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김현기의 시시각각

김정은의 데뷔, 트럼프의 고립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6면

김현기 기자 중앙일보 도쿄 총국장 兼 순회특파원
김현기 워싱턴 총국장

김현기 워싱턴 총국장

탁자에 두 손을 짚고 불만 가득한 얼굴로 앞을 응시하는 메르켈 독일 총리, 그 옆에 나란히 서서 메르켈을 거드는 듯한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 메이 영국 총리, 답답하고 복잡한 표정으로 서 있는 아베 일본 총리. 그리고 “이 사람들, 도대체 왜 그러는 거야”란 표정으로 팔짱을 낀 채 퉁명스럽게 바라보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 혼자 의자에 앉아 있다.

두 정상의 기이하게 뒤바뀐 이미지 #트럼프 고립이 ‘싱가포르 후’ 최대변수

9일 독일 총리실이 인스타그램에 올린 G7(서방선진 7개국) 정상회담 당시의 사진 한 장은 ‘G6 대 미국’으로 분열된 현 국제사회 구도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2011년 백악관 상황실에서 미 해군 특수부대의 빈 라덴 사살 작전을 지켜보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놀란 듯 손으로 입을 가리던 사진을 떠올리게 한다. 이 사진이 공개된 배경이 흥미롭다. 먼저 미 백악관이 트럼프를 둘러싸고 화기애애하게 담소를 나누는 각도의 사진을 올렸다. 트럼프를 중심으로 똘똘 뭉쳐 있는 분위기였다. 그러자 즉각 독일 총리실이 다른 각도의 사진을 올렸다. 앞서 설명한 사진이다. 의도는 분명하다. 영국 BBC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서방세계가 지키려 했던 가치가 (트럼프 때문에) 분열되고 있다”고 사진의 뜻을 해석했다.

트럼프가 G7 개최국 캐나다의 트뤼도 총리를 향해 “미 대표단에 (트뤼도가 발표한) 공동성명 내용을 승인하지 말라고 지시했다. 트뤼도는 매우 부정직하고 약해 빠졌다”고 직격탄을 날린 건 솔직히 기자 입장에선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어찌 보면 길들여진지 모른다. 하지만 한 나라를 대표하는 G6 정상들 입장에선 가만히 있을 수 없는 일일 게다. 그러니 서로의 뒤통수를 계속해서 때린다. 이처럼 서방세계가 두 편으로 나뉘어(사실 1대6이지만) 서로를 소 닭 보듯 하는 불편하고 기이한 관계가 그동안 있었을까.

국제사회의 고립뿐이 아니다. 광적인 지지층 30%가 있다고는 하지만 미 국내에서도 트럼프는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고립돼 가고 있다. 그나마 지금은 의회를 공화당이 장악하고 있어 버티고 있지만 5개월 후 중간선거에서 예상대로 민주당이 승리하면 양상은 또 달라진다. 문제는 트럼프의 고립이 향후 북핵 문제에도 큰 변수가 될 것이란 점이다.

차기 상원 외교위원장으로 유력한 메넨데스 민주당 외교위원회 간사는 트럼프가 넘어야 할 벽이다. 하지만 메넨데스는 ‘트럼프 스타일’에 정색, 아니 기겁을 한다. 최근에는 ▶영구적인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비핵화) 합의 ▶모든 핵·화학·생물학 무기 해체 ▶군사 목적 우라늄 및 플루토늄 생산·농축 중단 ▶핵실험장과 연구 및 농축시설 등 핵무기 기반시설 영구해체 ▶탄도미사일 해체 5가지를 대북제재를 풀 ‘절대 조건’이라 못 박았다. 12일 북·미 회담에서 나온 결과와는 한참 거리가 있다. 미 의회의 비준 동력도, 북한의 ‘담대한 조치’의 동력도 벽에 부닥치게 될 공산이 크다. 트럼프 고립의 여파는 두고두고 우리를 괴롭힐 수 있다.

‘고립’의 대명사이던 북한 김정은은 싱가포르의 마리나 베이 야간시찰에서, 센토사섬 회담에서 화려하게 국제사회 무대에 데뷔했다. 그런데 정작 그를 고립에서 끄집어낸 트럼프 대통령은 스스로 고립의 늪으로 빠져들고 있다. 북핵 문제를 협상 테이블에 올린 트럼프의 고립이 역설적으로 북핵 해결 시계(視界)를 흐리는 최대 변수가 되다니 참으로 묘한 일이다. 싱가포르 밤 구경에 나선 김정은의 환한 얼굴과, 그 시간 성난 분노의 트위터 올리기에 혈안이 된 트럼프의 대조적 모습은 인생도 역사도 영원한 것은 없다는 명언을 다시금 음미하게 한다.

김현기 워싱턴 총국장·<싱가포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