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낮엔 김치찌개집, 밤엔 고깃집 … 한 점포 두 사장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4면

점포 공유로 부가 수익을 노리는 소상공인이 늘고 있다. 서울 대치동의 한 치킨집. 점심엔 다른 사람이 한식뷔페로 운영한다. [사진 점공사]

점포 공유로 부가 수익을 노리는 소상공인이 늘고 있다. 서울 대치동의 한 치킨집. 점심엔 다른 사람이 한식뷔페로 운영한다. [사진 점공사]

경기도 판교 신도시에서 쌀국수 가게를 운영하는 황 모(49) 씨는 이달 말부터 가게 한쪽 코너에 진열대를 놓기로 했다. 진열대에는 휴대용 선풍기·마스크팩·황사 마스크 등 중소기업(스타트업) 제품을 진열해 판매한다.

다양해지는 점포 공유 방식 #중기제품 판매, 시간제 임대, 숍인숍 #주인 동의 받고, 계약서 확인을

이들 제품은 스마트폰으로 예약·주문·결제가 이뤄져 딱히 황 씨가 신경 쓸 일은 없다. 판매 수익의 30%는 황 씨 몫이다. 황 씨는 “가게 안에 진열대만 놓으면 부가 수익을 올릴 수 있으니 요즘같이 한 푼 벌이가 아쉬운 상황에서는 ‘가뭄에 단비’ 같다”고 말했다.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으로 경영 부담이 커진 소상공인들이 점포 공유에 나섰다. 가게 안에 진열대를 놓고 제품 판매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장사를 하지 않는 시간에 다른 세입자에게 임대를 놓는 ‘시간제 점포 공유’도 한다. 아예 가게 안에 또 다른 가게를 들여 ‘숍인숍’으로 운영하기도 한다.

이달 31일부터 판교 신도시에 있는 580개 음식점 등에는 ‘큐알마트’가 들어선다. 가게 안 3.3㎡(약 1평)에 진열대를 놓고, 중소기업 아이디어 상품을 판매하는 공간이다. 주문과 결제는 온라인으로 이뤄진다. 미리 제품 구매를 예약하면 원하는 가게에 설치된 큐알마트로 해당 제품이 배송된다.

서울 강남의 한 미용실 안에 메이크업 숍이 있다. [사진 위드앤샵]

서울 강남의 한 미용실 안에 메이크업 숍이 있다. [사진 위드인샵]

이런 방식은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에게 이익이다. 우선 가게 주인은 부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음식점의 경우 제품을 구매하거나 찾으려고 가게에 왔다가 식사 등을 하는 수요가 생기면 매출 증대 효과도 있다.

중소기업은 판매 수익과 함께 판로를 확보할 수 있고, 소비자는 저렴한 가격에 배송을 기다리지 않고 필요한 물건을 바로 살 수 있다. 큐알마트 운영업체인 ‘판교에 가면’ 박진석 대표는 “중소기업은 제품의 시장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며 “판교를 시작으로 인천, 서울 강남구 등지의 소상공인 점포까지 확대 적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가게를 운영하지 않는 시간 동안 임대를 놓는 ‘시간제 점포 공유’도 늘고 있다. 서울 동대문구에서 고깃집을 운영하는 허 모(42) 씨는 점심시간에만 가게를 박 모(37) 씨에게 빌려준다. 오후 5시부터 다음날 오전 1시까지는 허 씨가 고깃집으로 운영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6시간 동안은 박 씨가 김치찌개나 볶음밥 등을 판다. 허 씨는 박 씨에게 점포 공유 비용으로 한 달에 100만원을 받는다.

허 씨는 “문 닫는 시간에 가게를 비워두는 것이 아까웠는데 힘들어서 도저히 점심 장사를 할 수가 없었다”며 “점포 공유로 임대료 부담을 크게 덜었다”고 말했다. 박 씨도 이익이다. 박 씨는 “임대료만 내면 조리 도구 등을 따로 장만하지 않아도 되고, 필요한 시간만 이용하니 창업 비용이 크게 줄었다”고 말했다.

경기도 판교 신도시의 한 스크린 골프 연습장에 중소기업 제품을 파는 진열대인 큐알마트가 놓여 있다. [사진 판교에가면]

경기도 판교 신도시의 한 스크린 골프 연습장에 중소기업 제품을 파는 진열대인 큐알마트가 놓여 있다. [사진 판교에가면]

아예 점포 공유만 전문으로 중개하는 업체도 생겼다. 점포공유 커뮤니티인 ‘점공사’에는 현재 서울 지역 점포 공유 매물 80여 개가 있다. 대개 고깃집이나 주점, 호프 등 저녁 시간에 영업하는 가게가 ‘점심 장사’를 할 공유자를 찾는다.

시간제 점포 공유 임대료는 대개 월 임대료의 30% 수준이다. 서울 강남이나 광화문 등 주요 상권에 있는 가게를 낮에 6시간 정도 이용하려면 월 200만~350만원 정도 든다.

아예 가게 일부에 새로운 가게를 꾸미기도 한다. 숍인숍(Shop in shop) 방식이다. 경기도 성남시 수내동에 있는 미용실 안에는 네일아트숍이 있다. 전체 가게 면적의 20%가 네일아트 샵이다. 임대료도 나눠서 낸다. 미용실을 찾은 고객이 네일아트를 하는 식의 시너지 효과도 있다. 이외에도 옷 가게 안에 액세서리 샵을 만들거나 카페 안에 갤러리를 차리기도 한다.

주요 점포 공유 방식

주요 점포 공유 방식

숍인숍 계약은 대개 1년 단위로 한다. 수도권에선 평균 보증금 200만~300만원, 월 30만~40만원에 임대료가 형성됐다. 대개 66㎡(약 20평)~99㎡(30평) 크기의 가게 안에 2~5평 규모의 미니샵이 들어서는 형태다. 찾는 사람도 많다. 숍인숍 중개업체인 ‘위드인샵’은 서울·수도권에만 숍인숍 매물 1500여 개를 보유하고 있다. 위드인샵 권혜진 대표는 “점포 제공자와 공유자가 오랜시간 한 공간에 머물러야 하는 만큼 성향이 비슷한 사람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점포 공유는 이점이 많지만, 그만큼 유의해야 할 점도 많다. 시간제 점포 공유나 숍인숍은 부동산 전대에 해당하기 때문에 점포 공유자는 상가임대차보호법의 직접적인 보호를 받지 못한다. 상가 주인에게 가게를 빌린 세입자(임차인이자 전대인)가 다시 세입자(전차인)를 들이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계약서에 보증금이나 임대료(매장 이용 수수료), 영업기간 등의 조건을 꼼꼼히 적어야 하는 이유다.

점포 공유할때 주의할 점

점포 공유할때 주의할 점

또 반드시 상가 주인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상가 주인의 동의 없이 전대했다가 적발되면 점포 제공자나 공유자 모두 강제 퇴거당할 수 있다. 법무법인 나눔 부종식 변호사는 “상가 주인의 동의를 받았다면 점포 공유자도 점포 제공자와 같은 범위 내에서 임차보호법의 적용을 받을 수 있다”며 “하지만 점포 제공자와 공유자간 계약은 이와는 별도라 보호가 어렵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간제 점포 공유는 보증금 없이 월세를 선불로 내는 방식으로 계약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함께 숍인숍은 점포 제공자와 공유자의 업종이 같으면 안 된다. 예컨대 식품접객업에 속하는 카페 안에 같은 식품접객업인 음식점(일반·휴게)이 들어올 수 없다.

아예 프리랜서 방식으로 계약을 맺는 경우도 있다. 점포 제공자가 공유자를 고용하는 방식이다. 이 경우 상가임대차보호법이나 부동산 전대법의 보호를 전혀 받지 못해 보증금을 떼이거나 갑작스러운 퇴거 같은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

권강수 한국창업부동산정보원 이사는 “자영업자 폐업률이 70%가 넘을 만큼 힘든 상황에서 매장 공유는 트렌드가 될 수 있다”며 “가게 주인에게 임대 동의서를 받아두는 편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