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군대에서 팬케이크 브런치와 사제 음식을… 달라진 병영 식사 풍경들

중앙일보

입력

‘한 끼 1만원에 육박하는 배달 음식, 늦은 아침 즐기는 팬케이크, 흔치 않은 배와 감귤 주스까지…’

올해 전 부대 확대 시행되는 급식혁신사업 #軍 "병사 입맛 선택권 존중이 큰 방향"

과거에 보기 힘들었던 군대 식사 모습이다. 요즘 입대하는 병사들은 가끔이지만, 사제 음식과 브런치를 즐기고, 급식 메뉴도 선택할 수 있다. 올해부터 이런 기회를 더 늘린다는 게 군 당국의 계획이다.

국방부에 따르면 올해 병사들은 1년에 4차례 외부 음식을 먹을 수 있다. 브런치·자율 메뉴·복수 메뉴·병사식당 외 급식기회(외식기회) 등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된 급식혁신 사업 중 외식기회가 지난해 연 2회에서 올해 2배로 늘어난 덕분이다. 2017년 시범실시할 때만 해도 일부 부대만 누렸던 혜택이 올해 전 부대에서 가능해졌다.

지난해 5월 육군 8군단 장병들이 외식기회 제도를 통해 평일에 강원 양양군 내 민간식당에서 점심식사를 했다. [육군 제공]

지난해 5월 육군 8군단 장병들이 외식기회 제도를 통해 평일에 강원 양양군 내 민간식당에서 점심식사를 했다. [육군 제공]

해당 정책을 통해 병사들은 지휘관 동의를 받으면 식사 시간에 푸드트럭을 불러올 수도 있고, 피자·치킨 등을 배달시킬 수 있다. 때에 따라선 단체로 외부 식당을 찾기도 한다. 사단장의 허가가 떨어지면 대대급 단위에서 단체 메뉴와 일정을 조율하는 식이다. 이때 한 사람당 한 끼에 배정되는 비용은 8000원이다. 2017년 6000원에서 시작돼 2018년부터 2000원이 올랐다. 한 사람당 하루 세끼 급식 비용이 8012원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호사라 할 만하다. 군 당국은 외식기회 제도에 한 해 약 90억원의 예산이 추가로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2개 부대에서만 연 2회 허용된 양식 브런치도 올해 전 부대에서 실시된다. 야간훈련으로 다음 날 일과가 늦게 시작되는 경우 아침과 점심을 통합해 제공하는 방식이다. 군 당국은 메뉴 윤곽을 5개로 잡았다. 샌드위치·주스, 팬케이크·소시지·샐러드, 와플·시럽·시리얼, 피자·탄산음료·닭강정, 베이글·샐러드·수프 등을 후식 과일과 함께 제공할 계획이다. 군 관계자는 “두끼 비용을 한 끼로 통합하는 만큼 추가 예산이 들어가지 않는다”며 “메뉴는 물론 재료에도 고급화에 신경을 썼다”고 말했다.

일반 급식의 경우 메뉴 다양화가 화두다. 지난해까지 6개에 머물렀던 주스 종류는 올해 배주스와 감귤주스 2종이 추가돼 8개로 늘어난다. 라면에 적용되던 다수 공급자 계약방식을 주스에 도입한 결과다. 1개 회사가 제공하는 10개 종류의 군대 라면이 이 계약방식을 통해 지난해부터 4개 회사 50개 종류로 늘었다.

장병 급식. [중앙포토]

장병 급식. [중앙포토]

장병 시식 결과를 반영해 납품 제품을 정하는 제도도 올해 확대 실시한다. 지난해 비엔나소시지, 생선가스, 만두 종류에 적용된 선택 계약제도가 올해엔 돈가스와 카레 소스로 품목 범위를 넓혔다. 한 품목에 3종류의 제품이 입찰 경쟁을 펼친다고 하면 납품 물량 중 각 10%씩 장병 시식을 거친 뒤 선택된 한 제품이 나머지 70% 몫을 가져가는 방식이다.

떡볶이에 피자 치즈를 얹힐지, 멸치볶음에 견과류를 넣을지를 놓고서도 선택권이 부여된다. 올해부터 실시되는 자율운영 부식비 제도를 통해서다. 한 사람당 하루 급식비 100원 내에서 부대별 재량 부식비가 편성되면 급양 담당자는 보급 식재료 외에 위와 같은 추가 재료를 따로 구매할 수 있다.

군은 또 지난해 전 부대 재량으로 실시된 자율메뉴와 복수 메뉴 제도는 올해 더 활발히 운영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율메뉴는 월간 단위로 급식 메뉴를 짤 때 병사들의 의사를 설문 등으로 더욱 적극적으로 반영하자는 취지다. 지난해 현장 선호도를 보면 치킨마요 덮밥, 불닭덮밥, 케이준 치킨 샐러드, 사골곰탕, 순대 등이 인기 메뉴로 꼽혔다. 이밖에 복수 메뉴는 돈가스 또는 생선가스 등 두 개 이상 메뉴를 준비해 병사들이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군 관계자는 “병사 입맛에 맞춰 연간 식재료로 어떻게 월간 메뉴를 만들지는 각 부대 급양 관계자의 노력에 달려있다”며 “병사 선택권을 최대한 존중한다는 방침에 따라 군 당국이 계속 독려해야 할 부분”이라고 말했다.

이근평 기자 lee.keunpy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