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00년 전 잃어버린 덕수궁 옛 모습 복원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현재의 광명문 모습. [사진 문화재청]

현재의 광명문 모습. [사진 문화재청]

1919년 고종의 승하 이후 제 모습을 잃어버린 덕수궁의 원래 모습을 되찾기 위한 덕수궁 복원사업이 추진된다. 문화재청은 일제에 의해 변형되고 왜곡된 덕수궁의 제 모습을 되찾기 위한 ‘덕수궁 제자리 찾기’ 사업을 시작한다고 19일 밝혔다. 광명문, 돈덕전, 선원전을 원래 모습으로 복원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덕수궁은 1897년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한 후 경술국치 이후 13년간 대한제국의 궁궐로 사용한 곳으로, 당시는 중명전과 옛 경기여고가 있던 자리까지 포함된 넓은 궁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1919년 고종이 승하하면서 덕수궁의 궁역이 여러 가지 이유로 잘려나가고, 궁궐의 전각들은 훼철(毁撤)됐다.

 1920년대에는 현재의 덕수궁과 미국대사관 사이에 담장길이 조성되어 덕수궁이 둘로 쪼개졌고, 조선왕조의 근원인 선원전 영역은 총독의 손에 넘어가 조선저축은행 등에 매각됐으며, 선원전은 헐려 창덕궁으로 옮겨졌다. 또한, 덕수궁 중심영역의 공원화 계획으로 돈덕전마저 헐려 나가고, 함녕전의 정문이었던 광명문도 지금의 자리로 옮겨져 유물을 보관하는 전시관으로 변해버렸다.

덕수궁 국장화첩(1919) 광명문. 일제 때 옮겨진 광명문은 제자리로 이전될 계획이다.[사진 문화재청]

덕수궁 국장화첩(1919) 광명문. 일제 때 옮겨진 광명문은 제자리로 이전될 계획이다.[사진 문화재청]

광명문, 제 자리로 이전

문화재청은 우선 일제 때 옮겨진 광명문을 제자리로 이전하겠다는 계획이다. 문화재청은 2016년 원래 자리를 발굴한 결과, 광명문과 배치형태가 동일한 건물지 1동을 확인하고, 발굴 결과를 토대로 이전을 위한 실시설계를 완료했다. 건물지는 12기의 적심(물의 기둥을 받치기 위해 초석(礎石) 아래쪽을 되파기한 후 자갈 등을 채워 넣은 시설)시설을 가진 곳으로, 경운궁(덕수궁의 옛 이름) 중건 배치도(1910년) 상의 광명문지와 그 위치와 배치상태 등이 같은 것으로 판명됐다. 광명문 제자리 찾기 공사는 6월 19일 기공식 행사를 시작으로 올해 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한편, 광명문 내부에 보관되어있는 유물들은 올해 안으로 보존처리를 할 예정이다.

덕수궁 돈덕전. 2021년까지 새로 완공할 게획이다. [사진 문화재청]

덕수궁 돈덕전. 2021년까지 새로 완공할 게획이다. [사진 문화재청]

덕수궁 복원전 투시도. [사진 문화재청]

덕수궁 복원전 투시도. [사진 문화재청]

 돈덕전, 대한제국 관련 자료관으로 재탄생

 돈덕전은 1902년 고종 즉위 40주년을 맞아 칭경(稱慶, 축하의 의미)예식을 하기 위한 서양식 연회장 용도로 지어졌으며, 고종을 만나기 위한 대기장소나 외국사신 접견장소, 국빈급 외국인 방문 시 숙소 등으로 활용됐다. 1907년에는 순종이 즉위하는 곳으로 사용됐다. 하지만, 순종이 거처를 창덕궁으로 옮긴 후에는 덕수궁 공원화사업 때문에 같이 훼철되고 아동 유원지로 활용되면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돈덕전 복원을 위한 발굴조사는 이미 마친 상태이며 연내에 공사를 시작하여 2021년 완공할 계획이다. 다 복원되면 대한제국과 관련한 자료관 등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선원전, 2028년까지 3단계로 복원 추진
 덕수궁 선원전은 고종이 대한제국 황제로  즉위하기 전 가장 먼저 신축했던 중요한 건물이었으나 1900년 10월 화재로 불타게 되자, 당시 미국공사관 북쪽 수어청자리(정동부지, 옛 경기여고 부지)로 옮겨 1901년 7월 11에 복원되었다. 그러다 1919년 1월, 고종이 승하한 후에는 모두 없어져 다른 건물이 들어섰다가 해체되는 과정을 겪어왔다.

문화재청은 2038년까지 3단계에 걸쳐 진전(眞殿)인 선원전(璿源殿), 빈전(殯殿)으로 사용되던 흥덕전, 혼전(魂殿)인 흥복전 등 주요 전각과 부속건물(54동), 배후림(상림원), 궁장(宮牆) 등을 복원해 나갈 예정이다.

 올해는 선원전 지역의 발굴조사를 위하여 미 대사관에서 사용하던 조선저축은행 사택, 미부대사관 관저 등 건물 9동과 시설물들을 철거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이은주 기자 ju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