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쏟아지는 대안…“금 따면 코치로 대체복무” “K-POP도 혜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2018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딴 야구대표팀이 지난 3일 인천공항으로 입국했다. 선동열 감독이 정운찬 KBO 총재로부터 축하를 받고 있다. [뉴시스]

2018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딴 야구대표팀이 지난 3일 인천공항으로 입국했다. 선동열 감독이 정운찬 KBO 총재로부터 축하를 받고 있다. [뉴시스]

이번엔 병역법이 수술대에 오를까. 아시안게임 금메달로 병역 혜택을 받게 된 일부 선수를 둘러싼 논란이 정치권으로 번지면서 병역법 개정 목소리에 힘을 싣고 있다.

수술대 오른 ‘고무줄’ 병역특례 #여야, 과거와 달리 법개정 적극적 #이낙연 “국민 지혜 모아 개선을” #국방부 “다양한 대체복무안 검토”

이낙연 국무총리도 4일 국무회의에서 병역법 개정 필요성을 언급했다. 이 총리는 “여러 측면을 고려하며 국민의 지혜를 모아 가장 합리적인 개선방안을 내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치권에서도 병역법 손질에 대한 백가쟁명의 아이디어가 쏟아지고 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올림픽 메달 수상 등으로 예술·체육요원으로 편입된 사람은 예술 및 체육 지도자 등의 자격으로 군 복무(대체복무)를 이행하도록 하는 개정안을 발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군복무시점은 최대 50세까지 본인이 고를 수 있도록 했다.

관련기사

바른미래당 국방위 간사인 하태경 의원은 점수 누적제를 제안했다. 하 의원은 3일 당 최고위에서 “(아시안게임에서) 야구는 금메달을 따고도 박수를 받지 못했다. 국민들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 공정했는가를 중요하게 본다”며 누적점수제를 대안으로 제시했다. 올림픽이나 아시안게임 메달뿐 아니라 일부 세계대회 성적도 반영해 100점 만점 기준으로 병역 면제를 검토하지는 주장이다.

정치권은 19대 국회에서도 병역법 수술을 시도했다가 무위에 그쳤다. 김한표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가대표 훈련 기간을 복무 기간으로 간주하는 개정안을 냈으나 무산됐다. 하지만 “이번에는 다르다”는 게 정치권 반응이다. 여야 모두 병역법 개정에 적극적이다. 안규백 국회 국방위원장은 “현행 병역특례는 70년대 버전이다. 이제는 선진국에 진입한 만큼 시대변화에 맞춰야 한다”고 말했다. 백승주 한국당 국방위 간사도 “국위선양에 대한 가치가 많이 달라졌기 때문에 병역 특례 대상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제대회에서 메달을 딴 선수들에게 혜택을 주는 병역법은 박정희 정부 때인 1973년 처음 제정됐다. 1980년대 들어선 88서울올림픽 유치가 확정되자 올림픽·아시안게임 등에서 3위 이내 입상자까지 대상을 넓혔다가, 1990년 ‘올림픽 3위 이상 또는 아시안게임 1위 입상자’로 제한됐다. 하지만 2002년 한·일 월드컵 때는 ‘월드컵 축구경기에서 16위 이상의 성적’으로 확대돼 ‘고무줄’ 잣대가 논란이 되기도 했다.

병역법 시행령 제68조의11(예술·체육요원의 추천 등)은 ①국제예술경연대회에서 2위 이상 입상 ②국내예술경연대회(국악 등 국제대회가 없는 분야의 대회만 해당)에서 1위 입상 ③올림픽에서 3위 이상 입상 ④아시아경기대회에서 1위 입상 ⑤중요무형문화재 전수교육 이수자 등에게 군 복무를 4주 기초군사훈련으로 대체하게 되어 있다. 스포츠분야는 1990년, 문화·예술분야는1984년에 정한 틀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고 있다. 현행법이 국위선양에 기여하는 다양한 인재들을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는 이유다.

특히 세계적으로 높은 인기를 얻는 K-POP 연예인도 병역법 혜택을 받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하태경 의원도 지난 7월 국회 국방위에서 “고전음악 계통의 대회는 (병역특례 리스트에) 있지만, 대중음악은 다 빠져있다”며 방탄소년단을 구체적으로 거론했다.

당초 병역특례 제도 개선에 신중한 입장이었던 국방부는 이 총리의 발언이 나온 뒤 전반적인 재검토 작업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최현수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국방부는 다양한 부분의 대체복무에 대한 안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국민들이 보는 눈높이에 맞춰나가는 과정을 밟아나가겠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먼저 문화체육관광부와 협의체를 만든 뒤 여론 수렴 과정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철재·유성운 기자 pirat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