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재주 넘는 北 어린이들 올해 9.9절엔 사라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 당국이 정부수립 60주년을 맞아 진행했던 2008년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에서 어린이들이 공연을 하는 모습. 평양=정용수 기자

북한 당국이 정부수립 60주년을 맞아 진행했던 2008년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에서 어린이들이 공연을 하는 모습. 평양=정용수 기자

 북한이 다음달 9일 정권수립기념일을 맞아 개막하는 예술공연 때 유소년을 동원하지 않기로 했다고 대북 소식통이 20일 전했다. 한국에는 일명 아리랑 공연으로도 알려져 있는 북한의 공연은 공식 명칭이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이다. 대규모 인원이 출연해 관람석에선 일사불란한 매스게임을 보여주고, 운동장에선 집단체조를 선보여 북한 내부적으론 주민들을 결속하고, 바깥에는 북한 체제의 강고함을 과시하는 공연이다.
 이 소식통은 “2002년 시작해 2013년까지 간헐적으로 진행했던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에는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저학년까지의 유소년도 출연했다”며 “하지만 올해는 중학생과 청년들을 중심으로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올해 공연을 9ㆍ9절(북한 정권수립기념일)인 다음달 9일 시작해 9월 말까지 진행한다고 이 소식통은 덧붙였다.

북한의 2008년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에 출연한 어린이들. 평양=정용수 기자

북한의 2008년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아리랑'에 출연한 어린이들. 평양=정용수 기자

북한은 올해 공연 주제를 ‘빛나는 조국’으로 정하고, 수 만명의 청년과 학생을 동원해 준비 중이다. 5장(章) 13경(景)으로 구성된 2008년 아리랑 공연에서 북한은 ‘활짝 피여(어)라’라는 코너에 6~7세가량의 남녀 어린이 수 백명을 출연시켰다. 어린이들은 일사불란하게 두 다리를 벌린 뒤 가슴을 땅에 붙이거나, 물구나무서기를 하는 등 서커스에 가까운 ‘고난도 묘기’를 선보였다. 당시 북한 관계자는 “평양 시내 곳곳의 어린이들을 모아 별도로 수 개월간 연습했다”고 말했다. 이 장면을 본 서방 관계자들 일부가 아동 학대라고 비판했다. 때문에 북한이 올해 공연에서 어린이들을 제외한 건 그간 집단체조와 공연을 놓고 제기됐던 국제사회의 지적을 염두에 뒀기 때문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전현준 한반도평화포럼 부이사장은 “과거 북한은 ‘우리 식’이라며 국제사회의 시각을 염두에 두지 않고 자신들의 방식을 고수했지만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집권한 이후 국제사회의 기준을 염두에 두거나 외부의 비판을 이전보다는 더 의식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했다.

2008년의 대집단체조와 아리랑 공연[중앙포토]

2008년의 대집단체조와 아리랑 공연[중앙포토]

올해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은 15만명을 수용하는 능라도의 ‘5월 1일 경기장’에서 진행한다. 관람석 맞은편 스탠드에서 5만명 가량의 학생들이 카드섹션을 하고, 운동장에서 각종 공연을 펼치는 북한 스타일의 매스게임이다. 2000년 10월 메를린 올브라이트 당시 미국 국무장관이 방북해 이를 관람(당시 공연명 ‘백전백승 조선로동당’)한 적이 있다. 그때 북한은 올브라이트를 앉혀 놓고 미사일이 날아가 폭발하는 장면을 카드 섹션으로 보여줬다. 10만명이 동원된 '아리랑' 공연은 2007년, 단일 공연으로 최대 인원이 참가한 분야로 해서 기네스북에 등재됐다.
북한은 올해 공연 일정을 자체 웹사이트에 올려 홍보하며 해외 관광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특히 올해는 10년 전에 비해 입장료를 평균 3.3배 인상해 대북 제재 속에서 합법적인 외화 수입을 올리려는 의도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이 공개한 입장권 가격은 특등석이 800유로(103만원), 1등석 500유로(64만원)이다. 2등석과 3등석은 각각 300유로(39만원)과 100유로(13만원)이다. 2008년엔 특등석이 300달러(265유로), 1등석 150달러(132유로), 2등석 100달러(88유로), 3등석 50달러(44유로)였다. 특등석은 3배, 1등석 3.78배, 2등석 3.4배, 3등석 2.27배로 3배 안팎을 인상했다. 임수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현재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서 관광은 예외”라며 “북한이 관람료를 올려 외화 수입을 만회하려는 의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북한은 올해에는 20회가량 공연할 것으로 예상된다. 10년 전 공연때 특등석이 60석, 1등석이 500석, 2등석과 3등석이 각각 800석이었다. 이들 자리 규모를 기준으로 해서 이중 80%를 판매한다고 가정하면 북한은 올해 한 차례 공연에 49만 4400유로(6억 3500만원)의 수입을 올릴 수 있다. 20회 공연에 약 1천만 유로(128억여원) 가량을 벌 수 있다는 추산이 나온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