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공격하는 장수말벌. 말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바로 20m 이상 벗어나는 것이 좋다.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a38f5670-3feb-4750-b77a-a068f808950d.jpg)
사람을 공격하는 장수말벌. 말벌집을 건드렸을 때는 바로 20m 이상 벗어나는 것이 좋다. [중앙포토]
폭염이 물러가고 선선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등산과 벌초·성묘 등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계절.
가을을 맞아 야외에서는 사고도 자주 발생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9일 가을철 야외활동 때는 독버섯 등 독을 가진 야생생물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독버섯과 말벌, 뱀, 알레르기 식물 등 네 가지를 조심하라는 일종의 '주의보'를 발령한 셈이다.
야생 버섯은 아예 먹지 말아야
![맹독 버섯인 붉은사슴뿔버섯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32c5fc9d-a620-4de6-8260-4678c3a5daff.jpg)
맹독 버섯인 붉은사슴뿔버섯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우선 야생 독버섯에 대한 주의보다.
야생버섯 중에는 식용버섯과 비슷하게 생긴 개나리광대버섯, 화경버섯, 붉은사슴뿔버섯 등 맹독버섯이 많아 이를 먹었을 때는 자칫 심각한 중독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야생버섯은 아예 먹지 말라고 충고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 관계자는 "국립공원 내 임산물 채취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며 "불법으로 채취하다 적발되면 '자연공원법'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물린다"고 말했다.
![독버섯의 하나인 노란다발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7fd103b4-f9f5-4908-9e19-c9255f21a559.jpg)
독버섯의 하나인 노란다발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독버섯인 개나리광대버섯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7041f122-a577-4858-9281-e4a28dac969a.jpg)
독버섯인 개나리광대버섯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짧은 옷과 향이 진한 화장품 피해야
![말벌과 말벌집. [사진 연천동두천닷컴]](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f7a9a3d1-be9c-4e13-91ca-6d82b07096a9.jpg)
말벌과 말벌집. [사진 연천동두천닷컴]
짧은 옷을 입거나 향이 진한 화장품을 사용하면 야외활동에서 뱀에게 물리거나 벌에 쏘일 수 있다.
공단 관계자는 "국립공원 탐방로와 야영장 등에서 말벌집을 발견하는 대로 즉시 제거하고 있으나 가을철에는 말벌의 활동이 왕성해 짧은 시간에 집을 지을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립공원 내에서 말벌집을 발견하면 벌집을 자극하거나 직접 제거하려 하지 말고 국립공원사무소나 소방서에 연락해야 한다.
만일 말벌집을 건드렸을 땐 웅크리지 말고 그 자리에서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빠르게 벗어나야 한다.
말벌은 통상 벌집 반경 20m를 자신들의 영역으로 삼는다.
![살모사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9b71c958-51dc-4b4c-af71-dd50a6cb8a0c.jpg)
살모사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쇠살모사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ef42f7f4-2d6d-4df5-85ae-618deee6cc04.jpg)
쇠살모사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까치살모사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c9b0d633-69f4-4343-bb07-466f73522ee9.jpg)
까치살모사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유혈목이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af016647-4331-4038-a270-abcbd5fbc33b.jpg)
유혈목이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난 5년간 국립공원 내에서 뱀에 물린 사고는 2건 발생했는데, 빠른 대처와 병원 후송으로 피해자들의 생명에는 지장이 없었다.
국내 대표적인 독사는 살모사·쇠살모사·까치살모사·유혈목이 등 4종이다.
만일 뱀에 물렸을 경우 상처 부위를 헝겊 등으로 묶어 독이 퍼지는 것을 막고, 3~4시간 이내에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흥분하여 뛰게 되면 혈액 순환이 증가해 독이 빨리 퍼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돼지풀은 꽃가루 알레르기 유발
![몸에 스치면 통증을 일으키는 쐐기풀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920193a5-8583-41d1-baab-fff6c3186b77.jpg)
몸에 스치면 통증을 일으키는 쐐기풀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알레르기 유발 성분을 가진 식물에 대해서도 주의를 당부했다.
쐐기풀 종류는 잎과 줄기의 가시 털에 포름산이 들어있어 만지거나 스치면 강한 통증을 유발한다.
환삼덩굴이나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등은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돼지풀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30a5d34a-b58a-4a85-8627-4ef33fa3d7ca.jpg)
돼지풀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단풍잎돼지풀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61868ffb-5333-4f6f-bbd2-996966f560c7.jpg)
단풍잎돼지풀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환삼덩굴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1809/09/e3ef2df4-061c-4372-932c-ceec20451aa2.jpg)
환삼덩굴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나공주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장은 "추석을 앞두고 등산, 벌초 등 야외활동이 늘어나는데, 야외활동을 할 경우 긴 소매와 긴 바지를 입고, 향이 강한 화장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nsu@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