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 왜 비싼가 했더니...최대 50% 수수료 탓

중앙일보

입력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시흥하늘휴게소 입점업체의 음식값이 도공 관할 휴게소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포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시흥하늘휴게소 입점업체의 음식값이 도공 관할 휴게소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포토]

 한국도로공사가 관할하는 고속도로 휴게소의 음식값이 높은 수수료율 탓에 민자고속도로 휴게소보다도 크게 비싸다는 지적이 나왔다. 일부 도공 관할 휴게소의 수수료율은 입점 업체 매출액의 최대 50% 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공 고속도로 휴게소 음식값 #민자고속도로 보다 더 비싸 #시흥하늘휴게소 최고 19,800원 #민자고속도로는 최고가 15000원 #입점업체에서 받는 높은 수수료탓 #횡성휴게소는 최대 53%까지 받아 #송석준 의원 "세금 투입된 고속도로서 # 오히려 비싼 음식값은 이해 안돼" #도공, "임대료는 15%선. 휴게소 #평가에 가격 반영해 관리할 것"

 이 같은 사실은 14일 국토교통부와 한국도로공사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송석준 의원(자유한국당)에게 제출한 국감자료에서 확인됐다. 이에 따르면 도공 관할 휴게소들의 음식값 순위 1위는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시흥하늘휴게소에서 판매하는 '랍스타반마리 토마토파스타'로 가격은 1만 9800원이다.

도공 관할 휴게소 중 가장 가격이 높은 랍스타반마리 토마토파스타'. [블로그 캡처]

도공 관할 휴게소 중 가장 가격이 높은 랍스타반마리 토마토파스타'. [블로그 캡처]

 2위는 중부고속도로 마장복합휴게소의 '이천쌀밥특정식'으로 1만 8000원이다. 또 시흥하늘휴게소의 '왕갈비탕(1만 7000원)', 서해안고속도로 매송휴게소(목포방향)의 '새우로제 함박파스타(1만 6000원)' 등이 뒤를 이었다. 상위 10위권의 가격은 모두 1만 5000원 이상이다.

 반면 민자고속도로의 휴게소 중 가장 비싼 음식은 경기광주휴게소(광주~원주고속도로)에서 판매하는 '명가의 뜰 소불고기 반상'으로 1만 5000원이다. 또 같은 휴게소의 '갑오징어와 제육볶음 쌈밥'과 '간고등어와 양구시래기밥 정식'이 각각 1만 4000원으로 뒤를 이었다. 나머지 10위까지 음식은 1만 1000원~1만 3000원 사이였다.

 이처럼 도공 관할 휴게소의 음식값이 비싼 것은 높은 수수료율의 영향이 크다. 이들 휴게소는 민간이 위탁받아 운영하거나, 민간이 처음부터 짓고 운영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민간사업자가 짓고 운영하는 시흥하늘휴게소의 경우 입점업체들에게서 받는 수수료율은 매출액의 30~40%에 달한다. '랍스타반마리토마토파스타'의 경우 수수료율이 41%로 판매가 1만 9800원 중 8118원이 휴게소 운영업체로 들어간다는 게 송 의원실 지적이다.

 또 높은 수수료율은 곧바로 이용객들이 내는 음식값에 반영돼 해당 파스타의 경우 서울 종로에 있는 같은 매장의 동일 품목에 비해서도 가격이 2000원 더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료율이 가장 높은 곳은 영동고속도로 횡성휴게소로 최대 52.8%까지 받는다.

관련기사

 전문가들은 도공이 각종 통행료 할인 정책 등으로 인해 통행료 수입만으로는 필요 경비를 충당하기 어려워 휴게소 임대료 수입에 의존하는 비중이 작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실제로 도공이 한해 내는 이익 1300억~1400억원은 대부분 휴게소 임대료 수입에서 발생한다.

 송석준 의원은 "고속도로 휴게소는 인근에 다른 대체 시설이 없기 때문에 사실상 독점 시장에 해당한다"며 "국민의 세금이 들어간 재정고속도로에서 시중보다 비싼 가격으로 음식을 사 먹어야 하는 건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천혁신도시에 위치해 있는 도로공사 사옥. [중앙포토]

김천혁신도시에 위치해 있는 도로공사 사옥. [중앙포토]

 이에 대해 도공 측은 "도공이 민간운영자에게서 받는 휴게소 임대료는 용역을 통해 적정하다고 판단된 매출액 대비 15% 수준"이라며 "우리가 민간운영자가 수수료를 얼마나 받는지에 개입하는 건 경영간섭이 될 수 있어 사실상 어렵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다만 매년 실시하는 휴게소 평가에서 음식 가격 수준 등을 포함해 문제가 확인된 경우 추후 재계약 등에서 불이익을 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강갑생 교통전문기자 kksk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