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수사 받다가 극단적 선택한 정치인 사례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3일 숨진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는 유서를 통해서도 마지막까지 결백을 주장했다.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을 수사 중인 허익범 특별검사팀은 노 원내대표의 경기고 동창인 도모 변호사가 2016년 드루킹 김동원(49ㆍ구속기소)씨와 공모해 노 원내대표에게 5000만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건넨 혐의점을 포착, 수사를 벌여온 것과 관련해서다. 경찰이 발견한 노 원내대표의 유서성 글에는 “드루킹 관련 금전을 받은 사실은 있으나 청탁과는 관련이 없고, 가족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고 한다.

지난 22일 미국방문을 마치고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하는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

지난 22일 미국방문을 마치고 인천국제공항으로 입국하는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의 모습. [사진 연합뉴스]

 검찰 수사를 받던 정치인이 결백을 주장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은 과거에도 있었다. 이명박 정부 때 추진됐던 해외자원 개발 사업과 관련해 검찰 수사를 받던 지난 2015년 4월 숨진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은 검찰 조사에서 결백을 주장하며 “생명을 바쳐서라도 내 이름 석 자를 더럽히지 않겠다”고 말했다고 한다. 그는 숨지기 전날인 8일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의 혐의와 관련해 “자원개발은 고나련 법과 절차에 따라 투명하게 진행됐다”며 자신의 결백을 주장했다. 사고 당일 집을 나서면서 남긴 유서엔 “나는 결백한 사람이다. 검찰 수사와 관련해서 억울하다”고 썼다.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 [중앙포토]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 [중앙포토]

그의 죽음은 ‘성완종 리스트’로 파문이 번졌다. 사고 당일 성 전 회장이 입었던 옷에서 여권 실세들의 이름과 금액 등이 적인 55자 메모가 정부 여당을 흔들었다. 여기에 이름을 올렸던 홍준표 전 자유한국당 대표는 2017년 12월에야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 판결을 받았다.
지난 2009년 고향인 봉하마을에서 숨진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죽음은 여전히 정치권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통한다. 노 전 대통령은 당시 ‘박연차 게이트’ 등으로 검찰에 소환되는 등 수사를 받던 중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검찰과 여당은 ‘정치 보복’이라는 국민적 비판을 받았다. 당시 수사를 지휘한 이인규 전 중앙수사부장은 훗날 노 전 대통령에게 정치적 타격을 준 ‘논두렁 시계’ 사건은 당시 국가정보원이 언론 보도를 기획했던 것이라는 취지의 폭로를 하기도 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 조사를 마치고 대검 을 나오고있다. [중앙포토]

노무현 전 대통령이 검찰 조사를 마치고 대검 을 나오고있다. [중앙포토]

한편 2013년 김종률 전 통합민주당 의원은 한 벤처기업의 부실 회계를 묵인하는 대가로 돈을 수수한 혐의로 경찰의 수사를 받다 한강에 투신해 숨졌다. 이 밖에도 안상영 전 부산시장, 박태영 전 전남지사, 이준원 전 파주시장 등도 각종 의혹 사건으로 구속되거나 수사를 받는 와중에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정종문 기자 person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