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시선 2035

나를 알기에 늦은 때는 없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김경희 기자 중앙일보 기자
김경희 정치팀 기자

김경희 정치팀 기자

“나 요새 심리상담 받고 있어.”

친구의 한마디에 걱정이 앞섰다. 원래 성격이 밝은 편이었는데 우울증이라도 생긴 건가, 자살 충동이 들 정도인 거면 어떡하지. 별의별 생각이 다 스쳐 갔다. 조심스럽게 이유를 물었는데 의외의 답변이 돌아왔다. “온전히 나에게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거든.”

상담사는 어떤 주제가 나왔을 때 꼭 이렇게 물어본다고 했다. “그럴 때 어떤 감정이 들었어요?” 친구는 자주 말문이 막혔다. 그런 건 왜 자꾸 묻느냐고 쏘아붙인 적도 있다고 한다. 그냥 아무 생각도 감정도 없을 때가 많은데, 자꾸 되물으니 화가 날 정도였다는 거다.

그런데 알고 보니 착각이었다. 감정이 없는 게 아니라, 내 감정을 너무 살피지 않고 살아온 거였다. 어쩌면 모르고 싶었던 감정이 더 많았는지도 모르겠다. 내 안을 들여다본다는 건, 꽤 용기가 필요한 일이니까 말이다. 상담이 정말 효과가 있긴 한 거냐고 의심하던 친구는 이제 상담하는 날이 빨리 오기를 기다린다.

소요 시간은 50분에서 1시간, 비용은 회당 10만원. 친구는 이미 10회 가까이 상담을 받았고 30회까지는 받아 볼 생각이라고도 했다. 연 300만원이라, 월급쟁이에게 적지 않은 돈이다. 물론 유럽이나 남미로 나를 찾는 여행을 떠난다고 생각하면 투자할 만한 액수다. 돈을 들여 이런 계기를 마련해야만 비로소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갖게 되는 것 아닌가 싶어서, 씁쓸한 감도 있지만 말이다.

1980년대 초~2000년대 초 출생자들을 ‘밀레니얼 세대’라고 한다. 미국의 세대 전문가인 닐 하우와 윌리엄 스트라우스가 이름 붙였다. 이 세대를 관통하는 표현으론 ‘욜로족’ ‘포미족’ ‘소확행’ 등이 있다. 미래를 위한 희생보다 현재를 즐기는 데 집중하고, 건강이나 여가 등 자신의 가치관에 과감히 투자할 줄 알며, 일상에서 작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한다는 얘기다.

여기에는 대전제가 하나 깔려있다. 우리 세대는 자신이 뭘 할 때 즐거운지 알고, 어떨 때 행복한지는 더더욱 잘 안다는 전제 말이다. 하지만 그렇지 못한 이들도 많은 것 같다. 30년 만에 처음으로 심리상담소의 문을 두드린 내 친구, 그런 친구의 경험담이 부럽기만 한 나, 그리고 이 글을 보며 조용히 고개를 끄덕일지 모르는 당신처럼. 이제라도 나를 탐구하는 비용을 아끼지 말자고 다짐해 본다. 나를 알기에 이미 늦은 때는 없다.

김경희 정치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