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中 유튜버가 본 평양스타일…그곳엔 물결형 헤어가 뜬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이영종의 평양오디세이]  북한땅 누비는 중국 유튜버

폐쇄적인 북한 체제의 내부 모습이 뜻밖의 곳에서 속속 드러나고 있다. 요즘 한창 뜨고 있는 유튜브 공간이다. 조선중앙TV의 김정은 찬양 영상이나 가요 등을 선전·선동 차원에서 북한 당국이 올려온 것과는 차원이 달라졌다. 평양과 지방 도시의 길거리·주민을 담은 장면이 생생히 드러나고, 음식점의 주방과 이발소 등의 풍경도 접할 수 있다. 과거 방북 교포 인사나 서방 관광객이 올려온 단편적인 영상과 달리 분량도 길고 시리즈로 다루는 경우도 나타난다. 유튜브에 비친 김정은 체제의 현주소를 찾아가 본다.

북 생활상 엿볼 생생한 영상물 #중국 신세대 유튜버들이 제작 #평양 이발소·노래방 체험에 #고아원 주방까지 밀착 촬영 #김정은 방중으로 북·중 더 밀월 #방북 촬영붐 통제 쉽지 않을듯

인터넷과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북한에서 절대 금기인 단어다. 2500만명 주민을 70년 넘게 외부와 철저히 단절시킨 채 갈라파고스 왕국을 다져온 때문이다. 다원화와 소통의 상징인 인터넷을 허용한다는 건 북한 지배층엔 곧 체제의 붕괴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일가를 비롯한 극소수 특권층에게만 허용되고, 해커나 대남 선전·선동 요원 등 특정 임무에 종사하는 엘리트에게 제한적으로 제공된다. 물론 노동당 고위 간부들이 인터넷의 효용을 모르는 건 아니다. 통일전선부(부장 김영철 당 부위원장)가 대남 비방 사이트인 ‘우리 민족끼리’를 운영하고, 유튜브에 최고지도자 우상화와 체제 선전 영상을 올린 건 대표적 사례다. 모란봉악단 공연 등 일부를 제외하고는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최근 들어 상황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유튜브를 통해 북한의 생생한 내부 모습이 담긴 영상물이 번지고 있는 것이다. 이를 주도하는 건 북한 당국이나 엘리트 계층이 아니다. 뜻밖에도 중국의 젊은 유튜버들이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이들은 평양과 북한의 지방 도시를 누비며 주민 일상이나 풍경을 영상으로 기록한다. 서방의 언론인이나 관광객들이 대북제재 때문에 방북이 쉽지 않은 국면에서 독보적인 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 3월 김정은의 첫 중국 방문을 계기로 복원된 북·중 관계도 이들의 보폭을 넓혀준 것으로 보인다.

중국 스타트업 채널 SAO의 유튜버가 평양 문수몰놀이장 이발소에서 헤어스타일 사진을 보고 있다. [유튜브 캡처]

중국 스타트업 채널 SAO의 유튜버가 평양 문수몰놀이장 이발소에서 헤어스타일 사진을 보고 있다. [유튜브 캡처]

북한의 미용실 벽에 붙어있는 헤어스타일 사진. [유튜브 캡처]

북한의 미용실 벽에 붙어있는 헤어스타일 사진. [유튜브 캡처]

가장 눈길을 끄는 건 세계문화기행을 전문으로 하는 스타트업 그룹인 SAO가 만든 ‘조선세계’ 시리즈다. ‘내가 (직접) 가서 세계를 본다’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건 이들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북한 각지의 모습을 담아 유튜브에 공개해 왔다. 벌써 20~30분짜리 영상 수십 개를 올려놓은 상태다. 서너명의 남녀로 구성된 취재팀은 마치 관광을 하듯 평양과 원산·남포 등을 휘젓는다. 지난 여름 촬영된 한 영상엔 더위를 피해 고가다리 밑에서 잠을 자는 주민 모습이 그대로 드러난다. 혼잡한 주차장을 빠져나오는 차량에 불호령을 하는 보안원의 목소리도 담겼다.

평양애육원 주방의 헬로키티 주전자. [유튜브 캡처]

평양애육원 주방의 헬로키티 주전자. [유튜브 캡처]

카메라 앵글도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자유분방한 모양새다. 호텔을 나서 북한 통역과 만나 밴 차를 타고 이동하는 모습까지 그대로 공개된다. 김정은 위원장이 방문했던 평양애육원(유치원 연령의 고아를 돌보는 시설)을 찾은 이들 일행은 주방에까지 카메라를 들고 들어간다. 영상엔 일본 산리오 회사의 유명 캐릭터인 헬로키티가 그려진 아동용 밥그릇과 주전자가 비친다. 중국인 여성 진행자는 아이들이 간식으로 먹을 ‘해바라기’ 상표의 빵과 탄산음료를 들어 보이며 시청자의 호기심을 풀어준다. 평양 지하철을 체험하는 영상에는 개찰구를 지나 100m가 넘는 깊이의 승강장으로 들어가는 긴 에스컬레이터를 보여주고 열차 안팎의 주민 모습과 벽화·선전구호에 렌즈를 들이댄다. 대북정보를 다뤄온 우리 정부 관계자는 “과거 북한 내부 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입수하려 애썼던 평양의 기관·시설 모습이 이젠 고화질 영상으로 생생하게 접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고 말했다.

이발소를 방문해 실제 북한식 서비스를 받는 체험형 영상도 눈길을 끈다. 벽에 걸린 헤어스타일 그림에는 물결형을 비롯해 구름형·누운패기형·축포형 등 14가지 유형이 소개돼 있다. M자형 탈모가 진행된 중년 남성에게는 ‘기러기형’이란 이름을 붙여 놓았다. 방문지를 오가는 길에 식당에 들러 대동강맥주를 맛보거나 길거리 매대에서 북한 통역과 함께 꼬치 요리를 함께 맛보기도 한다. ‘가라오케(K-TV)’라고 적힌 노래방에서 북한과 중국의 가요를 부르거나 문수물놀이장을 찾은 북한 주민들이 수영복 차림으로 즐기는 영상, 강원도 원산의 송도원 국제야영소를 탐방하는 장면도 나온다.

아이들 간식용인 ‘해바라기’ 상표의 빵과 탄산음료. [유튜브 캡처]

아이들 간식용인 ‘해바라기’ 상표의 빵과 탄산음료. [유튜브 캡처]

중국 유튜버들이 주도하는 이 같은 영상에 대해 ‘그동안 다루지 못해온 북한의 내부 생활상을 보여준다’는 평가와 ‘이 역시 북한 당국의 통제 아래 촬영된 선전 영상일 뿐’이란 비판이 엇갈린다. 손기웅 전 통일연구원장은 “과거 서방 언론을 초청해 북한체제를 선전하려던 시도가 크고 작은 부작용이 드러나자 북한 당국이 우호적 성향의 영상 작가나 네티즌을 활용하는 쪽으로 선회한 건 사실”이라면서 “하지만 중국 국적의 관광객이나 유튜버를 북측이 통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보다 한 발짝 더 북한 속으로 들어간 젊은 감각의 앵글과 유튜브라는 미디어의 특성상 김정은 체제의 북한을 들여다보고 이해하는데 적지 않은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얘기다.

북한 체제의 감춰진 속살을 드러내려는 중국 청년 유튜버들의 발걸음이 더 빨라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지구 위에서 유일하게 북한이 쉽게 손대기 어려운 나라가 중국이란 측면 때문이다. 잇단 미국인 억류 사태나 한국과 서방 언론에 대한 방북취재 활동 간섭 움직임과 달리 북한은 중국 관광객이나 네티즌들에게는 우호적인 태도를 취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대북제재 국면에서 중국인 관광이 외화벌이에 숨통을 터주고 있다는 점 때문에 북한 당국이 예전보다 더 자유로운 활동을 보장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새해 벽두 이뤄진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으로 북·중 밀월관계는 더 밀착하는 모습이다. 김정은 집권 이후 양측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과 유엔 대북제재에 대한 중국의 방관 내지 동참으로 냉랭한 시기를 보냈다. 하지만 지난해 김정은 위원장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3차례 정상회담을 통해 북·중 혈맹은 복원 과정을 거쳤다.

지난 8일 베이징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은 시진핑 주석에게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길로 곧바로 나아가는 중국의 실상을 직접 보면서 힘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는 게 북한 중앙통신의 전언이다. 중국식 개혁개방을 ‘사회주의 노선에 대한 배신’이라며 볼멘소리를 했던 지난 시기와 달라진 평가다. 하지만 정작 북한이 어떤 길을 선택해야 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못한 분위기다. 김정은이 마주한 현실은 자신의 35회 생일상을 이국땅에 차려야 할 정도로 녹록지 않다. 야간 국제열차편으로 압록강을 넘으며 가다듬었을 김정은의 2019년 구상이 궁금해진다.

이영종 통일북한전문기자 겸 통일문화연구소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