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알쓸신세]여권 표지를 파랗게 변경?! 영국서도 시끄러운 이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가 2020년부터 발급할 차세대 전자여권(일반용)의 표지를 녹색에서 남색(진청색)으로 바꾸기로 했습니다. 1988년 여행자유화 시행 때부터 사용된 녹색 표지가 32년 만에 사라지는 것이죠. 사실 그동안 녹색 표지가 한국의 정체성과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간간이 있었습니다. 지난 3월에는 ‘초록색 여권을 사용하는 나라는 이슬람 국가가 대다수’라며 표지를 파란색으로 변경해달라는 청와대 국민청원이 등장하기도 했으니까요.

그런데 여권 표지를 남색으로 바꾸기로 하자 이번엔 또 다른 논란이 제기됩니다. 남색으로 바꾼 새 여권 시안이 현행 북한 여권과 비슷하다는 거죠. 실제로 남색 바탕에 금색 글씨가 얼핏 보면 유사성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각국 여권 정보를 모아놓은 '패스포트 인덱스‘(www.passportindex.org)에 가면 그런 생각이 바뀔 겁니다. 채도와 명도를 달리 할 뿐 짙은 파랑색은 가장 많이 쓰이는 여권 표지색 중 하나거든요. 게다가 이런 표지 색과 디자인은 일정한 국가 정체성을 드러내기도 합니다. [고 보면 모 있는 기한 계뉴스-알쓸신세]가 각국 여권의 속사정을 한번 더 들여다 보겠습니다.

2017년 영국의 디자인 전문 매체 ‘디진(Dezeen)’이 브렉시트 후 새 여권을 대상으로 연 디자인 공모전 당선작. 현행 버건디색을 진청색이 뒤덮으며 대체하는 듯한 표지 디자인이다. [사진 디진 홈페이지]

2017년 영국의 디자인 전문 매체 ‘디진(Dezeen)’이 브렉시트 후 새 여권을 대상으로 연 디자인 공모전 당선작. 현행 버건디색을 진청색이 뒤덮으며 대체하는 듯한 표지 디자인이다. [사진 디진 홈페이지]

현재 패스포트 인덱스에 올라와 있는 여권은 모두 199종. 이중 파란색 계열을 쓰는 국가가 가장 많은 78개국입니다. 붉은색 68개국, 초록색 43개국, 검은색 10개국입니다. 현재 한국은 초록색 계열로 분류돼 있지만 2020년엔 미국, 캐나다, 브라질, 호주, 파나마, 북한과 같이 파란색 계열로 바뀌겠지요.

한국에 앞서 내년에 또 한 나라가 파란색 표지를 도입합니다. 지금 한창 유럽연합(EU)과 ‘이혼 협상’, 즉 브렉시트(Brexit·영국의 EU 탈퇴)를 진행 중인 영국입니다. 테리사 메이 총리는 2017년 12월 “자랑스러운 시민권을 상징하는 독립과 주권의 표현”이라면서 2019년 10월부터 영국 여권 표지를 진청색으로 바꾼다고 발표했습니다.

진청색은 영국이 1988년 현행 적포도주색(버건디)을 도입하기 전까지 써온 여권 표지색입니다.(공교롭게도 한국이 녹색 표지를 채택한 것도 1988년입니다). 당시 영국은 1920년부터 70년 가까이 써온 진청색을 유럽 공동체 유대 강화 차원에서 포기했습니다. EU의 전신인 유럽경제공동체(ECC) 국가들이 여권에 주로 사용하는 색깔이 붉은색 계통이었기 때문에 이에 맞추려 한 거죠.

1988년 여권 색깔을 바꾸기 이전의 영국 여권(왼쪽)과 현재의 영국 여권. [위키피디아]

1988년 여권 색깔을 바꾸기 이전의 영국 여권(왼쪽)과 현재의 영국 여권. [위키피디아]

하지만 이제 유럽공동체에서 떨어져 나가기로 했으니 원래 색으로 돌아가는 것이 자연스럽다는 주장인 겁니다. 물론 일각에선 “브렉시트로 인한 또 다른 돈 낭비”라는 불만도 없지 않습니다. 브렉시트 자체에 대한 불만, 즉 새 여권과 함께 할 이동의 불편을 못 마땅하게 여기는 마음도 반영됐겠지요. 게다가 브렉시트 시행(2019년 3월 29일)과 새 여권 도입(10월) 간 시간차로 인해 이 사이에 여권을 발급받는 이들은 버건디 색상에 EU 마크가 없는, 어정쩡한 여권을 받게 되는데요, 영국 인디펜던트는 이 수요가 400만건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지난해엔 디자인 전문 매체 ‘디진(Dezeen)’이 새 여권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 공모전도 열었습니다. 스코틀랜드 출신 디자이너 이안 맥팔레인의 당선작은 버건디 표지를 진청색 표지가 뒤덮으며 대체하는 듯한 디자인으로 “아름답고 강렬하다”는 평을 들었습니다. 1000파운드의 상금을 탄 당선작은 다른 입상작들과 함께 디자인박물관에 전시됩니다. 공식 시안으로 채택될지 여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색깔별로 구분한 각국의 여권 표지. [패스포트 인덱스 캡처]

색깔별로 구분한 각국의 여권 표지. [패스포트 인덱스 캡처]

EU 여권에서 보듯, 지정학적으로 유사한 카테고리 국가들은 여권 색깔에서 일정한 유사성을 보입니다. 때문에 여권 표지 색상이 정체성을 담아내는 걸로 읽히기도 합니다. 예컨대 터키가 2010년 붉은색 여권을 도입한 데엔 “EU 가입을 염원하기 때문”이라는 해석이 붙었습니다. 그렇다고 EU 규정에 회원국 여권 색깔과 관련한 내용이 있는 건 아닙니다. 2013년 EU에 가입한 크로아티아는 여전히 검정에 가까운 짙은 푸른색 여권을 사용 중입니다.

한국 여권의 녹색 표지가 국가 정체성과 맞지 않는다는 주장도 그래서 나왔습니다. 녹색이 ‘이슬람’을 연상시키기 때문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대표적인데요 사우디는 여권은 물론 국기 색깔도 녹색입니다. ‘이슬람=녹색’인 것은, 예언자 무함마드가 정복 전쟁에 나설 때마다 녹색 깃발을 들었던 데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습니다. 중동 사막의 유목민 사이에서 녹색이 자연과 생명, 신의 땅을 상징해온 역사도 반영됐겠지요. 중동은 아니지만 아시아권의 대표적 이슬람국가인 인도네시아와 방글라데시 등도 녹색 여권을 씁니다.

한국의 이번 여권 변경에는 속지도 포함됩니다. 남대문과 다보탑으로 통일된 사증면에 각 시대 별 대표적 유물을 배치해 페이지마다 다른 디자인을 볼 수 있게 한다는 방침입니다. 반구대 암각화, 신라 금관총 금관, 고려청자, 훈민정음(언해본) 등 다채롭습니다.

2020년부터 발급할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의 사증면 . 현행 여권 속지의 전체 동일한 디자인에서 쪽수별로 시대별 대표적 유물을 담은 디자인으로 변경된다. [중앙포토]

2020년부터 발급할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의 사증면 . 현행 여권 속지의 전체 동일한 디자인에서 쪽수별로 시대별 대표적 유물을 담은 디자인으로 변경된다. [중앙포토]

속지, 즉 사증면을 통해 나라의 개성과 문화를 드러내는 것은 다른 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노르웨이의 경우 속지에 노르웨이의 자연환경을 단순하게 묘사한 그림을 넣은 한편, 자외선에 비췄을 땐 마치 야경을 보는 듯 아름다운 ‘산수화’가 나타나게 디자인했습니다.

영국도 다채로운 사증면 디자인으로 유명한데요, 2015년 11월부터 도입된 디자인에는 각 2페이지마다 영국의 500년 근대사를 압축하는 대표적인 건축·발명품과 이에 기여한 사람들이 그려져 있습니다. 극작가 윌리엄 셰익스피어, 발명가 존 해리슨, 건축가 엘리자베스 스콧 등입니다.

2015년부터 사용 중인 영국 여권의 사증면 디자인 일부. 영국 500년 근대사를 압축하는 대표적인 건축·발명품과 이에 기여한 사람들이 그려져 있다. [중앙포토]

2015년부터 사용 중인 영국 여권의 사증면 디자인 일부. 영국 500년 근대사를 압축하는 대표적인 건축·발명품과 이에 기여한 사람들이 그려져 있다. [중앙포토]

이렇게 다채로운 디자인을 하는 이유는 미학적 측면뿐 아니라 실용적 측면도 있습니다. 디자인이 복잡하고 다양할수록 위조가 쉽지 않기 때문이지요. 한국이 이번에 사증면에 각각 다른 유물을 넣는 것도 이런 보안 강화 차원도 있습니다. 더불어 종이로 되어있던 신원정보면도 내구성이 강한 폴리카보네이트로 변경됩니다.

일각에선 바뀌는 한국 여권과 북한 여권의 표지색깔이 비슷하다고 볼멘소리를 내지만 외형이 아닌 내적 가치 차원에서 두 여권은 비교가 안 됩니다. 한국 여권으로는 무려 188개국을 비자 면제로 다닐 수 있습니다. 패스포트 인덱스는 이런 한국 여권을 여권파워 3위에 올려놨습니다. 그에 비해 북한은 비자 면제국이 46개국에 불과한데 패스포트 인덱스에 따르면 북한의 여권파워는 전 세계 꼴찌급인 185위(개인 기준)에 그칩니다.

2020년부터 발급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 시안. 현행 '녹색'인 표지가 남색(진청색)으로 바뀔 예정이다. 정부 문안이 금박으로 처리된 A안과 엠보싱으로 들어간 B안 가운데 최종 디자인이 결정된다.

2020년부터 발급 예정인 차세대 전자여권의 디자인 시안. 현행 '녹색'인 표지가 남색(진청색)으로 바뀔 예정이다. 정부 문안이 금박으로 처리된 A안과 엠보싱으로 들어간 B안 가운데 최종 디자인이 결정된다.

북한 여권. 남색 표지와 금색 글씨, 국장으로 이뤄져 있다.

북한 여권. 남색 표지와 금색 글씨, 국장으로 이뤄져 있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