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시선 2035

폭염과 노브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8면

김경희 기자 중앙일보 기자
김경희 정치팀 기자

김경희 정치팀 기자

집에 가면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있다. 온종일 답답하게 나를 옥죄고 있던 브래지어를 벗어 던지는 일이다. ‘하아…’ 말로 다 표현할 수 없는 해방감이 나를 감싼다. 기록적인 폭염 탓에 가뜩이나 불쾌지수가 높은 요즘, ‘노브라’로 출근하고 싶은 충동이 종종 생긴다. 실천에 옮기자니 용기가 좀 부족하지만. 한국사회에서 노브라로 산다는 건 어느 정도 용기가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누가 네 가슴에 신경이나 쓰는 줄 아니, 그냥 하고 싶은 대로 하고 살아”라고 하면 해결될 문제일까. 정말 그렇게 단순한 문제일까.

가수 겸 배우인 설리는 얼마 전 자신의 SNS에 또 노브라 사진을 올렸다. “열심히 돌아다닐 준비가 되어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2년 전부터 이런 사진을 올려온 그녀다.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여전히 화제가 되고 어김없이 성희롱성 악플이 달린다. 그녀를 ‘관종’으로 치부하기 전에 왜 이런 현상이 반복되는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나를 비롯한 일반인과 그녀의 가장 큰 차이는 남의 눈을 의식하느냐 안 하느냐다. 나란 사람은 노브라에 얇은 옷차림이면 동네 슈퍼만 가도 위축이 된다. 나도 모르게 어깨를 좀 움츠린다거나 괜히 팔짱을 끼게 되는, 그런 거 말이다. 노브라는 유별난 것, 남의 이목을 끄는 것이란 인식이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다.

남자를 잠재적 범죄자 취급한다는 식으로만 접근하지 말고, 대다수의 여자는 왜 이렇게 설계됐을까를 고민해보자. 나의 경우 고등학교 때까지 브래지어는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것이라고 알려준 사람이 없었다. 대학 때 브래지어 착용이 건강에 좋을 게 없다는 얘기를 듣고서야 집에서라도 벗고 지내기 시작했다.

환경적인 요소가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새삼 깨닫는 계기도 있었다. 얼마 전, 여름 휴가차 스페인에 갔는데 노브라로 거리를 활보하는 여성들을 쉽게 만날 수 있었다. 그리고 아무도 그들에게 이상한 시선을 보내지 않았다. 그곳에선 나도 용기가 생겼다. 아니 용기라는 표현도 거추장스럽게 느껴졌다. 탈 코르셋 운동이나 나체주의, 자연주의 뭐 이런 거창한 담론을 주창하는 게 아니다. 모두에게 노브라를 강요하는 글은 더더욱 아니다.

이런 주제의 글은 하도 오해를 많이 사서 굳이 요약하자면, 브래지어 착용이 필수가 아닌 선택의 영역이 되도록 하기도 여전히 어렵다는 얘기다. 언젠가 태어날 내 아이에게 “브래지어라는 건 네가 하고 싶을 때만 하면 되는 거야”라고 말해주고 싶은데 말이다.

김경희 정치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