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이선·소갈비·대구조림·삼겹살 … 햄버거는 없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12일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확대정상회담을 마친 뒤 오찬장으로 이동해 자리에 앉기를 기다리고 있다. [AP=연합뉴스]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12일 싱가포르 카펠라 호텔에서 확대정상회담을 마친 뒤 오찬장으로 이동해 자리에 앉기를 기다리고 있다. [AP=연합뉴스]

북·미 정상이 함께한 ‘세기의 오찬’ 메뉴에 햄버거는 없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016년 공화당 대선후보 경선을 치르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겨냥해 “국빈 만찬이 아니라 햄버거를 먹으면서 협상하겠다”고 했다.

새우 칵테일, 그린 망고, 문어 샐러드 #양저우식 볶음밥, 초콜릿 등 퓨전식 #트럼프, 김정은에게 자리 먼저 권유 #사진기자엔 “잘생기게 찍어달라”

그러나 12일 오전 11시30분 싱가포르의 카펠라 호텔 내 중식 레스토랑에서 열린 업무오찬엔 햄버거 대신 소갈비와 대구조림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업무오찬을 시작하며 먼저 김 위원장에게 손을 내밀며 “자리에 앉으시죠”라고 권했다. 이어 사진기자들에게 “사진 찍기에 좋은 그림이 나왔나. 좋은 그림인 것 같은데, 잘생기고 잘 나오게 해달라”고 농담을 던졌다.

관련기사

백악관에 따르면 오찬의 시작 메뉴로 아보카도 샐러드를 곁들인 새우 칵테일과 꿀과 라임을 뿌린 그린 망고 절임 및 문어 샐러드와 한식인 오이선이 곁들여졌다. 오이선은 오이에 칼집을 내고 사이사이에 쇠고기 볶음과 달걀 등 고명을 끼워넣은 요리다.

메인 요리는 저온에서 천천히 조리한 소갈비 콩피(조림), 감자를 으깨 만든 감자 도피누아와 익힌 브로콜리가 레드와인 소스와 함께 제공됐다. 이어 바삭하게 구워진 새콤달콤한 돼지고기(삼겹살)와 홈메이드 XO 칠리소스를 뿌린 양저우식 볶음밥이 나왔다. 래디시(빨간 무)와 아시아 야채를 곁들인 대구조림이 마지막 메인 메뉴였다. 백악관은 메뉴를 소개하며 한식인 오이선과 대구조림은 각기 한글 발음대로 ‘Oiseon’ ‘Daegu jorim’이라고 표시했다. 디저트로는 다크초콜릿 가나슈, 체리를 올린 하겐다스 바닐라 아이스크림, 트로페지엔(크림을 바른 프랑스식 빵) 등이 준비됐다.

업무오찬에는 회담 때 배석하지 않았던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이 모습을 드러냈다. 확대회담에 참석했던 김영철 당 부위원장(통일전선부장), 이수용 당 부위원장(국제담당), 이용호 외무상에 노광철 인민무력상, 최선희 외무성 부상, 한광상 노동당 재정경리부장이 합류했다.

미국 측에서도 확대회담 배석자인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존 켈리 비서실장,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외에 세라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 성 김 주필리핀 대사, 매슈 포틴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이 추가로 참여했다.

이날 김 위원장이 영어로 직접 소통할 수 있을지도 관심거리였다. 김정은이 어린 시절 스위스에서 유학했던 만큼 유창한 영어를 구사할 수 있다면 두 정상의 대화가 더 편안한 분위기에서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날 오전 언론에 공개된 두 정상의 만남 장면에서는 김 위원장이 영어를 쓰는 모습은 등장하지 않았다. 정상회담은 공식 회담이니만큼 상대국 언어가 능숙하더라도 자국어를 쓰고 통역을 듣는 게 외교 관례다.

오전 10시4분쯤 미국 성조기와 북한 인공기를 배경으로 한 회담장 입구에 두 정상이 함께 섰을 때 트럼프 대통령은 악수하며 영어로 인사말을 건넸다. 12초 악수가 진행되는 동안 김 위원장은 미소만 지었다. 백악관 출입기자단에 따르면 이후 김 위원장은 “Nice to meet you Mr. president(반갑습니다, 대통령님)”라는 인사말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 인사를 김 위원장이 직접 했는지, 아니면 북측 통역이 한국어를 영어로 옮긴 것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날 두 정상이 함께 있는 장면에서는 통역이 배석했다. 김 위원장은 미측 통역인 이연향 국무부 통역국장을 바라보며 고개를 끄덕이며 들었다. 이 국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한국어로 전달한 뒤에야 김 위원장이 활짝 웃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단, 오찬 후 카펠라 호텔 입구에서 기자들 앞쪽으로 20m가량 잠시 이동할 때는 통역이 없었다. 이때 트럼프 대통령이 화단 쪽을 가리키며 말을 걸었는데 김 위원장은 특별한 답변은 하지 않았다.

대북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외국 유학생활을 했다지만 자연스럽게 긴 대화를 나눌 만큼 영어 실력이 유창한 수준은 아닌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반면 김 위원장을 여러 차례 만났던 캐나다 인사는 익명을 전제로 “김 위원장은 외국 인사를 만날 때 통역을 대동하기는 하지만 영어를 잘 알아듣고 때로는 통역을 건너뛸 때도 있다”고 전했다.

싱가포르=유지혜 기자, 서울=박유미 기자 yumip@joongang.co.kr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특별취재팀

김현기·정효식 워싱턴 특파원, 예영준·신경진 베이징 특파원, 정용수·이철재·전수진·유지혜·박유미·윤성민 기자, 강민석 논설위원, 김민석 군사안보연구소장, 오영환 군사안보연구소 부소장, 이영종 통일문화연구소장, 정영교 통일문화연구소 연구원, 박용한 군사안보연구소 연구위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