 다양한 요리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잡초비빔밥 -고진하

(중략)
흔치 않은 걸 귀하게 여기는 그대들이
개망초 민들레 질경이 돌미나리 쇠비름
토끼풀 돌콩 왕고들빼기 우슬초 비름나물 등
그 흔한 맛의 깊이를 어찌 알겠는가.

너무 흔해서 사람들 발에 마구 짓밟힌
초록의 혼들, 하지만 짓밟혀도 다시 일어나
바람결에 하늘하늘 흔들리나니,
그렇게 흔들리는 풋풋한 것들을 내 몸에 모시며
나 또한 싱싱한 초록으로 지구 위에 나부끼나니.

고 목사는 ‘잡초의 영성’을 풀었다. 그는 오전에 주로 집안일을 하거나 밭일을 한다. 들판에 나가 말 없는 식물들과 지내는 시간이 많다. 고 목사는 “말 없는 식물이 시(詩)의 어머니다. 말씀이 어디에서 나오겠나. 침묵에서 나온다. 그러니 침묵이 말씀의 어머니다. 예수님이 광야에 가서 40일간 단식하며 무슨 말을 들었겠나. 침묵을 들은 거다. 아버지, 그건 예수가 만난 침묵의 다른 이름이다.”

예수는 광야에서 만난 침묵을 향해 왜 ‘아버지!’라고 불렀나.
“우리가 붙일 수 있는 이름보다 더 큰 존재니까. 그럴 때 입에서 겨우 나오는 소리가 ‘아버지!’다. 생사를 넘어서는 더 큰 존재에 대한 일종의 호명(呼名)이다.”

그런 침묵을 향해 나아가는 삶, 고 목사는 그걸 ‘순례’라고 불렀다. “나는 잡초를 볼 때마다 식물성의 순례를 배운다. 순례가 뭔가. 자신의 근원과 접촉하면서, 다시 근원으로 돌아가려는 끊임없는 움직임이다. 사람은 어떤 말을 통해서 깨우치게 해줘야 자기 존재의 근원을 희미하게 알아차린다. 식물은 다르다. 말을 통해서가 아니고, 누가 뭘 전해줘서가 아니라 그냥 안다. 식물을 보고 있으면 자기 존재의 근원과 본래 하나라는 걸 몸속 깊이 알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 근원을 향한 순례의 측면에서 잡초는 인간보다 더 원초적이고, 동시에 더 진화한 존재가 아닐까.”

잡초는 그냥 쓸데없는 풀인 줄 알았다. 그리스도의 영성을 말할 줄은 몰랐다.
“인디언들은 아픈 사람이 생기면 식물이 병을 치료할 풀을 보내준다고 믿었다. 그래서 집 주위에서 풀을 뜯어 치료용으로 먹곤 했다. 종교에서는 아픈 사람을 돕고, 아픈 사람을 끌어안는 사람을 그리스도라고 부른다. 나는 잡초에서 그런 그리스도를 본다.”
잡초가 왜 그리스도와 닮았나.
“잡초는 자기 몸속에 다른 생명을 치유할 어떤 근원적인 힘을 품고 있다. 그런 에너지가 내장돼 있다. 예수는 최후의 만찬에서 제자들에게 ‘나를 먹어라’고 했다. 왜 그랬을까. 자기 안에 치유의 에너지가 있기 때문이다. 만약 ‘먹어야 할 예수’가 오염된 먹거리였다면 어땠을까. 사람을 살릴 수 있을까. 아니다. 예수가 야생에서 자라는 잡초처럼 청정하고 완벽한 먹거리였기에 사람을 살릴 수 있는 거다.”
예수는 왜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셔라’고 했나.
“나는 거기서 십자가를 본다. 예수는 자기 자신을 다른 사람의 먹거리로 내어주는 존재다. 그게 예수의 십자가다. 그 끝에 부활이 있다. 부활이 뭔가. 한마디로 ‘작은 나’는 죽고 ‘큰 나’로 살아나는 거다. 그게 부활이다. 예수는 ‘작은 자기’를 밟고 앞으로 나아간 사람이다. 그래서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고 했다. 우리도 그 길을 갈 때 진리가 되고, 생명이 된다.”

고 목사는 자칭 “잡초 중독자”다. 그가 가장 즐기는 메뉴는 ‘잡초 비빔면’이다. 마당에서 잡초를 뜯어다 살짝 데친 뒤, 물기를 꾹 짜서 고추장과 매실추출물로 버무린다. 면 사리에 버무린 잡초를 얹어서 비비면 완성이다. 고 목사네 마당에서 자라는 잡초만 무려 80여 종이다. 다들 어딘가에서 날아와 남모르게 뿌리를 내렸다. 그 풀마다 고유한 이름이 있다. 우리가 이름을 몰라 잡초라고 뭉뚱그릴 따름이다.

고 목사는 “나의 광야는 들판이다. 거기서 잡초를 캐다 보면, 생명이 얼마나 귀한가를 깨닫는다. 나 역시 잡초와 같은, 잡초의 일부라는 겸허에 이르게 된다. 그게 또한 나의 수도”라며 “잡초는 우리에게 야생의 회복을 일깨운다. 하나님이 인간을 지으실 때 주신 무한한 가능성의 회복이다. 남을 사랑할 수 있는 능력, 자비를 베풀 수 있는 능력, 험난한 인생을 헤쳐가는 능력. 그들을 회복하라고 잡초는 속삭인다.”

권포근 여사의 잡초 요법 … 집마당에 80여 종 가득해

개망초
해열, 해독작용을 하며 소화를 돕는다. 혈당 높은 사람이 꾸준히 먹으면 좋다.

질경이
눈을 밝게 하고, 간을 치료한다. 혈관을 튼튼하게 하며 이뇨작용을 돕는다.

엉겅퀴
해독 기능이 있다. 간경화, 황달 등 간질환과 이뇨, 소염, 관절염에도 쓰인다.

왕고들빼기
식욕을 돋운다. 유선염, 인후염, 편도선 염증에 효험이 있다. 소음인에게 좋다.

쇠별꽃
소화와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없애주며, 자궁병, 복통, 심장병에도 쓰인다.

소루쟁이
피부질환과 소염진통제로 쓰인다. 변비와 소화불량에 도움이 된다.

벼룩나물
간 기능을 튼튼하게 하고, 열 내리는 해열과 해독 효능이 있다. 타박상에 좋다.

토끼풀
각종 염증과 피부질환, 천식 치료에 좋다. 소염과 마취에도 효과가 있다.

고진하

1953년 강원도 영월에서 태어났다. 감리교 신학대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목사이면서 시인이자 영성가다. 인도를 순례했고, 우파니샤드와 노장사상을 파고들기도 했다. 원주 시골에 있는 한옥에서 목회하다가, 요즘은 동네 카페를 빌려서 목회를 한다. 그리스도교 영성에 대해 남달리 깊은 시선을 갖고 있다.

1987년 『세계의 문학』을 통해 시인으로 등단했다. 『거룩한 낭비』 등 시집 9권을 냈다. 산문집 『신들의 나라, 인간의 땅: 고진하의 우파니샤드 기행』 『쿵쿵』도 냈다. 김달진 문학상과 강원작가상, 영랑시문학상을 수상했다.

원주=백성호 기자 vangogh@joongang.co.kr

현문우답

현문우답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