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혼자 있고 싶지만 취향은 나누고 싶어… 밀레니얼은 어떤 집을 원하는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폴인인사이트’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밀레니얼에게 오늘의 도시는 너무 팍팍합니다. 그렇습니다. 1980~2000년에 태어나 세계 인구의 25%를 차지하고 있는,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소비집단인 밀레니얼 말입니다. 하루가 다르게 치솟는 집값, 건물주가 상권을 쥐고 흔드는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ㆍ골목 문화가 자본에 쫓겨나는 현상)은 밀레니얼이 도시에서 자리잡을 틈을 내어주지 않습니다. 기능과 효율을 앞세워 성장한 도시는 새로운 일과 삶을 추구하는 밀레니얼과 계속 부딪힙니다.

이런 도시를 밀레니얼이 꿈꾸는 도시로 바꾸려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소유하지 않아도 풍요로운, 일과 삶이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일이 탄생하는 도시를 만들려는 시티체인저(City Changer)들입니다. ‘미래의 일’을 이야기하는 지식 플랫폼 폴인(fol:in)이 11월, 도시의 이야기에 주목하는 이유입니다. 한ㆍ일 시티체인저들을 만나보는 <시티체인저(City Changer) 2018: 밀레니얼의 도시> 컨퍼런스, 두번째 이야기를 폴인인사이트에서 소개합니다.

② 밀레니얼의 라이프 스타일이 반영된 공간 디자인

밀레니얼의 특징은 크게 보면 세 가지다. 소유하기보다 경험하는 것을 선호한다. 혼자 있는 것을 즐기는 동시에 취향이 맞는 사람들과 연대하는 것도 또한 좋아한다. 어느 세대보다 일의 즐거움과 가치를 좇는다. 이런 밀레니얼은 어떤 집에 살고 싶어할까.

부동산 개발기업 SK디앤디가 최근 밀레니얼을 겨냥해 선보인 주거 공간 t’able(이하 테이블)은 이런 질문에서 출발했다. ‘소셜 아파트먼트’라는 부제를 붙인 테이블은 경험과 느슨한 연대를 추구하는 밀레니얼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해 설계됐다. 주거 공간은 지극히 개인적이다. 공용 라운지에는 다양한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마련돼 있다. 호텔 서비스와 멤버십, 커뮤니티와 주거를 다 합친 서비스다.

소셜아파트먼트 t&#39;able의 커뮤니티라운지 모습. [사진 SK디앤디]

소셜아파트먼트 t&#39;able의 커뮤니티라운지 모습. [사진 SK디앤디]
소셜아파트먼트 t&#39;able의 공용 공간 [사진 SK디앤디]
소셜아파트먼트 t&#39;able의 공용 공간 [사진 SK디앤디]

테이블 설계엔 각 분야 전문가가 실험적으로 참여했다. SK디앤디가 기획 총괄을, 컨설팅 회사 퍼셉션이 기획과 브랜딩을 맡고, 소셜살롱 비마이비(Be my B)가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하며 최인아책방의 최인아 대표가 입주자를 위한 책을 고르는 식이다. 이 외에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는  B.A.T가 공간 디자인에는 최중호 스튜디오가 참여했다. 최소현 퍼셉션 대표는 "밀레니얼의 라이프스타일을 제대로 반영하고 싶어 서비스를 되풀이해 시뮬레이션했다"며 "테이블이 실제로 운영되는 과정에서 시나리오가 어떻게 반영될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소셜아파트먼트 t&#39;able의 기획과 브랜딩을 맡은 최소현 퍼셉션 대표. [사진 퍼셉션]

소셜아파트먼트 t&#39;able의 기획과 브랜딩을 맡은 최소현 퍼셉션 대표. [사진 퍼셉션]

퍼셉션을 간단히 소개하면.
우리는 디자인으로 세상을 조금씩 더 낫게 만드는 조직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조금씩’이다.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을 조금씩 바꿀 수 있게 한다면 세상도 조금씩 나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구체적으로는 디자인 전략을 잡고 브랜딩, 즉 브랜드 경험 디자인을 한다. 신규 비즈니스라는 게 계획을 세우고 실행 단계까지 가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우리는 이를 빠르게 프로토타이핑(Prototyping·시제품화)해 검증하고, 컨셉에 맞는 스토리를 짜서 브랜딩하는 일을 주로 하고 있다. 신규 비즈니스에 대한 컨셉 모델링이다. 최근엔 퍼셉션만의 서비스도 준비하고 있다.
할리스커피와 CJ블로썸파크, 다시세운 프로젝트 등 공간에 대한 작업이 눈에 띈다.
우리가 지금까지 해온 것들을 살펴보니 결국 그 끝은 사람과의 접점에 있었다. 자연스럽게 사람들이 만나는 공간에 대해 생각하게 됐다. 사실 간단한 상품을 브랜딩해도 공간을 배제할 수는 없다. 상품을 선보이는 곳, 사용하는 곳이 공간이기 때문이다. 공간 기획에서 중요한 것은 ‘실행’이다. 아무리 디자인과 기획이 좋아도 실제 실행을 했을 때 좋을지는 또 다른 문제다. 그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이 누구인지, 공간에서 어떤 행위가 벌어지는지 수없이 되풀이해 시나리오를 그려야 오류가 적다.
사람의 행동을 통해 공간 기획을 바라봤다는 점이 흥미롭다.  
디자인에는 정답이 없다. 사람마다 취향도 다르다. 중요한 것은 사용성이나 공간을 설계할 때 오류를 내지 않는다는 것이다. 공간은 웹과 다르다. 한 번 만들면 고치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공간이 가시화됐을 때 어떤 모습일지 상상하고 밑그림을 그린다. 테이블도 이런 과정을 거쳤다. 어떤 사람이 어떻게 살아갈지를 설계팀에게 설명하고 나니 시너지가 나더라. 이런 작업 때문에 건축주 대변인이란 말도 듣는다(웃음).
고객에 맞는 공간을 기획하는 데 노하우가 있을까.
고객이 누구이고 무엇을 좋아하며 어떤 가치를 원하는지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테이블은 일단 대상 고객을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6개의 그룹으로 나눴고, 각자에 대해 시나리오를 만들었다. 영화 시나리오 수준의 분량이었다. 브랜딩을 더 단단히 하기 위해 초기 입주자를 모았다. 테이블 세터다. 야구 경기에서 1, 2번 주자를 가리키는 용어인데 타율이 높은 타자로 구성해 경기 분위기를 잡아주는 역할이다. 페이스북을 통해 공식 오픈인 11월 이전에 입주가 가능한 테이블 세터를 뽑았다. 이 팀에서 나온 다양한 삶의 관점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 ‘뭐든 완벽하게 세팅하면 사람들이 참여할 여지가 없으니, 일부 열어둬 자발적으로 만들어가게 하자’는 흥미로운 아이디어도 여기서 나왔다.
공간을 기획하며 특히 신경을 쓴 점은.  
공간이 살아있으려면 서비스를 먼저 기획해야 한다. 테이블에선 소셜 살롱으로 유명한 ‘비마이비(Be my B)’가 커뮤니티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요가와 명상을 하는 퀘렌시아 팀이 입주해 여러 프로그램이 생겨날 걸로 기대한다. 컨시어지 서비스를 기획할 땐 인터뷰나 통계를 활용했다. 젊은 세대가 느끼는 생활의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노력했다. 호텔처럼 룸 클리닝을 해주고, 세탁물을 걷어가고 대신 받아주기도 한다. 가구나 공구를 나눠쓸 수도 있다. 
결국 주거란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과정이다. 
그렇지 않아도 오프닝 행사 대신에 '주거란 무엇인가'에 대해 이야기 나누는 시간을 가지려고 한다. SK디앤디 김도현 본부장이 '리본 커팅보다 낫지 않느냐'며 제안했다. 테이블을 통해 주거에 대한 다양한 토론이 시작되길 바란다. 
테이블에 살려면 꼭 밀레니얼 세대여야 하나.
밀레니얼에 대해 논하며 ‘나이’ 기준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결국 나이보다는 삶에 대한 가치관이 중요하다는 점에 다들 공감했다. 나이가 어리다고 모두 사고 방식이 열려 있는 것도 아니고, 나이가 많다고 다 닫힌 사람도 아니다. ‘넌 몇살이니까 밀레니얼’이라고 단정짓는 순간 세대 간의 단절이 생긴다. 결국 새로운 시대에 어떻게 적응하느냐가 중요하다.
밀레니얼에게 도시란 어떤 의미일까.
나 또한 묻고 싶다. 천만 가지 답이 나오지 않을까. 추측해보면, 골목에서 자란 세대는 밀레니얼 이전이 끝이다. 밀레니얼 대부분은 대도시, 그리고 아파트에서 자랐다. 과연 이들에게 동네란 개념이 있을까 궁금했다. 망원동과 성수동을 찾아가고, 옛날 레코드판을 수집하는 행위들이 혹 경험하지 못한 것에 대한 로망은 아닐까 싶었다. 내 고민은 아날로그의 접점을 그리워하며 경험을 갈망하는 밀레니얼에게 윗세대로서 무엇을 열어줄 수 있느냐다.

퍼셉션 최소현 대표는 26일 서울 을지로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 크레아에서 열리는 폴인(fol:in)의 컨퍼런스 <시티체인저 2018: 밀레니얼의 도시>에서 밀레니얼의 라이프 스타일이 반영된 공간과 운영에 대해 더 자세한 이야기를 펼쳐놓을 계획이다.

<시티체인저 2018: 밀레니얼의 도시>에는 홍익대 건축대학 유현준 교수를 시작으로 포틀랜드 전문가로 불리는 일본 매거진 ‘MEZZANINE’ 스이타 료헤이 편집장, 사무실과 주거 공간을 공유하는 실험을 벌이는 ‘로컬스티치’의 김수민 대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기술로 공간 재현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반베이스’ 하진우 대표, 주민 스스로 바꾸고 운영하는 도시 DIY의 표본을 만들어가는 ‘한국 리노베링’의 이승민 대표, ‘무지호텔’ 베이징점과 긴자점을 기획한 일본 UDS 나카가와 케이분 사장이 참여한다. 티켓은 폴인 홈페이지에서 구매할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