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유치원, 청와대, 정보공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김한별 기자 중앙일보 Product 담당
김한별 디지털콘텐트랩장

김한별 디지털콘텐트랩장

사립유치원 문제로 난리다. 청와대 게시판에 비리 유치원을 엄벌해 달라는 청원이 쏟아지고, 인터넷 맘 카페에는 “아이를 어디에 맡겨야 하느냐”는 걱정이 줄을 잇고 있다.

국민적 우려와 공분에 십분 공감하면서도 하나 답답한 게 있다. 이번 사태는 시·도 교육청의 감사 결과가 공개되며 불거졌다. 모두가 이 감사 결과 얘기를 한다. 18일 열린 부교육감 회의에서도 추가 감사 얘기가 나왔다.

비리 유치원에 대한 감사는 필요하다. 하지만 감사는 사후조치일 뿐이다. 애초에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도록 사전조치를 하는 게 더 중요하다. 나는 그 답이 투명한 정보 공개에 있다고 생각한다. 납세자는 자신이 낸 세금이 어떻게 쓰였는지 알 권리가 있다. 생각해 보자. 애초에 국고 지원을 받은 사립유치원들의 지출 내역이 투명하게 공개됐더라면, 그래서 학부형들이 언제든 내 아이가 다니는 유치원 살림살이를 낱낱이 들여다볼 수 있었더라면 일부 유치원들이 그렇게 ‘용감무쌍하게’ 혈세를 낭비할 수 있었을까.

논란이 불거지자 교육부는 뒤늦게 국가회계시스템 도입 등 종합대책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투명한 공개의 힘’에 대한 인식이 떨어지는 건 정부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말 행정안전부는 영국의 월드와이드웹 재단의 공공데이터평가(ODB)에서 한국이 세계 4위에 올랐다고 밝혔다. ODB는 각국 정부의 공공데이터 개방도와 공개한 데이터의 품질 등을 따진다. 정부는 이 평가에서 우리가 일본(7위)·미국(9위)보다 앞섰다고 뿌듯해했다. 하지만 ODB에서 한국은 ‘정부 지출 상세 데이터’ 항목에서 아주 박한 점수를 받았다. 데이터 세트가 제대로 공개돼 있지 않고, 데이터의 질도 5/100에 불과하다는 평가였다.

이유가 뭘까. 예를 하나 들어 보자. 사립유치원 문제가 불거지기 전 청와대 업무추진비 논란이 있었다. 심재철 의원실의 데이터 취득 과정의 적법성 문제와는 별개로 “애초에 청와대가 업무추진비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었다면 심 의원의 무단공개 자체가 발생하지 않았을 것”(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이라는 지적이 있다. 청와대 업무추진비 내역에 기밀정보가 있다면 해당 정보만 비식별 처리해 공개하면 된다. 기밀 때문에 업무추진비 지출 내역을 공개하지 않는 건 요령부득이다. 한국이 정부 지출 데이터 공개 면에서 ‘낙제’를 한 건 이런 점 때문이 아닐까.

ODB 한국 대표인 김학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옛날보다는 나아지긴 했지만 여전히 어떤 이슈가 터지면 그제야 주먹구구로 데이터를 찾는 게 현실”이라며 “평소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해 필요할 때 적시에 쓸 수 있는 체계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김한별 디지털콘텐트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