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특권층에 대한 민중의 분노, 루이16세는 왜 몰랐을까

중앙일보

입력

[더,오래] 강정영의 이웃집 부자이야기(13)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1789년 프랑스 혁명은 수백 년 동안 유럽을 지배한 절대 왕정을 무너뜨려 민주주의의 길로 들어서도록 만든 단순한 하나의 혁명 이상이었다. [중앙포토]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1789년 프랑스 혁명은 수백 년 동안 유럽을 지배한 절대 왕정을 무너뜨려 민주주의의 길로 들어서도록 만든 단순한 하나의 혁명 이상이었다. [중앙포토]

1789년 프랑스 혁명, 그것은 단순한 하나의 혁명 이상이었다. 수백 년 동안 유럽을 지배한 절대 왕정을 무너뜨려 민주주의의 길로 들어서도록 만든 대사건이다. 혁명이란 일반적으로 기득권층과 지배계급을 단시일 내에 급진적으로 때로는 잔인하게 몰락시키고 교체한다. 혁명 전야엔 공통으로 기득권층의 부정부패, 빈곤, 재난, 그리고 개혁의 실패가 전조 증상으로 나타난다.

프랑스 혁명도 예외가 아니었다. 오스트리아 공주 마리 앙투아네트와 결혼한 루이 16세는 순수했으나 소심했다. 그는 사냥을 좋아했고 자물쇠 만드는 취미에 빠져 정치에는 관심이 적었다.

파리 동남쪽으로 55km 떨어진 퐁텐브로이는 아름다운 정원과 드넓은 숲으로 이루어진 하궁이다. 그곳은 왕들이 좋아하던 사냥터였고 나폴레옹도 말년에 자주 찾았다고 한다. 그는 우유부단해 누구에게나 조언을 구했고, “나는 어떻게 하면 좋으냐”는 물음을 측근들에게 자주했다고 한다.

세제 개혁 성공했다면 프랑스 혁명 없을 수도

그가 개혁을 위해 임명한 재무장관 튀르고는 자신의 봉급을 절반으로 깎으면서 재정 파탄을 피하고 증세 부담을 없애기 위해 세출 절감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대신 세금을 내지 않았던 귀족 등 특권층에는 과세하려고 계획했다.

그러나 왕비 앙투아네트부터 반대했고, 귀족과 소위 기득권층의 반발로 개혁은 실패로 돌아간다. “세금 내려는 사람은 없고 세금 쓰려는 사람만 많다”는 당시 떠돌던 말은 지금도 유효하다. 만약 그가 강력한 국왕 밑에서 개혁에 성공했다면 프랑스 혁명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으로 보는 역사학자도 있다.

농민은 각종 세금 부담으로 등골이 빠지는데, 귀족은 사냥을 즐기기 위해 영지에 비둘기와 토끼를 방사해 농작물에 막심한 손해를 끼쳐 불만이 쏟아졌다. 만약 귀족이 누렸던 수렵권, 토지 강제 사용권, 기타 독점적인 이권 등 특권을 폐지하고 농민의 과중한 부담을 덜게 해주는 개혁에 성공하였다면 루이 16세도 비극적인 최후를 피할 수 있었을 것이다.

불만과 억압이 극에 달해 폭발한 것이 바스티유 감옥 함락이다. 바스티유 성탑은 봉건제의 상징이자 불법 투옥의 악명으로 민중의 원성이 자자했던 곳이다. 이후 프랑스 혁명이 시작되었다. [중앙포토]

불만과 억압이 극에 달해 폭발한 것이 바스티유 감옥 함락이다. 바스티유 성탑은 봉건제의 상징이자 불법 투옥의 악명으로 민중의 원성이 자자했던 곳이다. 이후 프랑스 혁명이 시작되었다. [중앙포토]

불만과 억압이 극에 달해 폭발한 것이 바스티유 함락이다. 바스티유 성탑은 봉건제도의 상징이었고 불법투옥의 악명으로 민중의 원성이 자자했던 곳이다. 7월 14일 온종일 사냥으로 지쳐 고단하게 잠에 떨어졌던 왕은 아침에 이 소식을 측근에게 전해 들었다. “반란인가”라는 물음에 그의 신하는 “혁명이다”고 대답했다.

그것은 본격적인 혁명의 서막에 불과했다. 외국인 용병마저 궁정으로 피신하는 등 무정부 상태의 혼란이 계속된다. 단두대는 성난 군중이 귀족을 심판하기 위해 들이대는 무서운 공포의 잣대가 되어 갔다. 단두대는 당시 의사였던 조셉 길로틴이 고안했다. 사람이 칼로 목을 베는 경우에 생기는 고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만든 장치였다.

귀족으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평생을 호화롭게 살면서 민중을 억압한 데 대한 극심한 분노가 잔학한 보복으로 표출됐다. 당시엔 밀고가 시민의 의무였고 단두대가 미덕의 재단이었다. 약 4만명이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졌고 특히 귀족 계급에서 희생자가 많았다. “보라, 센 강에는 피가 흐르고 있다. 아아, 너무 많은 피가 흐르고 있다. 이제 진정하고 제자리로 돌아가 관용을 요구하라.” 당시의 혁명가 당통이 호소한 말이다.

1793년 1월 21일 마침내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도 최후를 맞이한다. 놀라운 것은 루이 16세가 단두대에서 오르면서 “짐은 죄 없이 죽는다”는 말을 남긴 것이다. 인민을 보살펴야 할 왕이 그들의 고달프고 고통스러운 삶의 실상에 얼마나 무지했던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한 마디였다. 그래서 아마도 그는 죽어야 했는지 모른다.

촛불집회가 광화문 광장에서 열리고 있는 모습. 억눌리고 불만이 쌓인 계층이 많으면 프랑스 혁명처럼 급진적인 변화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중앙포토]

촛불집회가 광화문 광장에서 열리고 있는 모습. 억눌리고 불만이 쌓인 계층이 많으면 프랑스 혁명처럼 급진적인 변화를 피할 수 없게 된다. [중앙포토]

얼마 전 국회 대정부 질의에서 어느 국회의원이 국무총리에게 촛불 시위를 ‘촛불 혁명’이라고 보느냐는 질문을 했다. “본인 생각으로는 혁명으로 본다”는 답변이 나왔다. 그 답변의 의미는 간단하지 않다. 국민 다수가 혁명적 변화와 조치를 요구한 행위로 본 것이다.

지난 정권의 대통령들이 중형을 선고받고, 측근 실세들도 구속됐다. 그들의 죄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으나 그들의 정치적인 행위를 보는 잣대가 확연히 달라진 것은 분명해 보인다. 구속된 어느 핵심참모는 “과거에는 관행이던 것이 지금은 죄가 되었다”고 했다. 억울한 감정을 표현한 것이겠지만 루이 16세의 한가한 상황 인식과 다름없다고 할 것 같다.

불만 계층 많아지면 급진적 변화 불가피

억눌리고 불만이 쌓인 계층이 많으면 프랑스 혁명처럼 급진적인 변화를 피할 수 없게 된다. 그런데도 기득권층과 가진 자가 개념 없이 예전과 같이 특권을 행사하고 누리려 한다면 어떻게 될까. 최근 어느 재벌 총수 일가의 갑질이 사회적인 공분을 사고, 적지 않은 재벌 총수가 법정에 불려 나가고 구속된 것은 우연한 일만은 아닌 것 같다.

세계의 부자 워런 버핏이나 빌 게이츠가 가진 재산의 대부분을 사회에 환원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기업들은 사회적인 책임이라는 이름으로 공적인 활동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그러한 약속과 행위는 단순한 자선이 아니다. 그 배경에는 나와 기업이 이만큼 큰 것이 내가 잘 나서가 아니라 이 사회의 구성원인 국민 덕분이라는 철학이 담겨있다고 본다.

양극화, 부의 대물림, 금수저·흙수저 하면서 계층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이런 때일수록 가진 자가 나누려 하고 고통받는 이웃과 함께하려는 마음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사회적 갈등과 긴장을 줄이고 좀 더 평화로운 세상을 원한다면 역사적인 사건이 주는 엄혹한 교훈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강정영 청강투자자문 대표 aventamur@naver.com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