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일제의 민족정기 유린 현장 '태실(胎室)'…아픈 역사의 현장

중앙일보

입력

일제에 의한 민족정기 유린의 현장 고양 서삼릉 내 ‘태실'. 전익진 기자

일제에 의한 민족정기 유린의 현장 고양 서삼릉 내 ‘태실'. 전익진 기자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 서삼릉(사적 제200호) 내 ‘태실(胎室)’. 조선 왕족 출생 당시의 태(胎)를 항아리에 담은 뒤 한자리에 모아 보관한 태실 집장지다. 태실에는 현재 조선 왕의 태실비 22위와 왕자, 공주의 태실비 32위가 양쪽으로 늘어서 있다. 태실비에는 주인공과 건립 시기, 원래 위치 등이 기록돼 있다.

일제에 의한 민족정기 유린의 현장 고양 서삼릉 내 ‘태실'. 전익진 기자

일제에 의한 민족정기 유린의 현장 고양 서삼릉 내 ‘태실'. 전익진 기자

원래 전국 각지 명산의 명당자리에 조성됐던 태실은 조선왕실에서 관리를 임명, 엄격히 보관해왔다. 하지만 1929년 조선총독부가 민족정기 말살을 위해 태실을 파내 이곳에 모아 놓았다. 김득환(61) 서삼릉태실연구소 소장은 “일제는 조선 왕조의 존엄성을 비하하고, 백성들에게 조선의 멸망을 확인시켜주려는 음모 차원에서 전국의 태실을 파괴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삼릉태실연구소, 3월 1일 ‘서삼릉 태실 문화제’ #3.1절 100주년 및 태실 강제이장 90주년 맞아 #서삼릉 내 비공개구역인 태실에서, 답사행사도

당시 조선총독부는 ‘태실이 파괴될 염려가 있다’는 명분을 내세워 전국 각지의 있는 왕과 왕손의 태실 54위를 파내 이곳에 옮겨와 서삼릉 태실을 조성했다. 일제는 당시 화강석 재질의 관으로 태 항아리를 보관하던 한국의 전통적 조성방식인 태함(胎函)을 무시한 채 시멘트 관으로 바꿨다. 또 태실 주변을 날 일자(日)형으로 담을 둘러 민족정기 말살을 기도했다.

서삼릉 태실 중앙 블록이 철거되기 이전의 모습. ‘일’(日) 자 형태의 블록 담장은 일제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사진 서삼릉태실연구소]

서삼릉 태실 중앙 블록이 철거되기 이전의 모습. ‘일’(日) 자 형태의 블록 담장은 일제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사진 서삼릉태실연구소]

서삼릉 태실의 철문도 왜색이 짙은 구조물이었다. [사진 서삼릉태실연구소]

서삼릉 태실의 철문도 왜색이 짙은 구조물이었다. [사진 서삼릉태실연구소]

이후 1996년 문화재연구소가 서삼릉 태실의 철제 담을 없애는 등 왜색이 짙은 태실을 정비했다. 하지만, 아직 태실의 규모나 내부시설 등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당시 발굴된 태 항아리 등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 등에 보관돼 있다. 현재 원 상태로 보존된 태실은 전국 10여 곳 정도지만 조선 후기에는 전국 130여 곳에 태실이 있었다.

김 소장은 “일제의 민족정기 유린 현장인 서삼릉 태실의 아픔 잊지 말아야 한다”며 “이곳은 일제강점기 때 역사 파괴의 현장인 만큼 역사교육현장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장기적으로는 국가 차원에서 역사적 고증을 거쳐 태실을 원래 조성된 곳에 복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득환 서삼릉태실연구소 소장이 서삼릉 태실에서 자신이 재현 제작한 태 항아리를 들어 보이고 있다. 전익진 기자

김득환 서삼릉태실연구소 소장이 서삼릉 태실에서 자신이 재현 제작한 태 항아리를 들어 보이고 있다. 전익진 기자

김득환 서삼릉태실연구소장이 재현 제작한 서삼릉에서 출토된 태조, 세종, 세조, 성종, 예종, 인종, 선조, 경종 등 조선 왕의 태 항아리 31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서삼릉태실연구소]

김득환 서삼릉태실연구소장이 재현 제작한 서삼릉에서 출토된 태조, 세종, 세조, 성종, 예종, 인종, 선조, 경종 등 조선 왕의 태 항아리 31개를 소개하고 있다. [사진 서삼릉태실연구소]

김 소장은 3.1운동 100주년과 태실 강제이장 90주년을 맞아 오는 3월 1일 오전 11시 서삼릉 태실에서 ‘서삼릉 태실 문화제’를 연다. 이 행사에서는 전주이씨 대동종약원 고양시분회가 ‘위안제향’를 올리고, 들소리보존회박유리씨가 ‘살품이 춤’을 공연한다. 시낭송가신다회씨의 시낭송도 이어진다. 김 소장은 ‘서삼릉 태실과 태항아리 재현품에 대하여’라는 주제로, 김성호 한국선사문화연구소 소장은 ‘일제의 한국민족역사 말살정책과 현재’를 주제로 각각 강연한다.

서삼릉 내 비공개구역에서 열리는 이번 문화제에는 일반인의 참여와 관람이 허용된다. 고양시문화관광해설사의 안내로 태실·왕자와 공주의 묘, 귀인의 묘, 연산군 생모 폐비 윤씨의 묘 등 서삼릉 능역의 비공개 구역에 대한 답사도 이뤄진다.

태실 등 서삼릉 비공개 구역. 박춘환 기자

태실 등 서삼릉 비공개 구역. 박춘환 기자

서삼릉은 대표적인 조선 왕릉 가운데 하나다. 예릉(철종과 왕비 능)과 희릉(중종의 계비 장경왕후 윤씨 능), 효릉(인종과 왕비 능) 등이 있다. 능 주위 곳곳에는 붉은색 껍질의 아름드리 ‘적송’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세계문화유산에 걸맞게 광활한 잔디 구릉지 위에 왕릉이 자리하고 있다.

고양=전익진 기자 ijj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