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트럼프 언급한 ‘영변 外’ 우라늄농축 시설 어디?

중앙일보

입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하노이 메리어트 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하노이 메리어트 호텔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관련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북미 정상이 ‘하노이 선언문’ 도출에 이르지 못한 가운데 이번 북미 정상회담에서 쟁점이 된 것으로 보이는 ‘영변 외(外)’ 북한 다른 지역에 존재하는 핵시설과 미사일 시설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미국 측은 이날 끝난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영변 외 다른 핵시설의 목록 작성과 신고 문제를 북측과 협의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이날 정상회담 후 트럼프 대통령과 동석한 기자회견에서 “영변 핵시설 외에도 굉장히 규모가 큰 핵시설이 있다”며 “미사일도 빠져있고, 핵탄두 무기 체계가 빠져 있어서 우리가 합의를 못했다. (핵) 목록 작성과 신고, 이런 것들을 합의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폼페이오 장관의 발언을 보면 미국은 영변 외 다른 지역에 있는 핵시설 및 미사일 시설로 의심되는 곳을 지목하고, 리스트 작성과 신고 목록에 포함할 것으로 북측에 요구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 측은 이 시설에 대한 지명까지 제시한 것으로 추정되고, 북측은 미국의 정보 수집 능력에 당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회견에서 “영변 핵시설보다 플러스알파를 원했던 것 아니냐. 나오지 않은 것 중에 우리가 발견한 게 있었다”라며 “사람들이 잘 모르는 부분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추가 발견된 시설이 우라늄농축과 같은 것이냐는 질문에 “그렇다”며 “우리가 알고 있었던 것에 대해 북한이 놀랐던 것 같다”고 전했다.

이날 미국이 회담에서 지목한 영변 외 핵시설이 무엇인지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앞서 보도된 내용으로 추정하면 ‘강선’ 우라늄 농축 의심 시설일 가능성이 있다.

앞서 뉴욕타임스(NYT)는 지난해 7월 워싱턴 소재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를 인용해 북한이 영변 이외 운영 중인 우라늄 농축시설은 ‘강성(송)’(Kangsong) 발전소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이어 워싱턴포스트(WP)는 2010년부터 운영된 이 발전소 이름을 ‘강선’(kangson)이라고 밝혔다.

이 발전소에는 원심분리기 수천대가 있으며 수년간 가동됐다는 점에서 상당한 양의 핵무기급 고농축우라늄을 생산했을 것으로 ISIS는 추정했다.

우리 정보당국이 평양 인근 ‘강선’에 있는 이 시설을 주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보당국의 한 소식통은 “미국 정보기관에서 우라늄 농축시설 장소로 파악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관련 정보는 기본적으로 한미가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에 미국은 그동안 외부에 공개되지 않았던 북한 미사일 운용기지에 대한 증거자료도 북측에 제시했을 수 있다.

미국 싱크탱크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지난해 11월 북한 내 공식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약 20곳의 미사일 운용기지 중 13곳의 위치를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삭간몰 미사일 기지를 공개하기도 했다.

삭간몰은 북한 황해북도 황주군의 미사일기지가 있는 지명이다. 이 지명은 미군이 옛 군사지도에 표기한 지명을 그대로 옮긴 것이다. 북한은 지난 2016년 3월 10일 삭간몰 일대서 원산 동북방 동해로 단거리 미사일 2발을 발사한 바 있다. 당시 우리 군은 스커드 계열로 추정했다.

이외 지난 2월 CSIS의 빅터 차 한국석좌가 북한 전문 사이트 ‘분단을 넘어’에 게재한 보고서에서 함경남도 허천군의 상남리 미사일 기지를 언급한 바도 있다.

상남리 기지는 평양에서 북동쪽으로 310㎞ 떨어져 있으며 무수단으로 불리는 화성-10 중장거리탄도미사일(IRBM)과 대대급 또는 연대급 부대가 주둔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해 7월 북한이 평양 외곽에 있는 산음동의 한 대형 무기공장에서 액체연료를 쓰는 새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제조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는 미국 언론보도가 나오기도 했다.

박광수 기자 park.kwa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