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호의 현문우답] 싯다르타는 나쁜 남자였다?

중앙일보

입력

백성호의 현문우답’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싯다르타의 부인은 몇 명이나 됐을까. 우리는 대개 싯다르타의 부인이 ‘아소다라’이며, 둘 사이에 태어난 아들이 ‘라훌라’라고만 알고 있다. 그런데 싯다르타는 카필라 왕국을 계승할 왕자였고, 더구나 외아들이었다. 경전마다 기록의 차이는 있지만, 싯다르타에게는 여러 명의 여인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인도의 전통복장을 한 여인. 카스트 제도에서 상위 계급에 속한 여인들의 복장이다. 온갖 장신구가 무척 화려하다.

인도의 전통복장을 한 여인. 카스트 제도에서 상위 계급에 속한 여인들의 복장이다. 온갖 장신구가 무척 화려하다.

실제 기록도 있다. 사나굴다(523~600)는 북인도 출신의 불교 승려다. 눈 덮인 히말라야 산맥을 넘어 중국(수나라)으로 건너간 인물이다. 그는 176권에 달하는 불교 경전을 한자로 번역했다. 그중 하나가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이다. 이 경전에 붓다의 여인들이 등장한다. 아소다라, 마노다라, 구다미 등 적어도 세 명이다. 게다가 싯다르타는 계절에 따라 궁을 옮겨가며 살았다고 돼 있다.

『불본행집경』에는 제1궁에 아소다라, 제2궁에 마노다라, 제3궁에 구다미란 여인이 살았다고 적혀 있다. 또 다른 경전 『십이유경(十二遊經)』에도 싯다르타의 부인이 셋으로 기록돼 있다. 그래도 자식을 낳은 여인은 아소다라가 유일한 것으로 보인다.

2600년 전 인도의 카필라 왕국은 고대 부족국가였다. 샤카족은 근친혼을 유지하고 있었다. 사실 싯다르타가 왕자비로 맞아들인 아소다라는 남이 아니었다. 친고모의 딸이었다. 싯다르타의 아버지 숫도다나 왕에게는 아미타라는 누이가 있었다. 그녀는 이웃 나라인 꼴리아족에게 시집을 갔다. 싯다르타가 결혼한 꼴리아족 여인 아소다라는 다름 아닌 아미타의 딸이었다.

장신구로 치장한 인도의 여인. 브라만이나 크샤트리아 계급에 속한 인도인들은 아리안족이었다. 그들은 생김새부터 인도의 토착민인 드라비다족과 달랐다.

장신구로 치장한 인도의 여인. 브라만이나 크샤트리아 계급에 속한 인도인들은 아리안족이었다. 그들은 생김새부터 인도의 토착민인 드라비다족과 달랐다.

샤카족은 혈육의 순수성을 잇기 위해 사촌끼리 종종 결혼을 했다. 당시 모든 부족국가가 근친혼을 한 것은 아니었다. 훗날 샤카족과 꼴리아족이 강물의 소유권을 두고 심하게 다툴 때 꼴리야족은 “샤카족의 근친 결혼”을 거론하며 조롱했다는 기록이 있다.

아소다라는 아름답고, 연민의 정이 있고, 지혜로운 여인이었다고 기록돼 있다. 그런 아소다라가 아들을 낳자마자 싯다르타는 출가를 했다. 요즘 기준으로 따지면 무책임하기 짝이 없는 가장이다. 어떤 여인이 이 대목에서 고개를 끄덕일 수 있을까. 핏덩이 같은 자식을 낳자마자 남편이 집을 나갔으니 말이다. 더구나 머리를 깎고 수행자가 돼버렸다. 아소다라의 가슴에는 피멍이 들지 않았을까. 그녀에게 싯다르타는 ‘나쁜 남자’가 아니었을까.

나는 인도 북부의 카필라 성벽 앞에 섰다. 성 밖으로 해가 떨어졌다. 인도의 평원을 적시는 노을은 아름다웠다. 아소다라는 저렇게 떨어지는 노을을 바라보며 남편을 기다리지 않았을까. 저 멀리 들판을 가르며 남편의 ‘컴백홈’을 손꼽아 기다리지 않았을까.  그렇게 기다린 세월이 수십 년에 달하지 않았을까.

싯다르타는 아들이 태어난 지 1주일째 되는 날, 궁을 탈출해 머리를 깎고 수행자가 되었다.

싯다르타는 아들이 태어난 지 1주일째 되는 날, 궁을 탈출해 머리를 깎고 수행자가 되었다.

훗날 아소다라의 외아들 라훌라는 아버지인 붓다를 따라 출가한다. 나중에는 카필라 왕국마저 이웃나라의 침략에 멸망한다. 우여곡절 끝에 아소다라는 머리를 깎고 붓다의 승가로 출가를 한다. 팔리어 경전에는 그녀가 결국 깨달음을 얻고 아라한이 됐다고 기록돼 있다. 아소다라의 생애도 이처럼 파란만장했다.

나는 궁금했다. 그토록 아름다운 부인과 갓 태어난 자식을 뒤로 한 채 싯다르타는 왜 출가를 했을까. 그는 무엇에 목이 말랐을까. 무엇이기에 그토록 절박했을까.

아소다라가 아들을 낳았을 때 싯다르타는 “라훌라자토(Rahulajato)”라고 말했다. “장애가 생겼다”는 뜻이다. 이 소식을 들은 숫도다나 왕이 아기의 이름을 ‘라훌라’라고 지었다. 라훌라는 ‘장애물’이란 의미다. 왕은 왕자가 자식의 이름을 부를 때마다 ‘자기 삶의 장애물’을 재차 되새기며 출가의 뜻을 접기를 바랬다.

물항아리를 머리에 이고 허리에 감은 채 걷는 우물가 인도 여인 조각상. 인도 에 가면 여인들이 잘록한 허리에 아기를 안고 다니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다.

물항아리를 머리에 이고 허리에 감은 채 걷는 우물가 인도 여인 조각상. 인도 에 가면 여인들이 잘록한 허리에 아기를 안고 다니는 모습도 자주 볼 수 있다.

숫도다나 왕은 노심초사했다. 하나뿐인 왕위 계승자가 떠날까봐 겁이 났다. 그래서 계절이 바뀔 때마다 궁을 옮겨 다니게 했다. 온갖 좋은 것들만 보게 했다. 왕은 왕자가 수행이 아니라 세상에 집착하길 바랐다. 궁에는 여인들이 넘쳤다. 왕자는 밤마다 궁녀들과 연회를 즐겼다. 그렇게 ‘감각적 즐거움’을 누렸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다. 궁에서 화려한 파티가 열렸다. 29세의 싯다르타와 젊은 궁녀들은 밤늦도록 욕망을 좇았다. 그러다 곯아떨어졌다. 새벽녘쯤 되었을까. 싯다르타는 눈을 떴다. 그의 눈에는 난장판이 들어왔다. 궁녀는 모두 잠에 떨어져 있었다. 왕자의 눈에 들어온 것은 ‘추한 풍경’이었다.

술에 취한 채 침을 흘리며 자는 궁녀도 있었다. 옷이 벗겨진 채 맨살을 드러낸 궁녀들, 아무렇게나 다리를 올리고 엉켜있는 궁녀들도 있었다. 그건 화장기를 벗겨낸 욕망의 민낯이었다. 왕자는 충격을 받았다. 그는 ‘꽃은 늘 아름답다’고 생각했다. 그런 아름다움은 지지 않는다고 여겼다. 그게 아니었다. 술에 취한 채 너부러져 있는 여인들은 오히려 추해 보였다. 그가 믿던 꽃은 ‘시들 수 밖에 없는 꽃’이었다.

피어난 꽃은 시들기 마련이다. 세상에 시들지 않는 꽃은 없다. 우리의 욕망과 꽃과 같다.

피어난 꽃은 시들기 마련이다. 세상에 시들지 않는 꽃은 없다. 우리의 욕망과 꽃과 같다.

초기 불교경전 『붓다 차리 타』에는 당시 싯다르타의 심정이 이렇게 기록돼 있다.

“여인의 참모습이 이처럼 추하고 불완전한데, 다만 그들의 옷치장과 장식한 모습에 속아서 남자들은 여인과 즐기기 위하여 욕망에 떨어진다.”

요즘 여성들은 반박할 터이다. “아니, 자고 나면 눈곱이 끼는 건 남자나 여자나 마찬가지다. 그건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그런데 결혼 후에 그런 모습을 보고 실망하는 남자도 있다. 싯다르타 왕자도 마찬가지다. 아무리 아름다운 궁녀도 술에 취하면 곯아떨어지게 마련이다. 어떻게 24시간 화장한 얼굴을 유지할 수 있나? 세상에 그런 여자는 없다.” 그렇게 따질 수도 있다.

이날 밤의 사건은 결국 ‘방아쇠’가 됐다. 싯다르타는 그 길로 출가했다. 바로 그날 밤에 말이다. 오랜 세월 품어왔던 출가의 꿈. 속으로, 속으로만 삼키며 묻어 두었던 도화선에 이 사건이 불을 당겼다. 그날은 아들 라훌라가 태어난지 1주일 되던 날이었다.

인도 델리박물관에 있는 조각상. 출가를 결심한 싯다르타가 잠들어 있는 아내 아소다라와 아기를 들여다보고 있다.

인도 델리박물관에 있는 조각상. 출가를 결심한 싯다르타가 잠들어 있는 아내 아소다라와 아기를 들여다보고 있다.

싯다르타는 잠들어 있는 아내와 아들을 잠시 들여다봤다. 그리고 곧장 마부 찬나를 불렀다. 왕자는 말을 타고 궁을 빠져나갔다. 밤새 말을 달렸다. 쉽지 않았다. 왕궁을 떠나 바깥에서 사는 일 말이다. 게다가 2600년 전이었다. 지금과 비교하면 야만의 시대였다. 인도의 숲에는 호랑이도 있었다. 온갖 맹수들이 우글거렸다. 길에는 강도들도 있었다. 출가한 수행자는 주로 숲에서 살거나, 길을 떠돌아야 했다. 그런 위험하기 짝이 없는 삶이었다.

그래도 왕자의 물음을 잠재우진 못했다. 왕자의 출가 이유는 분명했다. 나고, 늙고, 병들고, 죽어야만 하는 삶. 그건 너무 유한하고, 너무 허무했다. 왕자는 그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 그래서 출가했다. 당시 싯다르타의 심정이 경전에 기록돼 있다.  “내가 만약 생로병사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지 않으리라. 내가 만약 깨달음을 얻어 전하지 못한다면, 나를 키워주신 마하파자파티(이모)와 아소다라(아내)를 다시는 만나지 않으리라.” 왕자는 그렇게 배수진을 쳤다.

궁을 빠져나가 숲으로 간 싯다르타 왕자가 자신의 머리카락을 자르고 있다.

궁을 빠져나가 숲으로 간 싯다르타 왕자가 자신의 머리카락을 자르고 있다.

나는 그 구절을 몇 번이나 곱씹었다. ‘독생독사(獨生獨死)’. 이 말에서 당시 왕자가 절망했던 ‘삶의 고독’이 뚝뚝 묻어난다. 인간은 누구나 홀로 태어나 홀로 죽는다. 왕자는 출생부터 그랬다. 자신이 태어날 때 엄마가 죽었다. 왕자는 홀로 태어났고, 마야부인은 홀로 죽었다. 그러니 거기에 동반자가 있을까. 궁으로 돌아가자며 매달리는 마부에게 싯다르타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세상에 태어난 지 7일 만에 어머니가 돌아가셨다. 태어날 때부터 내게는 이별이 있었다. 사람에게 이별 없는 삶이 과연 있겠는가.”

나는 싯다르타의 외마디를 되뇌었다. “사람에게 이별 없는 삶이 있겠는가.” 인간은 결국 소멸하는 존재다. 우리가 피할 수 없는 종착역. 그것이 ‘이별’이다. 싯다르타는 ‘종착역 너머’를 찾아서 자기 삶을 던졌다. 생후 1주일된 아들과 아내를 뒤로 한 채 머리를 깎았다. 싯다르타는 과연 ‘나쁜 남자’일까.

인도 델리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수천년 전 유골. 인간은 결국 소멸할 수 밖에 없기에 출가 전 싯다르타는 이별이 숙명이라고 봤다.

인도 델리박물관에 전시돼 있는 수천년 전 유골. 인간은 결국 소멸할 수 밖에 없기에 출가 전 싯다르타는 이별이 숙명이라고 봤다.

이번주 J팟 팟케스트 ‘백성호의 리궁수다’ 주제는 ‘[나쁜 남자] 싯다르타는 나쁜 남자였다?’입니다.
신혼의 아내를 뒤로한 채 첫아들을 낳은지 1주일만에 출가한 싯다르타. 그는 과연 ‘나쁜 남자’일까요.
아래 배너를 클릭하시면 더 많은 이야기가 기다립니다.

백성호 기자 vangogh@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