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0명 중 7명 “올해 경기 꺾여 성장률 3% 밑돌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고위 당·정·청 협의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렸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 셋째) 등 참석자들이 회의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태년 정책위의장, 이춘석 사무총장, 이낙연 국무총리, 추 대표, 홍영표 원내대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오종택 기자]

고위 당·정·청 협의가 20일 오전 국회에서 열렸다.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오른쪽 셋째) 등 참석자들이 회의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김태년 정책위의장, 이춘석 사무총장, 이낙연 국무총리, 추 대표, 홍영표 원내대표,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오종택 기자]

“승자의 오만에 빠지지 말고 기존 소득 주도형 경제정책을 재정비해야 한다.”(안세영 성균관대 국제협상 전공 특임교수)

“선거 승리, 경제정책 동의 아니다 #규제 풀어 기업 투자심리 살리고 #혁신 성장 가능한 생태계 만들라” #58%는 “경제팀 진용 정비할 필요”

“선거 승리가 경제 운영에 대한 동의를 의미하는 건 아니다.”(조동근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

6·13 지방선거가 여당의 완승으로 끝남에 따라 문재인 정부 경제의 핵심인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이 힘을 받을 거란 전망이 많다. 중앙일보의 설문조사에 응답한 전문가 40명 중 34명(85%)은 정부가 향후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을 강화하거나 유지할 거라고 예상했다. 응답자 대부분은 정부가 시급히 손봐야 할 정책을 꼽아 달라는 질문에 가장 많은 29명(72.5%)이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을 지목했다. 이유가 있다. 정부와 여당이 선거 승리에 도취해 검증되지 않은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을 밀어붙이기엔 경기 상황이 녹록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관련기사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경기 지표는 대체로 나쁘지 않았다. 지난해 4년 만에 3%대 성장을 회복했고, 올해 1분기 성장률도 전기 대비 1%를 기록했다. 최근 들어 경고등이 켜졌다.

‘일자리 정부’라는 말이 무색하게 지난달 전년 대비 취업자 증가 폭은 7만2000명에 그치며 8년4개월 만에 최악의 기록을 보였다. 수출도 5월에 증가세로 돌아섰지만 4월에 전년 대비 1.5% 줄어드는 등 주춤한 모습이다. 지표가 엇갈리는 가운데 전문가들의 시각은 비관적인 쪽으로 기울었다. 응답자 29명(72.5%)은 올해 성장률이 정부가 목표로 삼은 3%를 밑돌 것으로 내다봤다.

더 큰 문제는 경기 흐름이다. 상당수 전문가는 한국 경제가 내리막을 탈 것으로 봤다. 19명(47.5%)은 ‘경기 하강기의 초입 국면에 도달했다’고 답했다. ‘이미 하강기에 접어들었다’는 답도 9명(22.5%)이 했다. ‘회복 흐름을 유지하고 있고 이어갈 것’이라는 정부의 공식 견해와 뜻을 같이한 응답자는 2명(5%)에 그쳤다.

이런 내리막 추세를 멈춰세우고 다시 경기 회복 흐름으로 돌아서기 위해선 소득 주도 성장 정책의 한계를 인정하고 정책 방향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성장 후 분배가 아닌, 분배 자체가 소비를 유지하는 정책에는 한계가 있다”(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목소리다.

응답자 중 57.5%인 23명이 현 청와대 ‘경제 실세’나 경제 관료를 교체해야 한다고 답한 것도 정책 전환 필요성을 담은 결과다(청와대 경제 실세 교체 13명+관료 포함 전체 교체 10명). 김영익 서강대 경제학부 교수는 “기업의 투자심리가 위축돼 있다”며 “규제를 푸는 방향으로 경제정책을 바꾸고 이에 맞춰 경제팀 진용도 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경제팀을 유임시켜야 한다는 의견(15명·37.5%)도 적지 않았다. 문재인 정부 출범이 1년을 갓 넘은 만큼 경제팀의 공과를 평가하기엔 이르다는 이유에서다. 김갑순 동국대 회계학과 교수는 “경제팀의 정책 잘못이라고 할 만한 뚜렷한 증거를 찾기 어렵다”고 말했다.

향후 정부 경제정책의 초점은 민간 분야에 활력을 불어넣는 데 맞춰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했다. 조동근 교수는 “성장률을 끌어올리고 혁신성장이 가능한 생태계를 조성하는 게 시급하다”고 말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0일 내놓은 ‘한국 경제 보고서’에서 “법인세율 인상으로 대기업보다 협상력에서 밀리는 대기업 협력업체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세종=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