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별별 마켓 랭킹]산업계 '돈맥'된 토종 사모펀드…MBK, 아시아 1위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한 때 사모투자펀드(PEF) 뒤에는 '투기 자본'이란 딱지가 따라 다녔다. 국내 시장에 PEF가 들어오기 시작한 것이 1997년 외환위기 때이다 보니, 자금난에 처한 기업을 헐값에 사들여 비싼 값에 되파는 외국계 PEF의 행태가 '국부 유출'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PEF의 설립 목적은 펀드 투자자들에게 약정된 수익률을 실현해 내는 것이다. 기업 주식을 소유하는 목적 자체가 중·장기적으로 사업 경쟁력을 키워 나가겠다는 창업가들의 '기업가 정신'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한지영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PEF가 단기 이익만 추구한다는 비판으로 인해 한국 정부는 미국·영국 등 선진국에선 이미 허용한 PEF를 2004년에서야 도입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투기자본에서 모험자본으로…토종 PEF, 눈부신 성장 

14여년이 지나는 동안 한국에서 설립된 토종 PEF들의 성장은 눈부셨다. 2005년 투자자들이 국내 사모펀드에 투자한 출자 약정액은 5조원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말에는 62조6000억원 규모로 불어났다. 국내 최대 PEF인 MBK파트너스의 경우 투자 자산 규모가 17조원에 달해 올해 재계 순위로 따지면, LS·대림그룹(20조원)에 이어 19위에 해당한다.

양적 성장은 질적 변화도 가져왔다. 과거에는 부실 기업이 생기면 산업은행 등을 통한 구조조정이나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청산 절차를 밟는 것 외에 별다른 선택지가 없었다. 그러나 이젠 PEF가 부실 기업을 사들여 정상 기업으로 만드는 등 기업 회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됐다. 또 PEF를 통해 가치를 높인 기업이 해외로 진출하는 사례도 증가했다. 국내 PEF 역시 내수 기업 중심의 투자에서 동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 진출을 노리는 곳들도 늘었다. '투기 자본'이란 정체성이 '모험 자본'으로 변모하게 된 것이다.

MBK·산은·한앤컴퍼니, PEF 업계 선두 

12일 중앙일보가 금융감독원의 '경영참여형 PEF 현황(2018년 6월 말 기준)'을 토대로 출자 약정액 기준 국내 PEF 순위를 집계한 결과, 국내 PEF 중 가장 많은 투자자금을 끌어모은 곳은 MBK파트너스(출자 약정액 9조8978억원)였다. 2005년 고(故)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의 막내 사위인 김병주 회장 결성한 이 펀드는 아시아 최대 규모의 독립 사모펀드로 성장했다. 아시아 1위 PEF로 도약한 계기는 지난 2015년 7조6000억원에 국내 대형마트 2위 홈플러스를 사들이면서다. 이 펀드는 국민연금은 물론 북미·유럽·중동 등지의 연기금이나 국부펀드로부터 자금을 끌어와 코웨이·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등 현금 창출 능력이 우수한 내수 기업을 주요 투자 대상으로 삼았다.

펀드 셔터스톡

펀드 셔터스톡

MBK파트너스 뒤에는 한국산업은행이 조성한 PEF가 6조8935억원의 출자약정액을 모아 2위를 차지했다. 국책은행이 주도하는 PEF답게 부실기업을 인수해 구조조정을 하는 데 활용하거나 국가 인프라 산업 등에 투자하기도 한다.

최근 들어 두각을 보이는 PEF는 출자약정액 3위(3조9069억원)에 랭크된 한앤컴퍼니다. 이 PEF는 최근 재무 상황이 악화한 SK해운에 1조5000억원을 투자하기로 해 최대 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한앤컴퍼니의 투자 대상은 전방위적이다. 지난해 11월에는 SK엔카 지분 50.1%를 사들이며 중고차 사업에 뛰어드는가 하면, 그다음 달엔 SK케미칼이 보유했던 에너지·부동산개발업체 SK D&D를 인수하기도 했다. 그 이전에는 대한시멘트·웅진식품·한라비스테온공조·한온시스템 등을 사들이는 등 '잡식성 PEF'의 면모를 보였다.

연합자산관리·IMM·스틱, 그 뒤 이어 

한앤컴퍼니 다음으로는 은행권 부실채권 인수 전문회사 연합자산관리(2조8960), IMM프라이빗에쿼티(2조8300), 스틱인베스트먼트(2조2744) 등이 뒤를 이었다. 다만, 한국 '1호 토종 PEF'로 불리는 VIG파트너스는 2014년 태양광 업체 LG실트론 투자 실패 이후 위기를 겪기도 했다.

관련기사

"규제 완화, 연기금 대체투자 확대로 PEF는 계속 성장" 

전문가들은 국내 PEF 규모는 앞으로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참여연대 출신인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등이 재벌 대기업의 지배구조 개혁을 위한 수단으로 PEF를 꼽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난달 PEF 투자자 제한 인원을 기존 49명에서 100명으로 완화하는 등 규제 완화에 나서기도 했다. 또 국민연금·공제회 등 연기금이 주식·채권 이외의 자산에 투자하는 대체투자 규모를 늘리는 추세도 PEF 성장에 한몫하게 될 전망이다. 자산을 가리지 않고 고수익을 좇는 PEF에 거액을 맡기는 연기금이 늘어날 것이란 의미다.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국민연금은 2005년 0.5%였던 대체투자 비중을 2016년 11.4%까지 키웠다"며 "공적연금의 (PEF를 통한) 대체투자 비중은 더욱 늘어날 것"이라고 밝혔다.

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