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32년 하계올림픽 남북공동 유치,박원순·오거돈 시장 대결?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19일 백화원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평양공동선언서에 서명한 뒤 교환하고 있다.[평양=사진 공동취재단]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지난해 9월 19일 백화원 영빈관에서 정상회담을 마친 뒤 평양공동선언서에 서명한 뒤 교환하고 있다.[평양=사진 공동취재단]

2032년 하계올림픽을 남북이 공동 유치하기 위한 국내 유치 도시는 어디가 될까. 박원순 서울시장과 오거돈 부산시장이 2032 하계올림픽 유치경쟁에 나섰다.

11일 오후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에서 #2032 하계올림픽 국내유치도시 선정 #박원순·오거돈 시장 참석해 유치설명

2032년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도시 선정을 위한 대한체육회 대의원 총회가 11일 오후 2시 충북 진천 국가대표선수촌에서 열린다. 박 시장과 오 시장은 이 총회에 참석해 유치도시 당위성과 준비상황을 직접 설명할 예정이다. 국내 다른 유치 희망도시가 없어 서울·부산이 맞붙은 것이다.

두 시장은 설명자료와 질의응답 자료를 준비해 대의원을 대상으로 치열한 설득전을 펼칠 전망이다. 유치도시를 결정할 대의원 투표는 오후 3시부터 두 도시의 설명회와 질의응답이 2시간가량 이어진 뒤 실시된다. 투표로 선정된 도시는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의 승인을 받아 국내 유치도시 최종 후보로 확정된 뒤 남북공동 유치를 위한 준비에 본격 착수하게 된다.

지난해 12월 14일 북측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열린 제2차 남북체육분과회담에서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오른쪽)과 원길우 체육성 부상이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 뉴스1]

지난해 12월 14일 북측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에서 열린 제2차 남북체육분과회담에서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오른쪽)과 원길우 체육성 부상이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 뉴스1]

2032년 하계올림픽 남북 공동유치는 지난해 9월 19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사항이다. 이런 합의에 국제올림픽위원회(IOC)위원회는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왔다. 남북의 어느 도시가 주체가 돼 유치운동을 벌일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현재 2032년 하계 올림픽을 놓고 인도·독일·호주 등이 유치 의사를 밝혔다. 국내 유치도시 선정 뒤 이들 나라와 2032년 올림픽 유치 경쟁을 벌이게 된다. 남북은 곧 IOC와 공동유치와 관련한 협의를 진행할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12월 남북이 개성 남북공동 연락 사무소에서 체육분과회담을 열고 IOC와의 협의 등을 골자로 한 3개 항에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해 11월 23일 부산을 찾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해운대구청 공무원을 대상으로 특강을 하고 있다. 이은지 기자

지난해 11월 23일 부산을 찾은 박원순 서울시장이 해운대구청 공무원을 대상으로 특강을 하고 있다. 이은지 기자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공약하는 오거돈 부산시장. 송봉근 기자

지난해 지방선거에서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공약하는 오거돈 부산시장. 송봉근 기자

서울·부산의 경쟁은 치열하다. 서울시는 지난해 12월 올림픽 소요예산액 등이 담긴 ‘2032년 서울·평양 올림픽 공동개최 유치 동의안’을 시의회에 제출해 동의를 받았다. 시는 이 동의안에서 2032년 7~8월 중 서울·평양 및 한반도 전역에서 15일간 올림픽을 개최하고 예산 3조8570억원이 필요하다고 예측했다. 서울시는 서울이 평양과 최단거리에 있는 도시인만큼 SOC·통신·물류비용을 아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부산시는 2028년 올림픽 유치를 추진하다 남북 합의에 따라 2032년 유치를 결정했다. 지난 1월 이미 시의회 동의를 받았다. 11일 설명회에서는 ‘평화 올림픽’을 강조할 예정이다. 오거돈 시장은 “올림픽의 핵심 메시지는 단연 평화가 될 텐데 남북협력 시대가 본격화하면 한반도 평화가 시작되는 출발점이자 종착점이 될 도시가 부산이라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평화 올림픽’을 키워드로 부산은 2002년 아시안게임 개최 등 많은 국제회의와 스포츠 대회를 개최한 경험이 있어 올림픽도 성공적으로 개최할 수 다는 점을 강조할 계획이다.

부산=황선윤 기자 suyohw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